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너지
에네르기
밀도
d라이브러리
"
에너지밀도
"(으)로 총 92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의료에서 정보처리까지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1960년대 레이저의 발견으로 급격히 진전된 광기술은 의료분야 영상기기 재료가공에는 물론 광통신 광컴퓨터 등 정보처리분야에까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여러가지 산업 가운데 빛에 가장 크게 의존하는 산업은 농업일 것이다. 태양광이든 인공광이든 빛이 없으면 곡식농사도, 야채나 과일도, 그 ... ...
비파괴검사 속을 꿰뚫어 본다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수박을 손으로 두드려 잘 익었는지를 알아보는 일에서 출발한 비파괴검사는 초음파현미경 컴퓨터 단층촬영등 첨단공학의 필수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기차가 역에 도착하면 작은 망치를 든 역원이 기차 바퀴부분을 두드리고 다니는 것을 보았을 것이다. 병원에서는 의사가 청진기로 환자의 몸속에 ... ...
빠르다 안전하다 쾌적하다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미래의 자동차는 어떠할까? '보다 빠르고 안전하고 쾌적한' 것을 목표로 자동차회사와 연구소에서는 차세대 자동차기술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한국기계연구소는 최근 미국 IITRI연구소에 의뢰해 향후 5년내에 실용화될 '10대 자동차기술'의 최신동향을 조사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미래의 자 ... ...
공간을 넘어 우주로의 시간여행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향하는 장력(tension)으로 기관을 버티어 준다.실제로 이 장력은 웜홀자체의 총질량
에너지밀도
보다 크다. 여러가지 복잡한 이유에서 이것은 웜홀이 음(negative)의 질량과 에너지를 갖는 곳에서 나타날 것을 시사해 준다. 그러므로 쏜이나 모리스가 내렸던 결론은, 상식은 말할것도 없고 매우 소중히 ... ...
밤에도 본다 야간 감시장비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보름달이 휘엉청 뜬 밤일지라도 인간의 시력에는 한계가 있게 마련. 지금도 이를 극복하기 위한 야간장비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2차대전 말기, 독일과 네덜란드 간의 군용도로. 칠흙같은 어둠속에서 대형 군용차량이 빠른 속도로 이동하고 있었다. 이미 전세는 기울어 연합군이 제공권을 완전 장 ... ...
PART Ⅱ 태양전지와 태양광 발전의 원리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태양광발전시스템은 낙도의 등대에서 우주발전소까지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1970년대 유류파동 이후 석유등의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 개발의 필요성이 심각하게 대두되었다. 그에 따라 태양전지(Solar cell)를 이용, 태양빛에서 직접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발전 기술(Photovoltaic Power ... ...
전자와 양전자 충돌결과에 비상한 관심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물론 가속기라하더라도 우주탄생의 순간과 꼭 같은 무한대의
에너지밀도
를 가진 조건을 만들수는 없다. 허지만 가속기내의 충돌에너지가 커질수록 유사한 환경이 조성되는 것이다.물질의 한가지 형태(일상적인 물질)는 전자와 전자-중성미자 그리고 핵입자의 구성요소인 ... ...
PARTⅠ날로 용도가 확대되는 태양열 발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빨래를 말리는데 쓰던 태양열을 이제는 여러모로 사용하고 있다. 태양열집열기 난방 태양로 태양열발전소 등등.태양열 증기선으로부터태양열은 열선과 가시광선의 형태로 지상에 쏟아져 내려 지구를 따뜻하게 데워주고 온갖 생물들을 키우고 있다. 실제로 인류는 옛부터 빨래를 말리거나 야채나 ... ...
자유로이 에너지형태 바꾸는 현대판 부싯돌 압전 세라믹스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기계적에너지를 전기적에너지로, 전기적에너지를 기계적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마법의 돌'인류가 최초로 전기적 현상을 발견하게 된 동기는 마찰에 의한 인력을 관찰하면서 부터이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이러한 마찰에 의해 생기는 신비한 인력의 원인을 일렉트론(elektron)에 의한 것으로 생각하였 ... ...
PART Ⅱ 태양의 8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흑점 코로나 플레어 루프 태양상수 태양풍 뉴트리노 등 태양과 관련된 여러 현상들의 실체는 무엇일까?흑점의 11년 주기란?태양표면에 나타나는 흑점의 개수가 주기적으로 증감한다는 사실은 12년간의 대 관측결과를 정리한 '슈바베'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그러나 이 발견은 당시의 사람들에게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