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화학"(으)로 총 5,446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공대|컴퓨터공학부] 4차 산업혁명의 주축 컴퓨터공학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씨는 대전과학고를 졸업하고 수시 일반전형으로 컴퓨터공학부에 입학했다. 원래는 화학에 관심이 많았지만, 공부를 계속할수록 자신이 연구와는 잘 맞지 않는다는 걸 알게 됐다. 한 씨는 눈에 드러나는 결과물이 좀 더 분명한 학문을 하고 싶었는데, 그중에 컴퓨터공학이 ‘로우 리스크 하이 리턴 ... ...
- [시사기획] 독감 걸렸는데, 타미플루 먹어도 될까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크지 않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연구는 미국미생물학회가 발행하는 ‘항균제 및 화학요법’ 2008년 8월 11일자에 실렸다. doi: 10.1128/AAC.00344-08 타미플루가 작용하는 효소인 뉴라미니데이스는 시알리데이스의 일종이다. 시알리데이스는 당단백질이나 당지질을 구성하는 당인 시알산을 분해하는 ... ...
- [이달의 PICK] 숙제할 때 찾는 위키백과 서로 못 믿어서 내용이 정확해졌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피츠버그대 경제학과 공동연구팀이 인공지능(AI)을 이용해 화학 분야의 논문을 조사한 결과, 논문에 쓰인 830개 단어마다 1번꼴로 위키백과 내용이 반영됐다. doi: 10.2139/ssrn.3039505 위키백과의 성장 배경에는 ‘모든 사용자가 동등한 편집권을 갖는다’는 아이디어가 있다. 실제로 위키백과는 ...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02 조용한 겨울의 살인마 일산화탄소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내리자 두 사망자의 모습이 보였다. 검시를 위해 변사자의 몸부터 확인했다. 사망 후 화학적 변화로 인해 형성된 강직 때문일까, 아니면 2월 한겨울 산속 차가운 기온 때문일까. 부부의 몸은 딱딱하게 굳어 있었다. 검시를 진행하는 손끝에도 소름 돋는 냉기가 전해질 정도였다. 텐트 안에는 타다 ... ...
- [Culture] 머리는 사람, 몸은 기계 다시 깨어난 사이보그 전사 알리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인공 홍채를 개발한 적이 있다. 아리 프리메기 핀란드 탐페레공대 화학생명공학과 교수팀은 빛에 반응하는 액정 엘라스토머(탄성을 가진 플라스틱 소재)로 인공 홍채를 만들어 빛의 세기에 따라 동공의 크기를 조절하게 했다. 주변 빛이 강할 경우 동공의 크기를 줄여 빛 ... ...
- [SPACE] 토성의 ‘절대 고리’가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연구팀은 ‘고리 비(ring rain)’라고 명명했다. 전하를 띤 고리 입자가 이온층의 H3+과 화학작용을 하기 때문에 고리 비가 내리는 곳에서는 H3+의 방출량이 줄어든다. 연구팀은 토성에서 H3+방출선이 어둡게 보이는 위도대를 지나는 자기력선을 따라가 보면 토성의 고리가 존재하고, 반대로 H3+방출선이 ... ...
- [나의 영국 유학 일기] 땅값이 비싼 런던에서 대학교에 다닌다는 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런던은 중심부(central London)인 1존(Zone 1)을 중심으로 9존(Zone 9)까지 나눠져 있다. 이 구역에 따라 생활비가 달라진다. 생활비가 가장 비싼 구역은 당연히 런던 중심부인 1존이다. 관광지도 많고, 쇼핑으로 유명한 각종 거리와 뮤지컬 극장, 박물관, 미술관들이 대부분 이곳에 있다. 런던의 유명한 대학 ... ...
- [화보] 생활 속 화학물질, 예술이 되다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매우 길고 바깥에는 온통 얼음과 눈뿐이에요. 그래서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다양한 화학물질의 결정에도 관심을 가졌지요. Q 사진 속 결정은 어떻게 만드나요? ‘구연산’을 예로 들어볼게요. 구연산 가루를 구입해 따뜻한 물에 잘 녹여 포화용액을 만들어요. 만든 용액을 유리판에 한 ... ...
- 나도 스토리 어드벤처 게임 디자이너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예를 들어 총을 쏘는 게임이라면 각도와 방향을 알아야 하기 때문이지요. 여기에 화학 지식까지 있으면 더 실제처럼 구현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제 맘대로 잘 되지 않아 힘들었지만, 결과물을 보니 제가 창조주가 된 기분이었어요. 제 꿈은 원래 역사학자였는데, 오늘로 꿈이 프로그래머로 ... ...
- [이달의 PICK] 분노는 발명의 어머니? 난다 화가, 한다 발명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이렇게 말했다. 1980년대 후반, 나카무라 교수가 일본의 화학분야 중소기업인 니치아 화학공업에 재직할 당시 적색과 녹색 LED는 있었지만, 청색 LED는 없었다. 나카무라 교수는 “당시 사장이 ‘청색 LED는 만들어지지 못할 것’이라고 말해 화가 났고, 나는 청색 LED를 개발하게 해달라고 ... ...
이전8182838485868788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