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10,317건 검색되었습니다.
비만 아빠에게서 비만유전자 가진 자녀 태어난다
2015.12.06
결과에서 수술 전후 DNA구조에 평균 5000개 정도의 차이가 발생했다는 사실도 추가로
발견
했다. 이는 남성의 건강 상태가 정자 속 유전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앞으로 DNA의 구조적 차이가 정확히 어떤 기능과 관련있는지 연구할 계획이다. 또 배아의 제대혈과 각 배아의 ... ...
지구 밖에서 들려온 정체 불명의 ‘굉음’ 비밀 풀릴까
2015.12.03
도달한 복사파 중 밀리초(ms) 단위로 관측된 원인 불명의 빠른 전파다. 10년 전 처음
발견
된 뒤 지금까지 총 16 차례 관측됐지만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콰줄루-나탈대 연구진이 개발한 데이터마이닝 소프트웨어(SW)를 활용해 기존에 관측된 전파 데이터를 대량으로 ... ...
‘둘리 할아버지’ 발자국 찾았다
2015.12.02
미국 켄터키에 위치한 '공룡 월드'의 브론토 사우루스 모형. 이 공룡들의 먼 친척인 거대한 초식공룡의 흔적이
발견
됐다. - 피터 리베라(flicker.com) 제공 ‘둘리 할 ... 연구원은 “앞으로 스카이 섬에서 공룡 연구에 중요한 새로운 공룡의 흔적이 계속
발견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 ...
이론에서나 가능하다던 ‘수소 도핑’ 첫 성공
2015.12.01
만드는데 쓰이는 산화물 반도체의 전기 전도도를 손쉽게 바꿀 수 있는 방법을 처음으로
발견
했다. 전기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어 그간 개발이 어려웠던 고효율 대면적 반도체 및 투명 전극 개발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서형탁 아주대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최덕균 한양대 신소재공학부 교수팀과 ... ...
목성에 폭풍이 350년 넘게 지속된 이유
2015.12.01
350년 동안 그치지 않는 폭풍이 있다. 이탈리아 천문학자 지오반니 카시니가 1665년 처음
발견
한 이래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최근 캐나다 연구진이 이 폭풍의 모습을 컴퓨터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모리츠 하임펠 캐나다 앨버타대 교수팀은 목성의 대류권과 성층권 사이에서 발생하는 ... ...
폭력과 테러, 인류의 숙명일까
과학동아
l
2015.12.01
모습은, 심지어 연대가 180만 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조지아의 드마니시 화석에서도
발견
된다. 늙은데다 치아가 모두 빠져 제대로 씹을 수 없었음이 분명한 드마니시 3444호 화석의 주인공은 (아마도 누군가의 도움을 받으며) 오래 살았다. 이유 없이 이웃을 죽이는 얼굴도 인간이지만, 혼자 힘으로 ... ...
다나의원 C형 간염 환자 중 상당수 ‘1a형’ 바이러스 감염 확인
동아일보
l
2015.12.01
다나의원에서 C형 간염에 걸린 환자들 중 상당수가 극소수의 C형 간염 환자에게서만
발견
되는 1a형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는 30일 “현재까지 파악된 환자 77명 중 유전자 검사를 통해 바이러스 유형이 확인된 37명의 환자들 모두 ‘1a형’ 바이러스에 감염된 ... ...
대장암 진단하면서 치료, 그래핀으로?
2015.11.30
활용하지만 확진까지는 추가 검사가 필요한데다 크기가 작은 종양은 적시에
발견
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투명한 그래핀 복합체를 내시경에 적용하고, 나노치료입자를 주사하는 방식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그래핀의 전기적 특성을 이용해 내시경을 하면서 동시에 암 진단에 ... ...
나는 드론 위에 막는 안티드론 기술
과학동아
l
2015.11.30
지향성 안테나다(일부 소총에 장착해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 방법은 간단하다. 드론을
발견
하면 드론디펜더로 조준하고, 조준경 내에 들어온 드론을 겨냥해서 전파를 쏘면 끝이다. 그러면 드론이 더 이상 원래 조종자의 명령을 따르지 못한다. 실제로 작동하는 동영상을 보면 더 신기하다. 총구를 ... ...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 AI 전파경로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과학동아
l
2015.11.30
없거나 너무 비쌌던 과거에는 철새에 가락지를 끼워서 어디에 있던 철새가 어디서
발견
됐는지를 확인하는 정도였다”며 “기술 발전 덕분에 조류의 상세한 이동경로와 서식지 등 생태 특성을 알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12월호 과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
이전
860
861
862
863
864
865
866
867
8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