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Zone
구역
시골
지방
지대
죤
d라이브러리
"
존
"(으)로 총 1,283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몸에 꼭 맞는 재료 설계사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두께가 10mm인 니켈 합금을 만들어 세계 최고의 실력을 인정받았다. 이 합금은 기
존
합금에 비해 3배 이상 강하고, 쉽게 부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만드는 공정이 단순해 산업에 적용하기 쉬웠다.마그네슘 합금 개발도 주목받았다. 마그네슘 합금은 알루미늄보다 강해서 쓰임새가 많지만 ... ...
한국 최초의 우주인은 누구?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우주선을 조종하며 무사히 귀환했다. 글렌은 그 뒤 상원의원으로 활약하며 국민의
존
경을 받았다. 1998년 77세의 나이로 다시 우주왕복선에 탑승하며 노익장을 과시하기도 했다.각국 최초의 우주인은 군인 출신이 많다. 2003년 중국 최초로 선저우 5호를 타고 우주비행에 성공한 양 리웨이는 공군 ... ...
상식을 깨자, 마음껏 즐기자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어른들은 흔히 나이가 들면서 ‘머리가 굳는다’는 말을 한다. 사고가 유연하지 않고 기
존
사고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자신을 창의적이라고 말하는 사람은 더더욱 찾기 힘들다. 왜 그럴까. 학교교육과정 속에 단골로 등장한 창의성 이론대로라면 우리도 이제 어느 정도 ... ...
꺼진 연구 불 지핀 톰슨과 크롤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관계를 설명한 논문도 발표한다. 그에 따르면 별에는 처음에 수소와 같은 가벼운 원소만
존
재했다. 그러나 막대한 열을 받은 수소가 모여 더 무거운 원소로 차례로 전환된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엄청난 열은 과거 두 개의 태양에서 유래된 에너지라고 설명했다.수소가 더 무거운 원소인 탄소로 ... ...
무엇이든 만드는 만능인쇄시대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부품을 교체할 수 없기 때문에 수리할 수 없다. 반도체 등의 재료가 될 고분자는 기
존
실리콘보다 가격이 싸지만 성능이 떨어진다.신장 같이 큰 장기의 조직을 만들기 위해서는 충분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 프린팅 기술로 세포가 빨리 증식할 경우 비정상적으로 성장할 ... ...
천재 미디어 아티스트 백남준을 추모하며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색채로, 피에트 몬드리안처럼 심원하게, 잭슨 폴록처럼 야생적으로, 그리고 제스퍼
존
스처럼 리드미컬하게 표현할 수 있다”고 장담했다.그런 백남준의 예상은 그대로 들어맞았고 실제로 현대미술은 비디오아트, 레이저아트라는 하이테크 예술세계로 나아가고 있다. 그는 실제로 레이저를 이용해 ... ...
적록색맹의 경쟁력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봤다. 정상인이 볼 수 없는 색을 적록색맹인 사람이 볼 수 있다는 말이다.연구를 주도한
존
몰론 교수는 “2차 세계대전 때 색맹인 사람들이 적군의 위장을 알아채는데 탁월했다는 속설이 있었다. 이번 연구가 이를 증명한 셈”이라고 말했다. 나뭇잎 등 주변 배경과 비슷하게 보이는 위장색은 ... ...
스트루베와 뉴컴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즉 그가 본 것은 실제 별이 아니라 밝은 별빛이 망원경 렌즈 면에 부딪쳐 만들어낸 ‘
존
재하지 않는’ 별이었던 셈이다. 20 년 지나서야 찾은 별스트루베는 자신이 큰 실수를 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리고 곧 자신의 발견이 잘못됐음을 발표했다.시간이 지나 뉴컴도 결국 동반성을 찾는데 실패한 ... ...
펭귄의 똥은 얼마나 날아갈까···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강조했다. 물리학상은 1세기에 걸쳐 연구를 계속해온 의지의 과학자, 퀸즈랜드대
존
메인스톤과 고(故) 토마스 파넬 박사가 받았다. 이들은 원유를 정제할 때 나오는 찌꺼기인 타르가 겉으로는 고체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액체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1927년부터 실험을 시작했다. 이들은 ... ...
1. 레이저로 측정 한계 극복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그들의 주파수를 시간표준기로 간단히 측정할 수 있었다.이제 가시광선 영역에
존
재하는 어떤 레이저의 광주파수도 광주파수 빗을 이용하면 간단히 측정할 수 있게 됐다. 광주파수 빗이 일종의 측정용 ‘자’ 역할을 하는 셈. 100조분의 1 초까지도 정확히 측정 가능해졌다. 1983년 채택된 시간 표준을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