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각
모퉁이
구석
모서리
어귀
길목
카메라앵글
d라이브러리
"
각도
"(으)로 총 1,544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울이 보여 주는 요지경 같은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각각 상자 속이 어떻게 보이나요?실험 원리거울에 부딪친 빛은 들어온
각도
와 같은
각도
로 완전히 반사됩니다. 이런 반사를‘전반사’라고 해요. 전반사 덕분에 우리는 거울에 얼굴이나 물체를 비춰 볼 수 있지요. 반대로 표면이 울퉁불퉁한 물체를 만난 빛은 여러 방향으로 멋대로 반사됩니다. ... ...
“쾅!”우주 교통사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이하 파편은 수십만 개나 된다니까요.그렇다면 정말 걱정이네요. 특히 허블우주망원경은
각도
만 바꿀 수 있을 뿐 위치를 움직이기 어려워 더 위험해질 수 있잖아요.맞아요. 게다가 허블우주망원경은 올 봄에 수리될 예정으로, 이 때 우주유영을 할 우주비행사도 걱정이랍니다. 휴~. 앞으로 이런 우주 ... ...
잠든 야성 깨우는 동물행동 풍부화 프로그램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아사히야마 동물원식 설계의 성과다. 이곳에 온 관람객은 수중 터널을 거닐며 모든
각도
에서 바다표범이 헤엄치는 모습을 관찰한다. 펭귄관에서는 수심 5m의 수조에서 힘차게 솟구쳐 오르는 펭귄의 수중 비상을 볼 수 있다. 북극곰관에서는 관람객이 북극곰의 주요 사냥감인 바다 표범의 시선이 돼, ... ...
선수마다 다른 축구화의 비밀, 스터드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항상 1보다 작으므로 기울어진 물체는 그렇지 않은 물체보다 수직항력이 작다. 기울어진
각도
가 클수록 수직항력의 크기는 더 작아진다. 그래서 몸을 많이 기울여서 회전하면 마찰력을 더 적게 받을 수 있다.선수들의 몸무게에 비하면 작지만, 스터드 무게도 수직항력을 변화시킨다. 스터드를 무거운 ... ...
나비가 춤추듯 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연구하는 건국대 기계항공공학부 변도영 교수는 “만일 아래로 향한 날갯짓과 동일한
각도
로 위로 날갯짓을 한다면 날개 아래쪽에 전단와류가 생겨 땅으로 향하는 힘이 생길 것”이라고 설명했다.일단 이륙을 하면 앞을 향해 이동하는 비행모드로 바뀐다. 비디오 분석 결과 양력발생에는 ... ...
나노입자로 암 치료하는 세상 꿈꾼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때문에 걱정할 필요가 없다. 게다가 횡단면만 찍는 컴퓨터단층촬영(CT)에 비해 여러
각도
의 단면을 더 높은 해상도로 찍는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해상도가 높은 MRI도 암이 막 발생한 초기단계의 작은 암세포는 발견하기 어렵다.암세포 조기에 발견하는 모네MRI현 교수는 연구단이 가진 나노 ... ...
[물리]생활 속 물리, 단진동과 지자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일정한 각속도 ω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시간 t초 일 때 고정된 핀이 막대의 x축과 이루는
각도
는 θ=ωt이고, 이때 핀의 x축 성분은 x=Acosωt이다. 이 운동은 최대값이 +A에서 -A까지 주기적으로 변한다. 따라서 바퀴가 회전하는 운동은 피스톤의 단진동으로 변환된다. Q2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 ...
나이를 거꾸로 먹어가는 한 남자의 인생극장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노인 대다수가 겪는 퇴행성 관절염 환자가 훨씬 많다.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의 펴짐
각도
가 줄어들면서 연골이 손상되는 질환으로 운동부족이 가장 큰 원인이다. 나이가 들더라도 적절히 관절을 움직이는 운동을 하면 예방할 수 있다. 특히 가장 흔한 무릎관절염은 무릎관절이 체중을 견디지 못해 ... ...
[해양학]유출된 기름띠 위성사진으로 찾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띤 해양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해양 표면에 반사된 태양광이 카메라 렌즈
각도
에 맞춰 다량 들어오면 기름띠 부위만 어둡게 나타난다. 지금까진 바다에 반사된 태양광이 들어온 위성사진은 쓸모없는 것으로 여겨졌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기름 유출 여부를 가려내는 데 ‘특효약’이라는 ... ...
깨알보다 작은 마이크로 거울로 메가번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교수가 처음부터 마이크로 거울로 망원경을 만들자는 생각을 한 것은 아니었다. 그는
각도
를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마이크로 거울을 보고 ‘인공 눈’을 상상했다. 사람의 눈처럼 시야를 돌려 움직이는 물체를 따라다니는데다가 확대까지 가능한 인공 눈을 만들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그 뒤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