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퍼지이론, 인간두뇌 같은 컴퓨터 꿈꾼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다양한 변화를 쉽게 파악하기 때문이기도 하다.작년 노벨 경제학상은 시카고
대학
베이커 교수에게 돌아갔다. 그의 경제이론은 케인스나 사무엘슨 경제학처럼 대국적인 정책을 위한 경제학이 아니다. 낱낱이 사회구성원의 심리를 대상으로 삼는다. 수학에도 경제학 사회학의 경우와 비슷한 현상이 ... ...
달착륙 4반세기 새로운 도전 NASA 우주센터를 가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안되었다. 마샬우주센터의 특징은 우주캠프(어린 학생들 대상)와 우주아카데미(고등학생
대학
생 성인들 대상) 운영하고 있기 때문이다.짧게는 3박4일에서 길게는 8박9일까지 우주비행사들이 훈련받는 과정을 압축해놓은 우주캠프 및 우주아카데미 프로그램은 미국 내에서 가장 인기있는 ... ...
인간사회 축소판 개미의 세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않으면 감원 대상에 오른다는 말이 자연스레 나오고 있다.그러나 최근 일본 북해도
대학
의 사카가미교수는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여 흥미를 끌고 있다. 그 이론의 핵심은 "개미처럼 일한다는 표현은 사실을 왜곡한 것이며, 개미라고 모두 일만 하는 것은 아니다"라는 것이다. 또한 개미의 하루 ... ...
목성·혜성 충돌 그 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충돌현상을 관측했다. 우리나라에서도 보현산천문대를 위시해 서울대 경희대 등 각
대학
천문대에서 이 충돌을 관측했다.슈메이커-레비 혜성의 목성 충돌은 천문학자들이 예상한 목성의 남반구 위도 43도에서 정확히 일어났고 충돌 예정 시간도 10여분 밖에 차이가 나지 않았다. 그리고 예견된 ... ...
(3) 인공단백질 합성방법 5가지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되는 것이다.천연보다 우수한 인공 단백질 설계가능지난 1988년 필자는 미국 코넬
대학
방문교수 시절 캘모듈린이라는 칼슘결합 단백질의 유전자를 설계하여 합성하고, 이 유전자를 대장균에 밀어넣어 인공 캘모듈린을 만들어내는데 성공한 바 있다. 또 콩과 인삼에서 캘모듈린 단백질을 순수하게 ... ...
화학 - 유리잔 속 마술 단풍 놀이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가을은 단풍으로 우리 가슴을 설레게 합니다. 마냥 어디론가 떠나고 싶기도 하고 은행잎이나 단풍잎을 따서 편지에 담아 오랫동안 만나지 못했던 친구에게 띄우고 싶게도 합니다. 단풍이 우리를 설레게 하는 건 그 색깔 때문이겠죠? 이러한 가을 단풍 색깔을 우리 책방 앞에서 즐기는 건 어떨까요? ... ...
폐기물처리연구 16년 - '쓰레기 박사' 별명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응용화학(지금의 유기공업화학)까지를 마스터하면서 노벨화학상의 꿈도 꾸었다. 그 뒤
대학
원 시절 지도교수이신 홍윤명교수(명예교수)께서 문하생들에게 "한 우물만을 더 깊이 팔수록 맛있는 생명수가 솟아나는 법이다"라고 말씀하시던 것을 나의 과학연구의 좌우명으로 삼고 오늘에 이르렀다.195 ... ...
1. 동호회 '엠팔'서 출발 세계 '인터네트' 가입까지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선출됐다. 초창기의 멤버들을 보면 박순백(한글과 컴퓨터 이사) 이기성(동국대 정보산업
대학
원 교수) 장석원(ABC시스템 대표) 이호식(한국컴퓨터 기술부장) 한규면(마이크로네트 실장) 염진섭(삼창제지 이사) 유경희(전 산업표준원장) 안상수(홍익대 교수) 탁연상(마이크로북 대표) 박성현(영진출판사 ... ...
지구과학 - 16세기 과학혁명의 주역 지동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자기가 직접 망원경으로 관측한 사실을 토대로 새로운 이론을 전개했다. 1609년 파도바
대학
의 수학 교수였던 그는 네덜란드의 리페르셰가 유리를 갈아서 만든 기구를 통해 먼 곳에 있는 물체를 가까이 본다는 소문을 듣고 곧 배율이 수십배나 되는 정교한 망원경을 만들었다. 그는 새로 발명한 ... ...
(2) 유전공학 이용 생체설계 꿈꾼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노부오 교수를 만난 덕분이었지만, 그 꿈이 구체화된 것은 1980년부터 일본 오사카
대학
단백질연구소의 초빙교수로 드나들면서였다.왜 인공단백질을 만들려고 하는가. 그 하나는 자연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단백질보다 더 우수하고 쓸모있는 단백질을 합성하여 의료, 약품생산, 공업, 식품생산 등에 ... ...
이전
865
866
867
868
869
870
871
872
8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