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뉴스
"
기존
"(으)로 총 11,806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 신소재 ‘그래핀’ 활용… 투명 디스플레이에 한발 더
동아사이언스
l
2018.05.28
UNIST 자연과학부 교수) 팀은 그래핀을 전자소자에 응용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구조를
기존
방법보다 약 10배 빠르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구리와 니켈 금속을 첨가해 그래핀 제조 공정의 효율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제작 속도를 높였다. 또 그래핀 표면에 존재하는 작은 주름의 구조를 ... ...
액체금속 고체될 때 ‘순간 온도’ 포착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8
온도 제어가 어려워 액상선 온도는 측정 불가능한 값으로 여겨졌다. 정 연구원은 “
기존
에는 액체 상태의 금속을 식히거나 고체 상태의 금속에 열을 가해 녹이면서 측정해 액상선 온도의 근삿값을 기준 온도로 사용해야만 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상대적으로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압력으로 ... ...
[리뷰] 애플 펜슬 끌어안은 6세대 아이패드
2018.05.25
한 편으로 애플이 교육과 시장을 두고 바라보는 시각도 읽어볼 수 있지요. 당연하게도
기존
애플 펜슬을 그대로 쓸 수 있고 펜이 입력되는 반응 속도나 할 수 있는 일도 완전히 똑같습니다. 키노트에서 발표된 로지텍의 서드파티 애플펜슬 ‘크레용’은 아직 국내에 출시되지 않았습니다. 먼저 ... ...
[융합이 미래다] ② 노벨상 무관의 한국, 융합연구에서 답을 찾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5
참여할 수 있다. 평가 방식도 달라진다. 논문, 특허 등 정량적 실적만 평가했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융합연구활동의 질적 수준을 반영한 평가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정량적 평가 방식에서는 공동 저자가 늘어나면 연구실적의 기여도가 줄어들기 때문에 협업을 자유롭게 하기 어려웠다. ... ...
스펀지가 물 빨아들이는 원리 찾았다
과학동아
l
2018.05.23
빨아들인다는 사실이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셀룰로오스는 물과 흡착하는 성질이 있어
기존
이론으로는 설명하기가 어려웠다. 김 교수는 “전기 대신 주변 환경이 갖고 있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소프트로봇 분야에 접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소프트로봇 제작에 도움이 될 ... ...
미생물이 스스로 나노 재료 만들어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3
방법을 국내 연구팀이 개발했다. 독성이 강한 물질(유기용매)과 비싼 촉매를 쓰던
기존
화학 공정을 대체할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최유진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연구원과 이상엽 특훈교수팀은 금속을 자신의 몸 안에서 처리할 수 있는 특수한 대장균을 만들었다. 그 뒤 다양한 금속 원소를 ... ...
'음이온 발상지' 일본 음이온 비판가, "건강효과 밝혀진 적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18.05.22
클러스터 이온’이나 ‘나노 E 이온’ 같은 용어를 쓴다”며 “이들은 시장에서
기존
음이온보다 더 좋은 이온이라고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일부는 실제로도 잘 팔리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하지만 이 제품들 역시 건강에 좋다는 사실이 입증되지 않았다. 이 회사들도 자신들의 음이온 제품이 ... ...
[세상을 바꿀 5G 이야기] ④ 반도체가 5G 이동통신 진화 앞당긴다
2018.05.21
설계에 필수 요즘 이 통신용 반도체 시장이 흥미로운 것은 칩에 대한 수요가 달라지면서
기존
과 다른 형태의 프로세서들이 등장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칩의 역할과 처리 용량 자체가 달라져야 하기 때문에 반도체 설계가 새로 이뤄져야 합니다. 이는 범용 프로세서로 처리할 수도 있지만 당장 ... ...
[세계측정의 날]전기요금, 온도측정 오류 없는 세상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1
정해진다. 변하는 표준단위와 재정의 내용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 전류
기존
정의 확인 어려워...양자물리 기반한 'e'으로 재정의 '전류 단위 1A(암페어)는 ‘힘의 법칙으로 1m 길이의 평행한 두 도선사이의 인력‘ 현재 교과과정에선 전류의 단위에 대해 이렇게 가르친다. 그런데 ... ...
어두워지면 변하는 ‘두 얼굴의 반도체’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18.05.21
가해 강도와 유연성을 실험했다. 그 결과 가시광선과 자외선이 존재하는 두 조건에서는
기존
에 알려진 대로 황화아연 반도체가 산산조각이 나며 부서지지만, 어둠 속에서는 최대 45%까지 모양이 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새롭게 발견했다. 연구 총책임자인 나카무라 아쓰토모 나고야대 재료물리학과 ... ...
이전
860
861
862
863
864
865
866
867
8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