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명
입증
확증
근거
보증
증언
뒷받침
d라이브러리
"
증거
"(으)로 총 2,262건 검색되었습니다.
2012 올해의 과학책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동물은 보호의 입장에서도 관심이 필요하지만, 중요한 과학이론인 진화론의
증거
로도 필요하다. 특히 올해 우리나라에서는 창조과학 관련 단체의 요구로 고등학교 생물학 교과서 일부에서 시조새(사진)와 말의 진화 내용이 빠지는 사태가 벌어지고, 이 내용이 ‘네이처’에 보도되면서 세계적인 ... ...
Part 1. 조미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MSG로 덮어버릴 수 있다는 사실은 전문가들도 인정하는 문제다.MSG에 돌을 던지려면
증거
가 없는 유해성보다는 이쪽에 조준해야 하지 않을까. 그렇다고 해도 기자로서는 MSG를 써서 음식을 해주시는 어머니를 탓할 수 없다. 세상의 어느 어머니인들 좋은 재료를 쓰고 오랜 시간과 정성을 들여서 맛있는 ... ...
죽음의 공포를 삭제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하지만 기억 삭제는 윤리적인 문제가 많기 때문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아직 실험적
증거
는 없지만, 이런 후천적 공포도 결국 죽음의 공포를 담당하고 있는 신경회로와 관련이 많다는 느낌을 강하게 받는다. 사실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다면 다른 어떤 두려움도 문제가 되지 못한다. 신경회로 ... ...
암흑물질 3파전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극단적으로 다른 행동을 보여주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역시 암흑물질의 강력한
증거
다.하지만 이 은하단 충돌 사건에는 덧붙여 설명할 내용이 있다. 왼쪽 분석 사진을 자세히 살펴보자. 은하(오렌지색)는 이미 충돌해 반대 방향으로 한참 지나쳐 버렸다(➋). 암흑물질(푸른색)도 오렌지색 영역 ... ...
확장한글의 꿈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등을 만들었다든지 명나라 옥편 홍무정운에 훈민정음으로 발음토를 달아 번역한 것도 그
증거
다. 이러한 글자들은 모두 ‘확장 훈민정음’이었다.이렇게 외국어 발음까지 표기하려했던 훈민정음 정신은 반포 후 60년이 지나 연산군의 언문근압 정책이 시작되면서 지하로 들어가 버렸다. 임진왜란 ... ...
Bridge 2. 암컷의 영악한 선택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발현, 다양한 짝짓기 전략, 심지어 새로운 종으로의 분화에도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는
증거
가 속속 드러나고 있다. [과연 수컷새는 진짜 자기 자식을 먹여 살리고 있을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엄마도 몰랐던 임신의 비밀Part 1. 2등 정자가 임신한다Bridge 1. 임신에 대한 진실 Q&APart 2. ... ...
광합성 하는 곤충 첫 발견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온라인 과학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 8월 16일자에 공개했다. 곤충계에서 광합성의
증거
가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카로티노이드는 엽록체가 광합성을 할 수 있도록 햇빛을 모아주는 역할을 해 식물계에서는 흔한 색소다. 동물도 카로티노이드가 필요하지만 직접 합성하는 동물은 드물다. ... ...
2012 한반도를 습격하다! 말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수 있을까도심에 말벌이 출몰하는 건 그만큼 도심 환경이 말벌이 살만큼 좋아졌다는
증거
다. 포식성 곤충은 먹이가 되는 곤충이 있어야 살 수 있기 때문이다. 1970, 80년대에는 일단 엎어놓고 보자는 식으로 도심개발을 하다 보니 녹지도 없고 하천도 복개했지만 1990년대 들어 ‘삶의 질’을 생각하게 ... ...
진돗개는 과학적으로도 ‘한국 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갖고 있지 않은 고유한 DNA 부분을 아홉 개나 찾아냈어요. 진돗개가 고유한 품종이라는
증거
지요.연구팀은 진돗개의 게놈 지도도 만들었어요. 독일 과학자들이 알아낸 복서라는 개 품종의 게놈과 비교했더니 유전적으로 0.2% 정도 다르게 나타났어요. 사람이 인종끼리 0.1% 정도 다른 것에 비하면 큰 ... ...
Part 3. 깨물어서 안 아픈 손가락 없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편애하는 경향이 있다. 비슷한 외모는 아이가 자기 유전자를 물려받았다는 유력한
증거
가 되기 때문이다. 전 교수는 한 가지 실험을 근거로 들어 설명했다.“남녀에게 여러 아기 사진을 보여주고 뇌에서 친밀감을 느끼는 부위가 활성화되는지를 관찰했습니다. 남자는 자기와 닮은 아기 사진을 봤을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