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700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빛만 이용해 폐플라스틱에서 수소 얻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06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스’에 6일 온라인 게재됐다.
연구진
이 개발한 합성법의 모식도 및 합성한 촉매의 전자 현미경 사진. 고려대 제공 ... ...
암 치료 새 무기 mRNA 암백신, 영국서 임상 첫 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2.05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명 '모빌라이즈'라 불린다. 이번 임상시험을 실시하는
연구진
은 연구 과정에서 독성 안전성 등이 검증되면 새로운 항암 치료법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새롭게 시도되는 mRNA 암백신의 효과를 확인하기까지는 수 년이 소요될 것으로 내다봤다. ... ...
우주 비밀 담은 중력파 관측하러 우주로 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05
LISA의 경우 ESA와 미 항공우주국(NASA)이 주도하고 있어 아직까지 국내
연구진
의 참여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국내에는 자체적으로 개발한 중력파 검출기가 없지만 LIGO 등에 참여해온 중력파 연구자를 중심으로 연구개발(R&D)이 이뤄지고 있다. 김 선임연구원은 "중력파 관측 이전엔 ... ...
우주 차단막으로 태양열 막기…뜨거운 지구 구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2.04
해도 허무맹랑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하지만 지구 온난화 현상이 심각해지면서 각국의
연구진
이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내놓고 있다. 최근 뉴욕타임즈 등 외신에 따르면 이스라엘 공과대 연구팀은 차단막의 시제품을 제작할 준비가 됐다고 밝혔다. 연구팀의 아이디어는 태양과 지구 사이의 중력 ... ...
[과기원NOW] KAIST, 차세대 2차원 반도체 다기능 전자 소자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02
차원 나노 반도체 기반 다기능 전자 소자 개발 연구에 참여한
연구진
. 왼쪽부터 KAIST 송준기 석박사통합과정생, 이수연 석사과정생. ■ KAIST는 이가영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양극성 반도체 특성을 가진 2차원 나노 반도체 기반의 다기능 전자 소자를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기존 실리콘 ... ...
[과기원NOW] UNIST, 친환경 유기 배터리 수명 늘리는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02
친환경 유기 배터리 수명을 향상하는 전해질을 개발한
연구진
.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제공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곽원진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팀과 최준명 한양대 기계공학과 교수팀이 공동으로 유기 전극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획기적으로 전지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전해질을 개발했다고 ... ...
신호등 색 감지하는 모자...일상복이 컴퓨터가 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02
것을 확인했다. 일반적인 섬유처럼 계속해서 비틀어도 견딜 수 있는 힘을 얻은 것이다.
연구진
은 나아가 개발한 스마트 섬유로 다양한 기능을 지닌 의복도 제작해 선보였다. 스마트 섬유로 짠 모자에는 신호등의 빨간 빛과 파란 빛을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을 넣었다. 시각장애인이 횡단보도를 건널 ... ...
"박테리오파지 DNA 이용해 치명적 항생제 내성균 잡는다"
연합뉴스
l
2024.02.01
제공 세계적으로 항생제 내성 슈퍼박테리아 문제가 심각해지는 가운데 미국
연구진
이 세균에 침투할 수 있는 바이러스인 박테리오파지의 유전자를 조작해 박테리아에 침투시키는 방법으로 치명적인 항생제 내성균을 죽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에리카 하트만 교수팀은 1일 미국 ... ...
민주주의 집어삼키는 '딥페이크'…"현존 어떤 매체보다 위협적"
동아사이언스
l
2024.02.01
활용 여부를 가려낼 수 없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아이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진
은 "대부분의 참가자는 실험 시작 전 '진위를 가려낼 수 있다'고 자신했지만 딥페이크에 계속해서 속았다"고 밝혔다.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따르면 가짜 이미지는 통상 사진 속 피사체의 그림자 ... ...
맨홀, 예상치 못한 도시 메탄 배출의 주범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01
설치된 맨홀.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진
이 첨단 모니터링 기법을 사용해 기존에 집계되지 않았던 메탄 배출량을 규명했다. 도시의 메탄 농도를 정량적으로 관측할 수 있어 메탄배출량 감소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는 정수종 환경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온실가스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