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변
환경
둘레
근처
외주
원주
가장자리
d라이브러리
"
주위
"(으)로 총 3,171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다 이구아나, 새 신부를 유혹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달궈진 파나마 난류와 남쪽에서 올라오는 영양분이 풍부한 훔볼트 한류 등 세 해류가 섬
주위
를 감싸기 때문에 한류와 난류에서 사는 물고기들이 풍부하다(115쪽 참조).대표적으로 가장 큰 물고기인 고래상어와 망치상어를 들 수 있다. 이곳 사람들은 “갈라파고스 상어는 먹을 게 많기 때문에 사람이 ... ...
순간 포착! 동물생애 최고의 순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친구들이 생각하는 최고의 순간은 언제인가요? 그 순간을 사진으로 남긴다면 정말 좋겠죠? 여기 동물 생애 최고의 순간을 담은 사진들이 있 ... 평소에 노란색이지만 짝짓기 철이 되면 검은색으로 바뀌지요. 짝짓기 철이 되면 눈
주위
의 피부가 사진처럼 아름다운 초록빛 혼인색이 된답니다 ... ...
3화 괴짜 수학자 모일러의 저택을 통과하라!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엄청나게 부자인가 봐?”폴의 말에도 폴리스는 대답하지 않고 딱딱하게 굳은 표정으로
주위
를 경계하고 있었다.“폴리스! 뭘 그렇게 두리번거리는 거야? 이 숲에 뭐라도 있는 거야?”폴리스의 굳은 얼굴이 아니더라도 이 숲은 묘하게 기분 나쁜 데가 있었다. 키 큰 나무들 때문에 어두컴컴하고 ... ...
태양과 ‘맞짱 뜬’ 혜성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에는 중앙부분에 차광판이 붙어 있어 태양 자체의 빛을 막을 수 있다. 원래는 태양
주위
에 아른아른하게 빛나는 고층 대기 코로나를 분석하기 위한 장치지만, 태양에 가깝게 접근하는 혜성을 발견하는 데 아주 적합하다. 하지만 이 차광판 때문에 SOHO가 관측해온 혜성은 태양에서 멀리 떨어진 상태에 ... ...
미션따라 변신하는 팔방미인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수준이 높아지면 서비스 로봇에서도 LCD 모니터가 사라질 것”이라며 “다양한 센서에
주위
상황을 논리적으로 이해하는 능력이 더해지면 훨씬 진일보한 서비스 로봇이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화제가 됐던 아이폰의 음성인식 ‘시리’에도 음성 인식에 인공지능 기능이 추가됐다. 단순히 ... ...
눈으로 느끼는 소리의 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코끼리는 12Hz 정도의 초저음파를 이용해 의사소통한다. 낮은 소리는 높은 소리에 비해
주위
공기 움직임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멀리까지 전달된다. 높은 음인 여자 목소리보다 낮은 음인 남자 목소리가 멀리서 더 잘 들리는 것도 비슷한 이치다. 박쥐의 초음파는 보통 20m보다 더 멀리까지 ... ...
[hot science] 그 위성은 왜 죽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테티스 같은 토성 안쪽 위성들이 그 주인공이다.토성 고리를 이루는 얼음알갱이는 토성
주위
를 돌던 위성의 잔해로 밝혀졌다. 위성을 죽인 범인은 바로 토성인 것이다. 그렇다면 다른 행성의 고리도 행성이 위성을 흡수하고 남은 흔적일까. 아직 카눕 박사의 가설은 토성에만 적합한 것으로, 다른 ...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몸 전체가 꽁꽁 어는 것은 아니라 몸속의 물 가운데 65% 정도가 얼음으로 바뀐다네요.
주위
온도가 영하로 떨어지면 피부 아래부터 얼음결정이 생기기 시작합니다. 동시에 간에 저장돼 있던 글리코겐이 포도당으로 분해되면서 혈당수치가 평소의 100배 이상으로 급증합니다. 포도당은 혈관을 타고 ... ...
“게코도마뱀 발바닥에서 딱정벌레 날개를 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생각해보면 저는 정말 시대를 잘 타고난 것 같습니다. 여러 분야에서 공부를 하다 문득
주위
를 보니 학문 사이의 융합이 강조되는 시대가 됐으니까요.” 지금까지 서 교수가 발표한 160여 편의 논문은 더 큰 도약을 위한 서막에 불과하지 않을까 ... ...
유전자 적중과 배아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두 번째 기사에 소개된 것처럼, 미분화 상태로 체외 증식이 가능하며 적절한
주위
자극에 따라 몸을 이루는 여러 세포로 분화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와 유전적으로 같은 배아줄기세포를 만들고 유전자 적중 기술로 배아줄기세포의 비정상 유전자를 정상 유전자로 바꾼다. 하나의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