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피부"(으)로 총 2,457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이제 발가락 안 자를 거죠?”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낙인을 찍고 싶겠는가. 그래서 찾아낸 것이 무늬다. 동물의 무늬는 태아 때 멜라닌이 피부에 확산되면서 만들어진다. 지문처럼 개체마다 다르고, 평생 거의 바뀌지 않는다(아래 참조). 그렇다면 무늬를 자동 인식하는 프로그램을 만들면 되지 않을까.서로 다른 무늬를 죽 모아놓고 번호만 붙이면 되니 ... ...
- [교과연계수업] 내 몸이 탈수 상태라고? 물 마시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오줌 말고 땀으로도 몸속의 노폐물이 배출된다. 그런데 수분이 부족하면 노폐물들이 피부 밖으로 나오지 못하고 쌓여 염증을 일으키고 여드름이 된다. 고혈압 피는 92%가 물로 이뤄져 있다. 그런데 물이 줄어들어 피가 끈적끈적해지면 혈압이 높아진다. 노폐물 쌓임몸에 물이 부족하면 신장이 ... ...
- PART 2. 광대뼈가 높을수록 진실한 사람이라고?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부드러운 피부, 맑은 눈, 윤기가 흐르는 머리카락’이다. 버스 교수에 따르면, 티 없는 피부는 기생충에 감염되지 않았고, 상처도 잘 낫는 좋은 유전자를 지녔다는 뜻이다. 안색이 좋으면 병 이나 상처가 없었다는 뜻이고, 혈색까지 느껴지면 건강하다는 신호가 된다. 건강한 젊은 여성일수록 ...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빨간 모자는 어느새 손 끝에 닿은 할머니 무릎을 가만히 쓰다듬어 보았어요. 피부 너머 어느 세포 속 유전자가 빨간 모자의 몸속에도 들어 있을 거예요. 더욱 가까워진 할머니의 온기를 느끼며 빨간 모자는 가만히 눈을 감았어요. 왜 진화니 세포니 하는 것 때문에 인간은 늙고 병들고 힘들어해야 ... ...
- 스킨십하면 행복 호르몬 퐁퐁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아주 약한 자극이라도 뇌가 금세 알아차려요. 어떻게 알아채냐고요? 친구와 손을 잡으면 피부에 있는 감각수용기에서 감각 자극을 전기적 자극으로 바꿔요. 이 전기적 자극은 척추 안에 있는 신경인 척수를 통해 뇌로 전달되지요. 뇌로 전달된 전기적 자극은 대뇌피질, 시상, 뇌하수체 등 뇌 곳곳으로 ... ...
-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장난감 총을 들고 짙은 녹색 옷을 입은 소년을 군인으로 오인해 사격하기 쉽다. 사람은 피부에 스치는 바람, 풍기는 냄새, 들려오는 소리 등 다양한 정보를 종합해 비교적 정확하게 상황을 판단할 수 있지만, 컴퓨터는 2차원 영상을 이용하므로 융통성 있는 판단이 거의 불가능하다.최종판단은 ...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가지고 있거나 납작한 코를 가지고 있는 사 람, 턱이 뾰족하지 않은 사람도 있다. 다양한 피부색과 머리카락색, 눈동자색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다 현생인 류라는 범위에 포함돼 있다. 현생인류의 얼굴은 몇 가 지 특성으로 재단할 수 없을 만큼 다양하다. 다양한 얼굴 중에는 한국인의 얼굴도 있다. ... ...
- [시사] 우리가 작아진다면?수학동아 l2014년 08호
- 비례해 줄어들지만, 면적은 제곱에 비례해 줄어들기 때문이다.표면적이 커지게 되면 피부를 통해 발산되는 열의 양이 늘어난다. 날아간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음식을 먹어 열량을 높이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작은 동물일수록 몸 두께가 얇아 금방 몸이 식어버리기 때문에 발산되는 열의 양이 ... ...
- [hot science] 달의 여신의 눈빛, 루나 스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늙는’ 셈이다. 대기권과 지구 자기장의 보호를 받는 지상의 사람도 햇빛을 많이 쬐면 피부가 그을리고 늙는데, 보호막이 거의 없는 달 표면에서 암석이 늙는 것은 시간 문제다. 달을 비롯해 어지간한 우주의 소천체가 검은 것이 이런 이유 때문이다. 그렇다면 스월이 있는 지역에서는 이런 ... ...
- Part 1. 줄기세포 치료제 언제 나오나과학동아 l2014년 07호
- 하도 활개를 치자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허위·과대광고 특별점검을 실시해 ‘피부 재생’이나 ‘세포 재생’이라는 말을 쓰지 못하도록 했다. 그런 효과가 가능하다면 애당초 의약품이지 화장품으로 분류하지 않았다. 김승현 교수는 “줄기세포 치료는 향후 의·생명분야의 핵심으로 떠오를 텐데, ... ...
이전8182838485868788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