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님
까까중
승려
사주
사승
d라이브러리
"
중
"(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가로수 오디션의 주인공, TOP10을 공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멋지고요. 줄기는 회갈색이고, 콩과 비슷한 열매를 맺지요. 내가 젤 잘나가~! 참가자
중
유일하게 상록수인 소나무입니다. 잎이 다섯개씩 나는 잣나무와 다르게 잎이 두 개씩 짝지어 난답니다. 저처럼 줄기가 빨개야 진짜 우리나라 소나무예요.유사품에 속으면 안 돼요. 저는 높고 곧게 자라는 ... ...
Part 1. 6가지 가정으로 예측해 보는 ‘만약에 지구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변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석력도 문제가 될 수 있다. 지구에서 받는 달과 태양의
중
력이 조석력이다. 조석력이 강한 행성이나 위성에서는 행성 내부의 물질을 움직여 마찰열을 일으킬 수 있다. 마치 빨대로 스무디를 저으면 얼음 알갱이끼리 부딪혀 내부 온도가 올라가 녹는 것과 같은 원리다.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7 딱정벌레-도마뱀-잠자리누구 접착제가 가장 강할까생체모방공학으로 탄생한 아이디어
중
일상생활에서 가장 접하기 쉬운 것은 ‘찍찍이’라고 불리는 접착제가 아닐까. 게코도마뱀의 발바닥을 모방해 만든 접착 재료가 이제는 딱정벌레로 확대됐다(과학동아 3월호 136페이지 기사 참조). 서갑양 ... ...
영국, 세 부모 아기 허용하나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다른 여성의 미토콘드리아와 바꾸는 기술을 일반 여성에게 허용하는 것을 검토
중
이라고 전했다. 미토콘드리아란, 에너지를 생산하는 세포내 소기관으로 어머니한테서만 유전된다. 미토콘드리아의 DNA가 핵이 아닌 난자의 세포질에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버지와 어머니의 유전자, 그리고 또 다른 ... ...
2500m 초장거리 저격의 비밀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공간에서 구간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다. 이 때문에 저격수는 방아쇠를 당긴 이후에도 집
중
력을 잃지 않고 탄환이 도착하는 위치를 확인해야만 한다. 만약 빗나갔다면 오차를 적용해서 최대한 빨리 다음 발을 발사해야 한다. 두 번째 탄환은 반드시 맞춰야만 한다. 이 관계자는 “표적과의 먼 거리 ... ...
눈으로 보는 뇌의 목소리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지 살폈다(뇌에는 감각 세포가 없어서 깨어 있는 상태에서도 수술이 가능하다).1970년대
중
반 양전자방출 단층촬영(PET)이라는 기계가 개발된 이후 뇌가 활동하는 모습을 그림으로 볼 수 있게 됐다. PET는 대사활동이 활발한 곳에 모이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몸에 주입한 다. 동위원소가 붕괴할 때 ... ...
성적표 사용 백서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상위권 대학 자연계는 국어/수학/영어/과학, 인문계는 국어/수학/영어/사회 교과
중
에서 성적이 우수한 2~4과목 성적만 반영한다. 따라서 모든 과목에서 골고루 점수를 받는 것보다 몇 개 과목에서 좋은 성적을 낸 경우가 입시에서 유리하다. 모든 과목을 잘할 수 있는 여력이 없다면 몇 과목에서라도 ... ...
GIST 수시 전형 합격생 인터뷰 - 8개월에 걸친 탐구 열정이 비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과학적 발명들은 역설적으로 인류과학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혁신적 업적이기도 (…
중
략…)자칫 지구의 멸망과 관련될 수도 있는 여러분의 미래 전공에 대해 어떤 철학을 갖고 우리 대학에 지원했는지 쓰시오’를 택했다.“당연히 제가 연구할 분야는 인류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했는데 이 주제는 ... ...
범인 잡는 미세증거물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화학을 전공하는 게 좋아요. 대학원 석사과정까지는 필수로 밟아야 합니다. (…
중
략…) 국과수에 대한 변함없는 믿음을 갖고 바라봐주시는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보답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겠습니다 ... ...
[7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친구들이 과학동아 편집부와 함께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을 방문한 후 작성한 여러 기사
중
한편이다. 연다혜 양은 다소 생소한 미세증거물에 관련된 내용을 기사로 작성했다. 미세증거물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을 소개하고 직접 인터뷰한 국과수 연구원의 생생한 현장 경험을 문답식으로 알기 쉽게 ... ...
이전
859
860
861
862
863
864
865
866
8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