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듈
기준
하나
단원
중량단위
중량
유니트
뉴스
"
단위
"(으)로 총 2,505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문일답]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 3개월 만에 맞아도 괜찮나
동아사이언스
l
2021.12.16
필터 과정을 거쳐 미생물을 걸러낸다. 미생물을 마이크로미터
단위
고 백신은 나노미터
단위
다. 식약처 인허가에서도 미생물 오염을 확인하고 내보낸다. 바이오안전 2등급 시설에서 미생물이나 바이러스를 다루는데 여기서도 간혹 오염이 일어난다. 그러니 이런 바이러스나 세포를 다뤄보지 않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기장의 재발견
2021.12.14
가장 짧다. 조 역시 기장만은 못 하지만 가뭄에 강하고 재배 기간도 짧은 편이다. 반면
단위
면적 당 수확량은 조가 기장의 서너 배에 이른다. 동북아시아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조의 비중이 커진 이유다. ○ 기후변화 위기에 더 빛나는 작물 지난주 학술지 ‘네이처’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 ...
접종완료 후 3개월부터 3차접종...방역패스 유효기간은 6개월
동아사이언스
l
2021.12.10
이익이 매우 크고 분명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다음 주부터 찾아가는 학교
단위
의 백신접종도 추진한다. 학교접종 또는 보건소 방문접종, 예방접종센터와 위탁의료기관 접종 등을 통해 다양한 접종을 실시할 계획이다. 이달 1일 단계적 일상회복을 시행하면서 신규 확진 규모가 ... ...
[일문일답]소아·청소년 정말 꼭 백신 접종을 해야 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1.12.09
성격이 다르다. 대부분이 개인별로 위탁의료기관에서 접종을 진행하는 상황에서 학교
단위
접종은 편의성을 좀 더 제공하기 위함이다. 접종을 쉽게 참여할 수 있게끔 접종방법을 다양화하는 목적이지, 이게 소아·청소년들의 접종의 주된 접종의 경로는 아니다." -청소년의 1·2차 접종 간격과 3차 ... ...
몸속 세포 배양 환경 모사한 플라스틱 접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09
세포배양 접시 표면을 체내 근육조직과 유사한 구조로 만들었다. 펨토초(1000조 분의 1초)
단위
로 레이저 빛을 쏘는 ‘펨토초 레이저’를 활용했다. 또 근육조직이 가진 전기 시그널을 모사하기 위한 전기장 자극 시스템도 플라스틱 세포배양 접시에 도입했다. 연구팀은 개발한 기술로 배양한 ... ...
3년전 쏜`차세대 소형위성 1호 과학성과 한눈에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02
8.0~12.0GHz) 고속자료전송장치와 소형위성 합성개구레이더(SAR) 안테나/송수신(TR) 모듈, 6
단위
체(6U)급 초소형위성(STEP Cube Lab-II) 같은 핵심 우주기술을 볼 수 있다. 권세진 KAIST 인공위성연구소장은 "이번 성과 발표와 전시회가 국내 우주 분야 종사자들이 상호협력을 증진하는 토대가 되길 바란다”라고 ... ...
구글 양자컴퓨터로 신개념 물질 '시간 결정' 첫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1.12.01
주면서 시간 결정을 만들 수 있는 상태를 찾는 방식이다. 양자컴퓨터는 하나의 정보
단위
에 0 또는 1을 동시에 표현할 수 있어 여러 상태를 동시에 계산할 수 있다. 큐비트 사이 상호작용 강도를 무작위로 지정해 어떤 스핀 상태에서도 시간 결정을 이룰 수 있는 조건을 빠르게 찾게 된다. ... ...
의협 "재택치료자 위험 막으려면 지역 의원급 의료기관에 외래진료 개념 도입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1.12.01
코로나19 확진자가 5000명을 넘어섰다”며 이같이 밝혔다. 재택진료를 시행할 때 지역
단위
의원급 의료기관의 외래진료 개념 진료체계 도입이 필요하다고 봤다. 의협은 “산소포화도와 발열 체크만으로는 고위험군의 증상악화를 인지하지 못해 환자 건강에 위험상황이 초래될 수 있다”며 “증상 ... ...
[랩큐멘터리] 2차원 물질이 만드는 공간, 에너지·환경 혁신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01
물질의 최소
단위
인 분자들이 자신의 크기보다 약간 더 큰 공간에서 서로 배열하고 운동하는 현상은 아직도 알려진 게 많지 않은 미지의 영역이다. 빛이 파장보다 작은 공간에서 움직이는 양상 역시 마찬가지다. 공학적으로는 1차원과 2차원 물질이 만들어내는 저차원 공간 내 물질전달 현상을 ... ...
"표준모형이 풀지 못한 입자물리의 비밀 풀어주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1.11.29
완성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표준모형은 우리가 볼 수 있는 물질의 가장 갖은
단위
인 17개 기본입자와 이들의 상호작용인 4개 힘을 정리한 이론이다. 2012년 힉스 입자를 발견한 것을 마지막으로 17개 기본입자가 모두 실험으로 증명됐다. 김 교수는 “다만 표준모형이 아직 풀지 못한 숙제가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