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전문가들은 반도체 칩 용량이 18개월에 2배씩 향상된다는 ‘무어의 법칙’이 수십 년 안에 끝날 것으로 본다.이런 한계를 타파하기 위해 다양한 컴퓨터가 시도되고 있지만, 아직은 그 성능이 기대에 못 미친다. 미국 IBM사는 지난해 8월 뉴런과 시냅스 구조를 모방해 인간 두뇌와 같은 원리로 동작하는 ... ...
- 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5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이산화규소로 전세계를 연결하는 광섬유의 시대를 연 것이다.광섬유를 개발하고 몇 년 뒤, 미국에서 일하고 있던 카오에게 두 통의 편지가 도착했다. 하나는 카오가 사악한 요정(지니)을 병에서 꺼냈다며 그를 위협하는 편지였고, 다른 하나는 멀리 있는 부인에게 점심을 가져다 달라고 메시지를 ... ...
- 당(糖, sugar)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이당류가 있다. 한국인은 이런 당을 매일 같이 권장량(25g)의 2.6배나 소비하고 있다.2010년엔 하루 평균 61.4g을 소비하던 것이 최근에는 65g까지 늘었다. 당을 과잉 섭취하면 건강에 좋지 않다는 건 누구나 알고 있다. 특히 과당은 그 해악이 에탄올에 버금간다고 해서 큰 화제가 됐다. 포도당과 달리 ... ...
- 필래, 정신이 좀 드니?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혜성 탐사로봇 ‘필래(Philae)’의 신호가 7개월 만에 포착됐다. 유럽우주국(ESA)은 작년 11월 12일 혜성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 표면에 착륙했다가 60시간 뒤에 연락이 끊겼던 탐사로봇 필래에게서 신호가 왔다고 6월 13일 발표했다.필래는 혜성 착륙 도중 역분사 엔진이 작동하지 않아 태양빛이 닿지 ...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만큼 완성됐다고 보긴 어렵기 때문이다.오 교수는 “미국이나 일본의 로봇은 수십 년 동안 대규모 연구비를 투입해 개발한 것으로, 이번에 1등을 했다고 우리가 가장 기술이 뛰어나다고 단정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실생활에서 로봇이 재난, 구조활동에 참가하려면 더 큰 기술적 진보가 ... ...
- [Knowledge] 내 이론은… 그런 뜻이 아니라고!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아니다. 하지만 일반 대중에게 이를 설득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설상가상으로 1930년대에 독일에서 나치가 정권을 잡으면서 일반상대성이론은 대표적인 유대인 물리학으로 폄훼됐다. 유대인인 아인슈타인의 이론을 독일의 대학에서 강의하는 것은 불법이었다. 비슷한 시기에 소련에서도 ... ...
- 놀이하는 동물, ‘꽃보다 악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다양한 놀이행위를 즐겼다면, 과거에 살았던 파충류인 공룡들은 어땠을까. 6600만년 전에 살았던 티라노사우루스도 놀았을까. 화석으로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과거에 이들이 했던 행위를 100% 재현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미국 스턴버그자연사 박물관의 브루스 로스차일드 박사는 티라노사우루스와 ... ...
- 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연구는 제2의 암흑기에 들어섰다. 연구는 더 구체적인 목표 아래 세분화됐다. 1950년대 학자들이 꿈꿨던, 인간을 쏙 닮은 순수한(?)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사라졌다. 그들은 인공지능의 하위 분야, 다시 말해 보다 특수하고 좁은 기계학습, 로봇공학, 컴퓨터 시각화 등의 영역으로 옮겨 갔다 ... ...
- PART 4 의도는 없다, 그러나 인간을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포함한 전분야를 망라해 연구 과제 공모를 받고 있다.국내에서는 미래창조과학부가 2015년도 기술영향평가 대상 기술로 유전체 편집기술과 함께 인공지능을 선정했다. 올해 12월 결과를 발표한다. 미래부는 관계 중앙행정기관에 결과를 통보해 해당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연구기획에 반영케 ... ...
- 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MERS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숙주인지는 정확히 모른다. 낙타가 메르스를 인간에게 옮긴 중간숙주라 하더라도, 수천 년간 충실하게 봉사해 온 낙타에게 그 책임을 지울 수는 없을 것이다. 아마도 긴 진화적 역사를 통해서 병원체에 점차 취약해진데다가, 수많은 동물을 인간의 입맛에 맞게 길들였으며, 복잡한 도시생활을 하는 ... ...
이전8548558568578588598608618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