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d라이브러리
"
부위
"(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 생각만으로 뇌는 이미 ‘고통’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높은 일반 성인 14명을 대상으로 간단한 수학문제를 풀게 하고 fMRI를 통해 이들의 뇌 활성
부위
를 관찰했다. 그랬더니 수학 문제를 풀기 전, 예상만으로도 신체적 고통을 당할 때 활성화되는 뇌도의 뒷부분이 활성화됐다. 수학 불안도가 높은 사람은 수학 시험 시작 전부터 공포를 느낀다는 것이다. ... ...
내 머릿속 매트릭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크기와 무게가 많이 줄어들기는 했다. 하지만 아직도 배터리 장치를 왼쪽 어깨 아래
부위
에 삽입하는 수술을 9년에 한 번씩 해줘야 한다.이런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서 개발하고 있는 기술이 바로 글머리에 소개한 체내 자가발전 시스템이다. 사페쉬카 교수팀이 개발한 글루코오스 연료 전지는 사람의 ... ...
변 신하고 싶어? 헷갈리나의 패션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방법도 있어. 몸에 선을 그으면 시선이 분산되거든. 특히 가로선을 어디에 긋느냐에 따라
부위
별 길이는 달라 보이지. 예를 들어, 허리선을 위로 올리면 상체가 짧아 보이고 하체는 길어 보이지. 길어진 만큼 하체가 더 가늘어 보이는 거야. 선을 이용한 착시는 무늬에 이용할 수도 있어. 가로선을 ... ...
수학 능력을 향상시키는 놀라운 동작인식 게임!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숫자와 비율을 생각하면서 게임을 하는 동안 전기 자극이 그
부위
의 활동을 증폭시킨 것이다. 카도쉬 교수는 “동작인식 게임은 모든 사람이 좋아하기 때문에 앞으로 좋은 학습 도구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연구팀은 앞으로 동작인식 게임과 인지 능력, 그리고 뇌 ... ...
손으로 말해요! 수화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사용법만 외웠다간 낭패를 볼 수 있다. 사실 청각장애인들이 대화할 때 가장 주목하는
부위
는 손이 아니라 얼굴이다. 얼굴 표정이나 몸동작을 통해 감정이나 상황을 더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수학도 마찬가지다. 기호를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대입하거나 해석하지 못하면 쉽게 해결할 수 ... ...
수학 문제만 보면 머리가 아픈 이유는?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풀기도 전에 두섬엽이 활성화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섬엽은 뇌에서 통증을 담당하는
부위
다. 반면 수학에 대한 두려움이 없는 그룹은 별다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놀라운 점은 두 그룹 모두 문제를 푸는 동안에는 두섬엽에 특별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점이다. 연구팀은 이 결과에 대해 ... ...
최고의 요리에 도전하라! 매스 셰프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다리 근육 단백질이 응고된다. 이 때문에 칠면조를 너무 오래 조리하면 날개와 가슴
부위
는 식감이 퍽퍽해진다. 반면 상대적으로 지방 함량이 많은 다리 근육은 불로 조리하는 시간이 짧으면 질겨서 먹기 힘들다. 전통적인 레시피에서는 칠면조 구이를 할 때, 무게 당 30분을 곱한 시간 동안 ... ...
2012 이그노벨상 - 수다쟁이 입을 막으려면?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뇌 속에서 신호가?fMRI(기능성 자기공명영상)는 뇌 속 혈류량의 변화를 측정해 뇌의 어느
부위
가 활성화 됐는지를 관찰하는 장비다. 그런데 죽은 연어의 뇌 속에서 신호가 잡혔다면 어떨까. 으스스한 심령현상이라도 일어난 것일까. 신경과학상 수상자 크레이그 베넷 미국 캘리포니아대 심리학과 ... ...
죽음의 공포를 삭제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과, 그 기억이 재생되는 과정에 대해 활발히 연구했다.우선 공포 기억이 만들어지는
부위
는 앞서 말했던 편도체다. 더 정확히 말하면 편도체로 들어가는 신경세포의 축색돌기와 편도체 안에 있는 신경세포 사이, 즉 ‘편도체 시냅스’에 공포 기억이 저장된다. 신경신호가 전달될 때 시냅스에서는 ... ...
마우스 병원, 마음을 치료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지난 2008년에는 돌연변이 쥐의 뇌에 전극을 심고 전기로 특정
부위
를 자극했더니 쥐의 증상이 호전된 것을 관찰했다. 카사하라 박사는 “약물에 내성이 생겼거나, 다른 치료법이 듣지 않는 조울증 환자를 위해 전기자극치료법을 더 정밀하게 연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