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공학"(으)로 총 1,302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인 게놈지도 초안 6월 발표과학동아 l2001년 04호
- 인간게놈지도의 발표를 선망의 눈으로 바라봤던 우리나라도 마침내 본격적인 게놈시대에 돌입했다. 공개된 인간게놈 정보를 바탕으로 새로운 유전자를 찾고 기능을 밝히는 포스트 게놈 연구가 심도 깊게 진행되고 있다. 한국인 고유의 유전자에 대한 연구와 벼, 배추, 한약재 등 한국 고유의 생물 ... ...
- 생명의 파노라마과학동아 l2001년 04호
- 사람들의 발걸음을 가볍게 해준다.이 책이 소개하는 생물학의 세계는 기본적으로 첨단 유전공학의 모태가 된 세포생물학과 분자생물학을 다루고 있다. 두학문 분야의 이름만 들어도 왠지 어렵다고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이 책은 생물학의 기본 용어부터 생물 구성 요소들의 명칭과 구조, 그리고 ... ...
- 행운을 만드는 생물공학계의 아이디어 뱅크 이상엽과학동아 l2001년 03호
- 1990년 미국에서 열린 국제생물화공학회에서 한 학생이 세계적인 석학의 강연 후에 질문을 했다. 당시 강연자는 미처 생각하지 못한 부분이었는지 대답을 못해 어쩔줄을 몰라했다. 그 질문을 한 학생이 바로 이상엽교수다. 이렇듯 그는 늘 남들이 생각하지 못했던 질문거리를 가지고 다녔다. 그리고 ... ...
- PART 4. 프로펠러 달고 몸 속 누비는 생체기계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수십억년 동안 이뤄온 진화의 결과는 실로 대단하다. 열역학 제2법칙을 무시하는 듯,나노미터 크기의 생체분자는 정교한 방식으로 기능한다. 어떻게 생체분자는 자연으로부터 얻은 에너지를 이용해 인간이 만든 어떤 기계보다 높은 효율로 운영할 수 있을까.인간이 이를 모방할 수 있다면 얼마나 ...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3 현장취재 영국 런던 다국적팀 기자회견장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지난달 12일 영국 런던의 웰컴 트러스트에서 열린 다국적팀의 기자 회견장은 1백여명의 내외신 기자들의 취재 열기로 가득했다. 당초 2월 15일 네이처지를 통해 발표하기로 돼 있던 것이 11일 발표 내용이 일부 언론에 실리면서 다국적팀이 일정을 앞당겼다. 셀레라 역시 16일 사이언스를 통해 발표 ... ...
- 한국인 과학자 게놈프로젝트에 기여과학동아 l2001년 03호
- 한국은 인간게놈프로젝트에 공식적으로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일부 재미과학자들이 연구에 깊숙이 관여했고, 국내 과학자들도 개별적으로 연구에 참여했다.게놈프로젝트에 참여해온 재미 과학자들은 미국 캘리포니아공대(CalTech) 게놈연구소장 김웅진교수, 미 국립보건원 산하 국립생명공학정보 ...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2 수도원에 뿌려진 작은 씨앗에서 피어난 신기원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생물학자 허버트 보이어는 자연적으로 짝이 될 수 없는 두 DNA를 합치는데 성공했다. 즉 유전공학이 바탕이라는 재조합 기술이 선보인 것이다.1976년 최초로 박테리아에 삽입된 인공적인 유전자가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했다.1977년 미국의 분자생물학자 알란 맥삼과 웰터 길버트, 영국의 생화학자 ...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4 다국적팀과 셀레라의 팽팽한 '신경전'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완성을 두고 치열한 ‘속도전’을 벌이던 라이벌인 다국적팀과 셀레라가 한자리에 모여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지난 2월 12일 미국을 중심으로 한 다국적팀과 미국 생명공학회사 셀레라는 워싱턴과 런던, 파리 등에서 일제히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마침내 인간게놈프로젝트가 ... ...
- 1. 감성공학이 세상을 바꾼다과학동아 l2001년 02호
- 컴퓨터와 디지털이 생활의 일부가 되면서 개인화를 촉진해, 사람들 간의 만남을 가로막는다는 의견이 있다.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디지털은 이런 우려를 역으로 바꿔놓을 수 있는 유용한 도구다.산업사회에서 3D라고 하면 더러운(dirty), 위험한(dangerous), 그리고 힘든(difficult) 것을 의미했다. 그러 ... ...
- 10년 후 세상 주도할 첨단기술 10과학동아 l2001년 02호
- 10년 후의 미래는 어떨까. 신체특징이 출입증으로 사용되고 인터넷 콘텐츠 복제를 방지하는 것은 기본. 로봇이 만들고 광속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컴퓨터와 농담을 나누는 일이 가능하지 않을까.로봇을 만드는 로봇사람처럼 각종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영특한 로봇을 만드는 일은 로봇 산업의 궁극 ... ...
이전8182838485868788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