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원"(으)로 총 2,4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캡틴 아메리카, 준결정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04호
- 물질을 발견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또한 지난 해 6월에는 미국 자원부 산하 아메즈 연구실의 과학자들이 새로운 희토류 정20면체 준결정을 발견했다. 그리고 10월에는 독일 마틴루터대 볼프 빌드라 연구진이 부도체, 반도체, 도체의 성질은 물론 초전도 현상까지 보이는 ... ...
- 아리송한 투수 교체의 순간, 수학은 알고 있다수학동아 l2014년 04호
- 연달아 안타를 맞았다면, 감독은 가장 먼저 투수 교체를 고민한다. 하지만 한정된 투수 자원 안에서 무작정 교체가 해답일 수는 없다. 따라서 적절한 투수 교체 시기는 감독의 능력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다.미국 MIT의 컴퓨터공학과 존 구텍 교수팀은 이런 감독의 고민을 덜어 주고자 적절한 투수 ... ...
- PART3. '알도둑' 오비랍토르의 누명을 벗기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더 치밀하게 되살릴 수 있지 않을까. 한국-몽골 국제공룡탐사 프로젝트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몽골과 학원, 미국 남부감리대, 캐나다 앨버타대의 공룡학자들을 주축으로 2006년부터 매년 여름 40여 일씩 5차례에 걸쳐 진행했다. 한국이 주관하는 최초의 국제공룡탐사이기도 하다. 발굴한 모든 ... ...
- 우리 학과 뭘 배우지?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원하는 물질 뽑아낸다화공생명공학은 천연자원, 생물자원으로부터 생활에 필요한 물질을 만드는 화학·물리·생물 공정을 설계하고 관리하는 학문입니다. 전통적으로 원유에서 추출한 화학물질을 분리·정제해 연료 및 플라스틱을 만드는 공정이 화학공학의 기본 바탕이었습니다. 최근에는 나노, ... ...
- BRIDGE. 경주 방폐장 부지, 과연 ‘안녕’한가?과학동아 l2014년 03호
- 판정됨”이라고 했다. 활성단층이 없다는 평가를 내렸다. 하지만 이미 2003년에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는 월성원전 부지에서 각각 5km와 1.8km 떨어져 있는 수렴단층과 읍천단층이 활성단층이라고 확인했다. 단층 활동시기는 짧게는 3만 2000년에서 길게는 약 8만 년 전과 12만 5000년 전으로 추정됐다 ... ...
- 공룡박물관 지킴이 ‘젤로시러 사우루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업새블라도 오늘만큼은 장난치지 않기로 약속했다.“하하, 저도 오늘은 즐거운 마음으로 자원봉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젤로시러 관장을 돕기로 한 썰렁홈즈와 악당업새블라. 지금 두 사람은 개관식이 모두 끝나고 즐거운 마음으로 뒷정리를 하고 있다. 공룡의 응가(?) 정리…. 어린이날 선물 ... ...
- BRIDGE 전쟁, 학문을 낳다과학동아 l2014년 02호
- 1차 세계대전이다.유럽에서는 근대국가 형성 초기부터 군사 문제 때문에 과학에 자원을 배분했다. 17세기 후반 프랑스 육군의 공병장교인 세바스티앙 보방은 위력이 세진 대포에 대항할 수 있는 ‘성형요새(星形要塞) 축성술’을 집대성했다. 튼튼한 요새를 세울 때 삼각법과 기하학이 필수가 되면서 ... ...
- PART 1. 응답하라,장보고과학기지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안타깝게도 남극점에서 되돌아오지 못했다.남극 대륙의 거대함이 알려지고, 어마어마한 자원이 묻혀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1957~1958년에는 전세계 과학자 5000여 명이 참가한 대규모 탐사가 실시됐다. 1959년 12월 1일, 남극 조약이 체결되며 ‘남극은 어떤 국가의 영토도 아니며, 오로지 평화를 ... ...
- PART 3. 지구 기후의 마지막 퍼즐 남극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잠들어 있는 지하자원을 미리 조사하기 위해서일까. 수천m가 넘는 두꺼운 얼음을 뚫고 자원을 개발하는 작업은 아직 먼 미래의 일이다. 현재 남극 연구의 대세는 지구온난화 이슈를 포함한 기후다.기후 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한다20세기 후반부터 대기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남극을 주목했다. ... ...
- LED 밑에서 잠 못 드는 닭과학동아 l2014년 02호
- 국립축산과학원의 제안대로 2012년에 보급되는 LED 전구의 규격이 개정됐다(산업통상자원부 지원 LED 전구 규격 개정). LED전구의 빔각은 140° 이상, 밝기 조절 기능이 필수 사양으로 추가됐다. 또한 빛의 파장 범위를 전구색인 색온도 2600K~3150K로 제한하던 항목은 폐지했다(146쪽 inside 참조). 국내의 ... ...
이전8182838485868788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