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
대륙
대지
지면
뭍
지상
토지
d라이브러리
"
육지
"(으)로 총 886건 검색되었습니다.
10만메가톤의 에너지 태풍의 생성과 소멸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적도에 대하여 열의 적도전선이라 한다. 이 적도전선은 북반구가 남반구에 비하여
육지
가 많기 때문에 항상 북쪽으로 기울어져있고 더우기 여름철에는 한층 더 북상하게 된다.서태평양에서 발생한 태풍의 10년간 발생빈도를 월별로 통계 낸 결과를 보면 서태평양에서는 연간평균 27회 발생하며 ... ...
전세계 350여마리뿐이라는 노랑부리 백로 1백여마리 서해 무인도에 숨어 살다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요청키로 했다.조류학자들은 신도가 노랑부리백로등의 집단번식지가 된것은
육지
에서 먹이인 민물고기나 민물조개등이 귀해진데다 먹이들이 농약에 오염됐기때문으로 보고있다.희귀한 새들이 사람들이 저지르는 먹이오염과 무분별한 개발을 피해 스스로 외딴 무인도를 서식지로 선택했다는 ... ...
Ⅲ바다의 폭도-해일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파장이 짧아지고 봉우리와 봉우리의 거리가 좁아져 급속히 파고가 높아지면서
육지
를 덮친다. 그러므로 난바다쪽에 출어했던 어선은 해일이 생긴줄도 모르다가 귀항했을때 비로소 해일의 참상을 보게된다. ■높이 85m의 해일 해일이 일어났던 최대파고는 전형적인 V자형의 만에서 24m~38m나 되었다는 ... ...
바다의 약탈자 상어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또 흰살에 아주 붉은 스키니 수영복을 착용했을 때도 위험이 높다. 상처가 나 피가나면
육지
로 나와야 한다. 다음에 여성은 월경때 바다에 들어가서는 안되며, 대소변을 바다에서 보아도 안된다. 개 또는 말과 함께 수영하는 일도 위험천만이다. 그밖에도 밤이나 음산할 때에 헤엄치지 말아야 한다 ... ...
PARTㆍ3 전력생산에서 레저활동까지 내수면,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내수면의 면적이 늘어난다는 것은
육지
면적의 감소를 의미한다. 이것은 간척사업에 의해
육지
가 증가하는 것과 대조적인 현상이다. 그러나 내수면도 국토의 일부인만큼 오히려 효율적인 이용이라는 측면에서 파악해야 할 것이다. 내수면은 각종의 용수공급 발전 홍수조절 등의 1차적인 기능을 ... ...
여기는 땅의 끝 파타고니아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푹 덮여있기 때문이다. 남반구의 편서풍대는 지구를 완전히 일주하고 있다. 가로 막는
육지
라고는 뉴질랜드와 이곳 파타고니아 밖에 없다. 아프리카나 오스트레일리아는 편서풍대의 북쪽에 있는 것이다. 그런데 태평양의 습기를 듬뿍 머금은 구름이 최고 해발 4천m나 되는 파타고니아 안데스에 ... ...
PART 2 지구와 물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있어 증기엔진과 비슷하다. 거대한 수력엔진의 화실이 되는 셈이고 보일러는 해양과
육지
이며 응결장치가 차가운 상공의 대기이다. 이 거대한 엔진은 천후를 만들고 기후를 결정하고 해양의 흐름에 방향을 바꾸고 계곡을 깎고 삼각주를 만들며 지상의 생명을 유지한다. 살아 움직이는 ... ...
희귀동식물의 보고 설악산의 생태계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일어났다. 동해안 가까운 바다속에 남북방향의 단층이 생기며 동쪽에 연결되어 있던
육지
는 점점 침강하여 바다로 덮이기 시작하고 한반도의 동쪽은 반대로 높이 솟아오르기 시작하였다. 동시에 한반도 서쪽은 침강하여 황해로 덮이게 되었다. 이때에 동해쪽에는 태백산맥의 원형이 생겨났고 동쪽 ... ...
수산·해양분야의 선구 부산수산대학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큰 활약을 보였다는게 수산대학측의 자랑거리다.수산대학은 바다뿐 아니라
육지
의 내수면어업에도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수산해양학부에 소속된 양식학과가 바로 내수면어업을 다루는 곳인데, 여기서는 각종수산동물의 양식에 관한 학과목을 교수할 뿐 아니라 대학구내에 양어장을 설치해 ... ...
행성지구 그 신비를 해부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운명은 사람손에지구는 살아있는 행성이다. 지구상의 모든 생물체는 공기와 바다 그리고
육지
를 통한 영양소분배의 순환과정의 일부를 담당하고 있다.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지구의 모든 생물은 거대한 지질학적 순환으로 연결돼 있다.그러나 인간의 인위적인 행위는 이처럼 어느 정도 자생력을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