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완성"(으)로 총 3,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1인칭 슈팅게임의 생명 밸런스 디자인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여닫을 수 있게 하거나 쓸모없는 건물을 없애면서 동선을 만드는 방식이다.이렇게 맵이 완성되면 실제로 게임을 해보고 밸런스가 맞는지 실질적으로 평가하는 ‘플레이 테스트’를 거친다. 개발자들이 게임을 직접 하면서 밸런스가 맞지 않는 부분을 찾아 수정한다. 밸런스가 좋은 맵에서는 ... ...
- [Origin] 미래를 비추는 빛, LED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청색 LED에 노란색 형광물질을 입히면 백색 빛을 낼 수 있습니다. 청색 LED로 빛의 3원색 완성적색 LED는 1950년대에, 녹색 LED는 1960년대 말에 각각 개발됐지만 청색 LED는 개발이 쉽지 않았습니다. 청색 LED를 만들기 위해서는 적색과 녹색보다 상대적으로 에너지 차이가 큰 반도체 재료가 필요했습니다. ... ...
- Part 4. 게임의 미래 책임질 인공지능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오류를 고치는 노하우들이 산재돼 있다. 인텔리전스랩스는 이런 노하우들을 한 데 모아 완성도 높은 게임을 만들기 위해 만들어졌다. 주된 일은 게임 개발 노하우를 데이터 기반 시스템으로 녹이는 일이다.전공은 뭔가인텔리전스랩스에서 일하는 개발자들은 대부분 컴퓨터공학을 전공했다. 나도 ... ...
- [Future] 랍스터 하나 주문이요~ 음식도 3D 프린팅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물을 뿌리기 과정을 수 차례 반복하면 마치 종이를 하나씩 쌓아 탑을 만들 듯 식품이 완성된다. 이때 한 번에 쌓이는 층의 두께는 약 0.1mm로 A4 용지 한 장의 두께와 비슷하다. 인쇄가 끝난 뒤 공기를 뿜으면 필요 없는 가루는 날아가고 고체 상태의 인쇄물(식품)만 남는다.노즐이 수백 번 왕복한 끝에 ... ...
- [과학뉴스] 로켓 재사용 시대 활짝, ‘팰컨9-블록5’ 첫 발사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다시 사용 할 수 있다. 이로써 스페이스X는 초기모델 개발 8년 만에 재사용 로켓 기술을 완성하는 데 성공했다. 발사했던 로켓을 회수해 재발사하면 비용을 10분의 1로 줄일 수 있다. 팰컨9-블록5는 방글라데시의 통신위성 ‘방가반두-1’을 싣고 미국 플로리다 주 케네디우주센터를 떠났고, 이후 1단 ... ...
- Part 1. 韓 가속기 굴기 ‘ 입자 공장’ 라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IF 방식의 중이온가속기(FRIB)에 추가로 ISOL 방식까지 결합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지만, 완성까지는 10년 이상 걸릴 전망이다. 그때까지 라온은 ‘세계 유일의 ISOL과 IF 결합 중이온가속기’라는 타이틀을 유지하게 된다. 강 팀장은 “ISOL로 희귀동위원소를 생성한 뒤 이를 IF로 다시 가속하는 결합 방식을 ... ...
- Part 1. 평창 밤하늘에 별빛을 수놓은 군집드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모양을 완성해요. 정확한 위치에 자리잡은 드론들이 LED 빛을 내면 오륜기와 수호랑이 완성된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뭉쳐야 뜬다! 군집로봇Part 1. 평창 밤하늘에 별빛을 수놓은 군집드론Part 2. 조직력으로 승부한다! 군집로봇Part 3. 긴급! 현장으로 출동하라, 재난&군사 ... ...
- [포커스 뉴스] ‘꽃의 여왕’ 장미,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교수는 “이번 연구의 가치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며 “하나는 유전자 지도의 완성도를 크게 높였다는 점, 다른 하나는 꽃의 색깔과 향기의 연관성을 밝혀냈다는 점”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염색체 14개에 들어있는 월계화의 DNA 정보를 82개의 큰 조각으로 분류해 ... ...
- 내가 제일 잘 나가, ‘과일의 제왕’ 딸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SNP·염색체 내 품종마다 다른 부분) 분자표지 1154개를 찾아 유전자 지도를 완성했다. 하지만 이를 토대로 유전자 마커를 확인해 신품종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이보다 더 정밀한 유전자 지도가 필요하다. 이준대 교수는 “유전자 마커와 특정 형질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특정 질병에 저항성이 높은 ... ...
- Part 1. 역사에 이름을 남긴 아마추어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이런 노력으로 카르다노는 자신의 책 ‘아르스 마그나’에서 3차 방정식의 근의 공식을 완성할 수 있었답니다. 반면 메르센은 가난한 노동자 계급에서 태어나 교회의 지원을 받으면서 살았어요. 철학을 공부하고 평생 수도승같은 삶을 살았죠. 메르센이 살던 17세기는 교회가 과학을 배척하던 ... ...
이전8182838485868788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