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즈음
최신
근간
요사이
근래
근대
요즘
d라이브러리
"
최근
"(으)로 총 11,532건 검색되었습니다.
1. 생활 속의 디지털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017이라는 망식별번호를 이용해 CDMA방식의 디지털 휴대전화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밖에
최근
각광받는 디지털 통신수단으로는 하나의 주파수를 수많은 사람들이 공동으로 쓸 수 있게 해주는 디지털 주파수공용통신(TRS)등이 있다. 디지털의 바다로 흘러간다디지털혁명의 또 다른 특징은 융합 ... ...
DOHC 엔진 힘좋다고 마냥 좋은 것은 아니다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높혀야만 제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당연히 소음도 커지게 마련이다.
최근
엔 자동차 메이커들이 소음을 줄이기 위해 흡음재를 사용하거나 엔진룸의 방음처리를 강화하고 있지만 소음은 DOHC에게 있어서는 원죄와 같은 전형적인 단점인 것이다.엔진 본체는 크게 헤드, 엔진블록, ... ...
수천년 이어온 동양의 전통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병적상황에 대처하는 면역기능이 강화돼 질병에 걸리지 않는 저항력을 얻게 된다.
최근
에 이뤄지고 있는 식물약제에 대한 동서양의 연구활동은 식물약제대 대한 효능을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발전시키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통계학적인 고증에 따르면 식물약제(보약)을 먹고 30% 이상의 면역 ... ...
20년만의 대장관 햐쿠다케혜성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유지 햐쿠다케가 발견한 신혜성이다. 햐쿠다케는 7년 전부터 혜성을 탐색하기 시작해
최근
2년반 동안 날만 맑으면 항상 신혜성을 탐색해 온 혜성탐색 베테랑이다. 그가 사용하는 장비는 25배의 1백50mm 쌍안경(25×150)으로 일본의 혜성탐색가들이 즐겨 사용한다.1월 말 햐쿠다케가 발견한 혜성은 1996B2 ... ...
고기능 사운드카드 옥소리 VS 사운드블라스터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예전의 미디는 미디 인터페이스만 있고 외부로 미디모듈이나 키보드를 연결했으나
최근
개발된 사운드카드에서는 이 둘이 합쳐져 있다. 미디인터페이스는 롤랜드사의 'MPU-401' 이라는 기기가 업계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다.● 웨이브테이블(wave table)전자악기 등에 악기의 음색을 디지털로 녹음해 ... ...
최초의 농사꾼 잎꾼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걸쳐 분포하는 잎꾼개미 군락 모두가 같은 종류의 버섯을 재배하고 있다는 사실이
최근
미국 코넬 대학의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 DNA 분석법을 이용해 조사한 결과 잎꾼개미들과 버섯의 관계는 거의 2천5백만년 전부터 이어졌다는 사실도 드러났다. 마치 인간이 요구르트를 대대로 물려받아 ... ...
잇따른 외계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유명한 전파망원경들을 총동원했다. 그러나 그 어느쪽도 구체적인 단서를 찾지 못했다.
최근
잇따라 외계행성이 발견되자 이 분야의 연구에 새로운 활기가 돌았다. 특히 마시와 버틀러가 찾아낸 두 행성은 물이 액체상태로 존재할 만큼 따뜻해서 생명체에 대한 기대를 갖게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 ...
3. 의약품 '붙이는 약' 전성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0.1㎛에서 수백 ㎛까지 넓은 범위의 입자분포를 나타내는데 고체 상태로 분산되기 때문에
최근
약물 운반체로서 주목받고 있다.현재까지는 의약품에서 콜로이드계를 이루는 제제는 일반 제제에만 이용됐으나 앞으로는 약물송달시스템(DDS)에 대한 연구와 개발에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할 것이다 ... ...
3. 전통과 첨단의 앙상블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김치 독도 태권도 전통공예품 관광자원 등이 개설될 예정이다.특히 코리아 윈도는
최근
인터넷 상에 둥지를 마련한 청와대 웹 사이트와 링크돼 있어 호기심을 자극한다. 청와대 웹 사이트는 청와대 비서실과 공보처를 비롯해 웹 서비스 업체 학계 등 다양한 관계자들이 힘을 모아 마련한 것이다. ... ...
2. 바닷속 파이어니어 심해탐사정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도전의 대상이었다. 심해는 어떻게 생겼을까. 인간은 얼마나 깊이 들어갈 수 있을까.
최근
심해가 새로운 연구분야이자 자원의 보고로 등장하면서 탐사정들도 새모습으로 바뀌고 있다.인간이 바다 깊이 들어갈 수 있는 한계는 40m 정도. 보통사람은 30m를 들어가기도 힘들다. 이러한 한계 때문에 ... ...
이전
853
854
855
856
857
858
859
860
8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