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휘장
커튼
장막
발
텐트
싸는 것
보자기
d라이브러리
"
막
"(으)로 총 2,03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적 원리 알면 새 주소가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커지고 있다면 동쪽이나 북쪽으로 가고 있다는 뜻이다. 도로명 팻말도 마찬가지다.
막
들어선 도로의 도로명 팻말에‘1→100’처럼 작은 숫자부터 적혀 있다면 동쪽이나 북쪽으로 가고 있다는 뜻이다. ‘100→1’로 적혀 있다면 서쪽이나 남쪽을 향하고 있다는 의미다.도로의 시작 지점부터 ...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다양한 기능을 한다. 인은 생명체의 설계도인 DNA의 기본 성분이며, 지질과 결합해 세포
막
을 이룬다. 또한 생명체의 주된 에너지원인 아데노신3인산(ATP)도 인을 사용한다. NASA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모든 생명체가 살아가기 위해서는 인을 비롯한 6대 원소가 있어야 한다는 기본 원리가 깨진 셈이다 ... ...
PART2. 지금은 곤충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수술을 해야 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었다. 피브로인 단백질로 만든 인공 고
막
은 인체에 거부 반응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탁월한 치료 효과를 보였다. 비용도 3분의 1 정도로 낮아졌다.또한 실크 단백질은 쉽게 구조를 바꿀 수 있어 인공뼈로도 개발할 수 있다. 국립농업과학원의 연구 ... ...
Part 3. 꿀벌 없는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미래인 사라진다)(부르르 떨던 소리가 붕붕붕 소리로 바뀐다. 소리가 잦아들며
막
이 내린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벌의 죽음Part 1. 꿀벌 여왕의 독백Part 2. 꿀벌에게 무슨 일이?Part 3. 꿀벌 없는 ... ...
북극 빙산으로 아프리카 갈증 푼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무쟁 씨는 “노(no)”라고 결론부터 얘기했다. 빙산에 두르는 차단
막
은 빙산 표면과 1m 간격을 두고 천천히 내려오기 때문에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해양 동물은 충분히 빠져나갈 수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는 또 “시뮬레이션을 통해 빙산이 수온 등에 미치는 영향을 ... ...
고양이가 혀로 물 마시는 건, “볼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있던 두 번째 분획이 혀 뒤와 연구개 사이 공간으로 들어가고 혀 중간과 경구개 사이에
막
끊어먹은 우유가 놓이게 되는 것. 그리고 다음 사이클이 시작된다.물 마시는 방식도 가지가지한편 돼지나 소, 양, 말처럼 완전한 볼의 형태를 갖추고 있는 동물들은 번거롭게 혀를 이용해 물을 마실 이유가 ... ...
미래도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4월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과학 상상화 그리기 대회’! 무엇을 어떻게 그려야 할지
막막
한 친구들을 위해 심사위원들에게 그 비법을 살짝 물어봤어요. 함께 들어 볼까요?현실을 바탕으로 상상력을 더하세요!자유롭게 생각을 펼치되, ‘과학’ 상상화인 만큼 현실을 바탕으로 그리는 것이 ... ...
[수학으로 영화 보기] 프로야구 왜 133경기 할까?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방식을 설명하면, 일정한 대진에 의해 승리한 팀(사람)만이 그 다음 회전으로 올라가 마지
막
에 두 팀(사람)이 우승을 겨루는 방식이다. 대진표를 보면 봉황대기는 1회전부터 토너먼트 방식으로 열린 것을 알 수 있다. 토너먼트 방식은 경기가 거듭될수록 경기 수가 줄어들어 우승팀을 빨리 정할 ... ...
PART 3 비누
막
이 제시하는 최적화 해법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최소 둘레로 최대 면적을 찾는 등주문제 수학자가 비눗방울을 직접 연구한 것은 최근이다. 하지만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눗방울과 비누
막
을 이용한다면 넓게 볼 필 ... 방울방울~PART 1 수학자는 왜 비눗방울을 좋아할까?PART 2 거품 함수와 방정식PART 3 비누
막
이 제시하는 최적화 ... ...
Intro. 범죄에 빠진 해킹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뚫린다). 둘, 언제 어디서 튀어나올지(터질지) 모른다. 셋, 두더지의 공격(해킹)을
막
아낸 사람을 지치게 한다. 과거엔 정의롭고 신비한 이미지까지 있던 해킹이 어쩌다 지금은 돈이나 쫓는 비열한 범법 행위로 낙인 찍혔을까. 해킹을 이용한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분명 해킹(hacking)과 크래킹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