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별
특유
특수
독특
특이
본래
타고남
뉴스
"
고유
"(으)로 총 96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도권]서울대공원 “도전! 멸종위기 금개구리 복원”
동아일보
l
2015.07.10
나왔다”고 말했다. 이 주무관이 털어놓은 비밀의 주인공은 등에 누런 금줄을 두른 한국
고유
종 금개구리(영문명 Seoul pond frog). 과거 서울을 비롯한 한반도 서부 어디서나 흔하게 볼 수 있었던 종이다. 하지만 이제는 경기 서부나 충남 일부의 논, 늪지대에 가야 볼 수 있는 멸종위기종이 됐다. ... ...
입자가속기 손상 시킬 ‘최후의 암초’ 드디어 찾았다
2015.07.08
이탈하는 현상이 일어난다. 공명현상은 소프라노의 목소리 주파수와 유리잔
고유
의 주파수가 일치해 잔이 깨지거나, 군대의 행진과 교각의 주파수가 일치해 무너지는 사례가 대표적이다. 빔이 정상궤도에서 이탈한다는 것은 곧 빔의 손실을 뜻하며, 궤도를 벗어난 빔에 의해 가속기 내부가 손상 ... ...
“한국토종 대회 ‘로봇 축구’, 벌써 스무살 됐네요”
2015.07.06
김종환 KAIST 교수. - KAIST 제공 1999년 1월 시작해 인기리에 연재됐던 드라마 ‘카이스트’에선 로봇으로 축구 경기를 벌이는 장면을 자주 볼 ... 등 총체적인 과학기술이 필요하다”며 “로봇축구가 단순한 대회가 아니라 우리나라
고유
의 ‘과학문화상품’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말했다. ... ...
해킹용 ‘와이파이’ 한 번에 찾아낸다
2015.06.29
내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은 무선인터넷 신호마다 존재하는
고유
의 특징, 즉 ‘무선 지문’을 기반으로 가짜 AP를 실시간 탐지할 수 있는 ‘무선침해대응시스템(WTPS)’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AP를 제어하는 반도체 칩이 스마트폰이나 노트북과 통신하기 위해 디지털 ... ...
인간 진화의 원동력은 ‘부정 본능’
2015.06.28
인간만이 독보적인 지적 존재로 진화한 이유는 뭘까. 저자는 현실을 부정하는 인간의
고유
한 ‘부정본능’ 덕분이라고 주장한다. 가령 세렝게티 초원에 살고 있는 영양이 나뭇가지가 부러지는 소리를 듣고 ‘어떤 나무일까?’ ‘무엇 때문에 부러졌을까?’ ‘어디쯤에 있는 나무일까?’ 등 모든 ... ...
킁킁, 냄새맡는 실 나왔다
2015.06.17
코팅된 환원된 산화 그래핀이 매연에 포함된 이산화질소(NO2)를 만나면 그래핀 산화물의
고유
저항이 바뀐다. 이 변화를 분석하면 가스 농도를 알 수 있다. 연구진은 이 방법으로 유해 가스를 선택적으로 감지하는 가스 센서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섬유형 가스센서는 세탁을 하거나 1000번을 ... ...
“잠재적 슈퍼전파자 계속 등장… 최소 7월까진 장기화 가능성”
동아일보
l
2015.06.16
상황”이라고 말했다. 보건당국이 변화에 용이하고, 예측 가능성이 떨어지는 바이러스
고유
의 특성에 대해서도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양재명 서강대 생명과학과 교수는 “선진국들처럼 앞으로 감염병과 관련된 대응 전략을 수립할 때 의사뿐 아니라 바이러스 전문가인 과학자들도 ... ...
“과도한 공포로 병원 옮겨다녀 감염 확산… 의료진 믿어야”
동아일보
l
2015.06.10
있다”며 “이 경우 병원 내 감염보다 환자 파악과 치료가 훨씬 힘들다”고 말했다. 한국
고유
의 병원 문화에도 문제가 많다고 지적했다. 가장 개선이 시급한 문제로는 ‘병원 옮겨 다니기’와 ‘잦은 병문안’을 꼽았다. 메르스 환자 중 다수가 짧은 기간에 여러 병원을 옮겨 다니면서 감염자를 ... ...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서…
2015.06.08
나이가 들면 건망증이 생기기 마련인데 보통 40대부터 본격적으로 찾아온다고 한다. 먼저
고유
명사부터 까먹는다는 얘기를 어디서 본 적이 있는데 필자 경험상 그런 것 같다. 뻔히 아는 사람을 마주보고도 이름이 생각이 안나 당황했던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입안에서 맴돌 뿐 도저히 생각이 안 나 ... ...
신약 후보물질도 ‘바코드’ 찍어 확인
2015.06.08
44가지 물질을 조합해 100만 가지의 신호를 만들었고, 이를 이용해 생체 후보물질마다
고유
한 바코드를 만들었다. 연구팀은 물질이 내는 신호를 바코드 형태로 바꿔 해독하는 알고리즘도 함께 개발해 분석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켰다. 이 교수는 “바코드 시스템을 활용하면 수많은 생체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