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게임돌풍, 인터페이스의 미래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그런데 이때까지의 인터페이스를 완전히 뒤바꾼 새로운 것이 등장하니 그것이
바로
닌텐도사의 패밀리 컴퓨터라는 게임기였다. 손안에 들어온 조이패드가정용 비디오 게임기의 화려한 시작을 알린 닌텐도의 패밀리 컴퓨터(줄여서 패미컴)를 들어본 독자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 1983년 패미컴이 ... ...
2 칩 속으로 들어간 생물학 실험실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꿈쩍도 하지 않는다. 왜 이토록 물방울은 개미에게 강력한 젤리와도 같을까. 이것이
바로
미시세계에서 유체가 갖는 특성을 보여주는 예다.미시세계에서 유체는 우리가 알고 있던 거시세계와는 다른 현상을 보여준다. 우선 물방울 속에 갇힌 개미에게 물은 매우 끈적끈적한 늪처럼 느껴진다. 이는 ... ...
테러범 잡는 탐지견의 세계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종을 울렸다. 나중에는 종소리만 울려도 개는 침을 분비하며 음식 먹을 준비를 했다.
바로
뇌의 통제를 받는 조건반사다. 탐지견의 경우에도 계속적인 훈련을 통해 탐지활동에 성공할 때마다 보상이 이뤄진다는 사실이 머리에 완전히 새겨진다. 그래야 개는 무의식적으로도 끊임없이 폭발물을 ... ...
항공우주재료공학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초음속으로 나는 비행기나 우주공간을 향하는 로켓에 사용되는 재료는 어떤 것일까.가벼우면서 강하고 고열에도 끄덕없는 재료인 항공우주재료를 만나보자. 얼마 전 K ... 만든 캔이 아니듯 재료에 대한 연구는 주변에서 많이 사용되는 물건의 재료를
바로
아는 일에서 출발하지 않을까 ... ...
거미줄 인터넷에 온기를 불어넣자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종이책을 한장 한장 넘기면서 보는 것과는 달리, 한 화면에서 관련 정보를
바로
찾을 수 있도록 해 준다. 하나의 문서에서 몇단계를 거치면 전혀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이 기술이 전세계 네트워크의 근간이다. ‘지구상의 모든 사람이 다섯 다리만 건너면 안면식이 있다’는 서양 속담은 ... ...
박치기 명수 거북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거북선과 거의 같으나 거북 등 모양으로 덮여진 지붕이 없고 병사들이 갑판에
바로
노출돼 있는 구조다. 기록으로 알려진 것만 수백척에 이르니 판옥선이라도 인양할 수 있다면 거북선 복원은 가능할 것이다.다음은 가라앉은 거북선이 바다 속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남아 있을까 하는 문제다. 침몰한 ... ...
바람과의 맨몸 승부 - 첨단사이클의 질주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제한하는 가장 큰 골칫거리이다. 그리고 페달을 돌릴 때 발생하는 저항의 약 70-90%가
바로
이 저항이다. 그래서 무릎을 모아 페달을 돌리는 것이 좋다.다른 하나는 움직이는 물체의 표면에 의한 저항, 또는 표면마찰력이다. 표면저항은 자전거와 사람의 표면에 의해 발생한다. 그래서 사이클선수는 ... ...
1. 사이버 공간에서 탄생한 무령왕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들어가는 입구에 웬 괴물같이 생긴 짐승 한마리가 버티고 자신들을 쳐다보는 게 아닌가.
바로
‘진묘수’라 불리는 돌짐승이었다. 고대로부터 왕릉 입구에는 외부 도굴꾼이나 침입자로부터 왕릉을 지키기 위해 돌로 만든 괴물을 설치했다. 무령왕릉도 외부 침입으로부터 왕릉을 수호하기 위해 ... ...
3 광속으로 통신하는 손목형 단말기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제기된다.머리카락 세가닥 두께의 미세거울이같은 광스위치를 제작하는 기술의 핵심에
바로
MEMS가 있다. 광스위치는 가로, 세로가 머리카락 4가닥 두께인 약 4백μm인 미세 거울로 구성돼 있다. 하나의 광섬유로부터 오는 광신호(빛)가 이 작은 거울에서의 반사를 통해 다른 광섬유로 이동하는 것이다 ... ...
해리포터 vs 반지의 제왕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이루며 독립된 장르를 형성해나가고 있다. 쉽게 말해 요즘 가장 ‘잘 나가는’ 소설이
바로
판타지다. 그러나 국내에서 판타지는 문학의 장르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 문학계의 보수성을 그 이유로 꼽는 사람들도 있지만, 작가들의 노력이 부족한 것에도 그 원인이 있다. 대부분의 판타지 ... ...
이전
856
857
858
859
860
861
862
863
8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