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물학"(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습지에 사는 자라가 입으로 오줌을 배출한다는 내용이 담긴 논문을 학술지 ‘실험생물학’에 발표했다. 폐로 숨을 쉬는 자라가 자꾸 머리를 웅덩이에 담그는 모습을 보고 의아하게 생각하다 시작한 연구였다.소변을 통해 배출되는 노폐물은 요소가 많다. 그런데 연구팀은 자라의 신장을 통해 ...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계산생물학'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하지만 최근의 빅데이터 열풍과 함께 생명정보학은 생물학의 역사를 다시 쓰는 첨단 분야로 떠올랐다. 인간이 지닌 30억 쌍의 DNA 염기서열을 모두 분석하는 유전체학(게노믹스)이 대표적이다. 미생물의 유전체를 다루는 천 교수의 연구는 그 중 독특하다. ... ...
- 변리사가 꿈인 분들은 변리사 하지 마세요 (특허법인 정진 김주연 변리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있었지만, 처음부터 고시생들처럼 죽기 살기로 시험을 준비한 것은 아니다. 전공인 생물학과 함께 법대 수업을 들으면서 준비를 꾸준히 했다. 실제 변리사 시험은 단순히 외워서 되는 것이 아니라 사고력이 풍부해야 한다. 그는 “고시학원에서 시험을 위해 공부한 것보다 법대 수업을 통해서 ... ...
- 인도네시아로 날아간 GIST의 젊은이들 진화의 뿌리와 만나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 교수가 와서 직접 강의를 하고 있다. 나는 이번에 ‘진화생물학’이라는 강의를 듣게 됐고, 8일간의 자연답사(fieldtrip) 체험프로그램에 참여해 강의를 맡은 조경래 GIST 교수, 롭 필립스 칼텍 교수 등과 함께 이곳에 왔다.소리지르며 나무를 타는 검은 원숭이들노래진 얼굴로 ... ...
- 6500만 년 전, 공룡이 사라진 땅에 작은 원숭이가 나타났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지구 생물 역사에서, 중생대의 육상은 상당히 특이하다. 땅 위에서 눈에 띄는 대형 척추동물은 거의 대부분 공룡이었기 때문이다. 만약 사람이 이 시대를 방문했다고 해보 ... ‘공룡 이후’- 신두 라다크리슈나, ‘푸르가토리우스에서 호모 사피엔스까지’- 닐 캠벨, ‘생물학’ 6판 중 3 ... ...
- 식물도 쓰다듬으면 잘 자란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똑같은 식물 중 한쪽에는 사랑한다는 말을 해주고 다른 쪽에는 저주의 말을 퍼부으면 사랑한다는 말을 들은 식물이 더 잘 자란다는 낭설은 널리 퍼져 있다. 그런데 앞으로는 식물을 잘 기르려면 사랑한다는 말 대신 부드럽게 손으로 쓰다듬어줘야 할지도 모르겠다.스위스 프라이부르크대 플로리안 ... ...
- 톱니바퀴는 인간의 전유물이 아니야~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말콘 버로우즈 영국 케임브리지대 동물학과 연구팀은 유럽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플랜트호퍼(Issus)의 뒷다리에서 정교한 톱니바퀴를 찾아냈다고 밝혔다. 버로우즈 교수는 “자연 속에서 톱니바퀴를 찾은 것은 이번이 최초”라고 말했다.플랜트호퍼는 날개가 없는 대신 강한 뒷다리 힘으로 뛰어다니 ... ...
- 머리 크면 스트레스 덜 받는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크기와 스트레스 사이에 관계가 있을까. 아담 렌드바이 미국 버지니아 공대 생물학과 교수가 주도한 공동연구팀은 몸에 비해 뇌가 커다란 새가 스트레스를 덜 받는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연구 결과를 영국왕립학회보B 9월 11자에 발표했다.사람이든 새든 관계없이 스트레스를 받을 때는 ... ...
- 우리 삶이 춤이 된다면수학동아 l2013년 09호
- 간접적으로 확인한다고 결론을 내렸다. 그리고 대칭성에 민감한 이유는 대칭일수록 생물학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문화에 따라 춤을 ‘반대로’ 배워막스플랑크연구소 다니엘 하운 박사 연구팀은 춤을 이용해 독일과 아프리카 나미비아의 어린이들의 공간 감각을 확인한 연구 결과를 ...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미세한 세포와 세포 사이의 연결(시냅스)까지 추적할 수 있다. 여기에는 영상장비보다는 생물학적인 방법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김진현 KIST 기능커넥토믹스연구단 책임연구원은 녹색형광단백질(GFP)로 뇌세포의 연결, 즉 시냅스를 찾은 뒤 광학현미경으로 추적해 쥐의 신경망 지도를 만들고 있다. ... ...
이전8182838485868788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