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리"(으)로 총 3,95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3. 미래엔 소프트웨어가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24쪽 Inside 참조). 하지만 이번 소프트웨어의 위기는 전보다 해결하기 어렵다. 일을 하나씩 처리하는 기존의 방식(폰노이만 방식)이 아닌, 완전히 새로운 방식의 5세대 컴퓨터가 개발되고 있기 때문이다. 소프트웨어가 마주할 다음 위기는 바로 이 5세대 컴퓨터에 적용할 소프트웨어가 없다는 점에서 ... ...
- 포스가 깨어났다, 과학으로 영접하라!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인식해서 임무를 수행할 뿐 아니라 우주선 설계도 같은 대용량 정보를 저장하거나 처리할 수 있고, 입체 홀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는 영상장치도 갖췄다. 무엇보다 상황에 따라 임기응변을 발휘할 수 있는 판단력을 갖췄다는 점에서 현재의 로봇 기술을 넘어선다.스타워즈에서 영감을 받아 실제로 ... ...
- Intro. 디지털 시대의 종말, 5세대 컴퓨터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디지털 대신 연속적인 아날로그를, 동시에 엄청난 양의 연산을 처리하는 초병렬방식의 컴퓨터를 각기 다른 방식으로 구현한다. 그런데 과연 우리는 새 패러다임을 맞을 준비가 되어 있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디지털 시대의 종말, 5세대 컴퓨터Patr1. 폰노이만 vs ... ...
- Part3. ‘살아남은 자’의 슬픔, 뇌를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편도체가 극도로 민감해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편도체는 정서와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거나, 특정 사건과 감정을 연결지어 기억하는 부위다.미국 터프츠대 심리학과 리사 신 교수팀은 기능성자기공명영상(MRI) 실험을 통해 만성 PTSD 환자의 경우 전두피질에 있는 전방대상피질이 제대로 작동하지 ... ...
- 3D 프린터로 만든 제품, 독성 주의!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뼈, 장난감, 우주선…, 세상에 못 만드는 것이 없는 기술로 각광받던 3D 프린팅 기술이 안전성 논란에 휩싸였다. 미국 UC리버사이드 윌리엄 그로버 교수팀은 STL ... FDM 방식에 비해 5배 높았다. 윌리엄 그로버 교수는 “특히 3D 프린팅의 폐기물을 안전하게 처리해야한다”고 당부했다 ... ...
- “너 이제 TV 켤 거지?” 점쟁이 인공지능 탄생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딥러닝’시켰다. 딥러닝 기술은 많은 데이터에서 패턴을 발견해 사물을 구분하는 정보처리 방식으로 시각 분야 인공지능을 구현할 때 주로 적용한다. 대니엘 카스토 박사과정 연구원은 “인공지능 프로그램이 인간의 행동을 83%의 정확도로 예측했다”며 “머지 않아 인간의 다음 행동을 예측해 ...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있다”며, “홀터스를 비롯한 다양한 감각기관에서 정보를 수집하지만 결국 이 정보를 처리하는 곳은 뇌”라고 말했어요. 실제 초파리의 뇌는 소금 알갱이만큼 작아요. 디킨슨 교수는 초파리의 행동과 뇌의 변화를 동시에 관찰하는 연구도 진행 중이랍니다. 연구팀이 밝혀낸 초파리의 능력을 ... ...
- 수능 보는 로봇, 머릿속에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과정으로 문제를 풀이한다. 먼저 문제를 읽고 자신들의 언어로 바꿔주는 ①자연어 처리과정, 여러 문제들의 유형과 답을 학습하는 ②학습(기계학습) 과정, 그간의 학습을 바탕으로 신뢰도가 높은 답을 선택하는 ③추론 과정을 거친다.지금까지 인공지능의 수준을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가지였다. ... ...
- “디젤도 할 말 있다” 클린 디젤의 꿈과 현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환원 장치(SCR)를 사용하려면 추가로 비용을 들여 요소수(암모니아수)를 사용해야 한다. 후처리 장치를 달 경우 배출가스의 압력이 더 높아지면서 배출이 원활히 안 돼 연비가 낮아질 수도 있다. 이처럼 자동차 업계에서는 ‘친환경’과 ‘연비’가 동전의 양면과도 같다.내연기관 연구비 4년새 70% ...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1960년대 처음 등장한 광자 울림은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고속으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는 특징 때문에 한때 큰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낮은 재생효율과 극저온에서만 가능하다는 제약 때문에 1990년대 후반에는 자취를 감췄다. 2000년대 들어 정지 빛을 포함한 여러 양자메모리 방식들의 ... ...
이전8182838485868788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