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아래"(으)로 총 3,3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재미] 기하학의 아버지? 수학의 아버지!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속도와 시간 개념이 없다면 애초에 역설적인 문제예요. 같은 시간 동안 이동한 거리를 생각해야지요. 10초 동안 아킬레스가 100m 이동할 때 거북은 10m 앞서나가고 있겠지요. 이 10m는 아킬레스가 1초 만에 따라잡을 수 있어요. 그동안 거북은 1m 다시 앞서겠네요. 그리고 아킬레스가 0.1초 만에 다시 1m ... ...
- [Tech & Fun]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지하도시를 이해하려면, 먼저 3세기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당시 기독교인들이 ‘도시’라고 할 수 있는 수준의 지하공간을 가장 먼저 개척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터키 카파도키아 지역에서 고대인들이 이미 파놓은 동굴을 넓히면서 그들만의 거대한 ‘땅 속 천국’을 만들었다.데린쿠유 지하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 과학 집단의 경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자석이 영향을 미치는 공간을 ‘자기장’이라고 하지요.자석의 자기장자기장은 좌우, 위아래 모든 방향으로 생긴다. 자기장 안으로 들어온 쇠붙이는 자성이 한 방향으로 정렬되면서 자석의 성질을 갖게 된다.융합 개념 파헤치기동물의 몸속에 자석이 있다고?지구는 하나의 큰 자석이에요. 그 이유는 ... ...
- 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지난 여름 서호주의 관문도시 퍼스에 위치한 호주연방과학원에 70명의 과학자가 모였다. 각국에서 내로라하는 과학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인 건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마스2020’ 탐사 프로젝트에 관해 이야기를 듣기 위해서였다. NASA는 2020년에 새로운 로버를 태운 무인 우주선을 발사해 유인 ... ...
- Part 1. 이런 게 다 곡선?!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위쪽 건물의 윤곽을 따라 그려진 ‘선’은 무슨 선일까? 곧은 선분으로 이뤄져 있지만, 중간중간 꺾여 있으니 직선이라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직선은 곧게 끝없이 이어진 선을 뜻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곡선이라고 하는 것도 이상해 보인다. 우리는 아래 보이는 굽어진 도로처럼 부드럽게 굽어 ... ...
- [소프트웨어] 스피드 레이서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뜨게 만드는 양력이 발생해요. 이 양력을 눌러 줘야 차가 빨리 달릴 수 있어요. 그래서 위아래가 뒤집힌 비행기 날개 모양의 ‘리어 윙’을 달아요.그런데 리어 윙이 있다고 항상 좋은 건 아니에요. 코너에서는 타이어가 미끄러지지 않게 해 줘 빠르게 달릴 수 있지만, 그만큼 저항력이 커져 직선 ... ...
- [수학동아클리닉] 점, 선 ,면의 확장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같다’의 의미를 위상수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해보며, 수학적 대상의 특징과 성질을 알아본다. 다양한 관점에서 ‘같다’의 의미를 적용해 수학적 사고를 확장하는 계기를 만들고자 한다.(1) ‘같다’는 것은 무엇일까?사전에서는 ‘같다’를 ‘서로 다르지 않고 하나다’라고 정의한다. 수학에 ... ...
- 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왼쪽부터 베르나르트 페링하 교수, 프레이저 스토더트 교수, 장피에르 소바주 교수다. 노벨상의 상금 800만 크로나(약 10억 4000만 원)는 세 명이 나눠 갖는다.]“전자 현미경으로나 볼 수 있는 아주 작은, 하지만 명확하게 작동하는 기계를 만들 수 있을까요? 그런 기계는 유용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 ... ...
- [Tech & Fun] 로봇 의수의 혁신 ‘아이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Electronic Hand스타워즈에 등장하는 로봇 의수를 꿈꿀 수 있게 된 것은 전자공학이 등장한 뒤부터다. 전자공학의 역사는 트랜지스터가 발명된 1948년부터 시작됐다. 복잡한 연산을 빠르게 할 수 있는 집적회로(IC)가 만들어졌고, 인간의 두뇌와 같은 역할을 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개발됐다.이제 남아 ... ...
- Part 1. 연속 대지진을 부른 ‘불의 고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우리 시간으로 4월 14~16일에 걸쳐 강진이 발생한 일본과, 4월 17일 M7.8 규모의 지진이 일어나 쑥대밭이된 에콰도르는 모두 태평양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어요. 이 지역을 연결한 곳을 ‘환태평양조산대’ 또는 ‘불의 고리’라고 부르지요. 불의 고리에서 큰 지진이 계속 일어나는 이유는 대체 ... ...
이전8182838485868788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