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난"(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 글씨 못써도 기죽지 말자과학동아 l1988년 11호
- 보면서 글시 예쁘게 못쓴 덕분에 타자치는 법을 배우게 된걸 흐뭇해 하곤 했다. 십년이 지난 어느날 미국 잡지에서 개인용컴퓨터로 타자기 역할을 대신할뿐만 아니라 모니터 화면을 보면서 잘못 타자된 글자는 수정도 가능하다는 소식을 보았다. 하루 빨리 우리나라에도 개인용컴퓨터가 판매되어야 ... ...
- 서기 2030년까지 사라지거나 거의 파괴과학동아 l1988년 11호
- 상승으로 바다에 면한 대도시가 물에 잠기고 많은 섬들이 사라질 것이라는 예측은 지난 몇년간 계속 나왔다.최근 오스트렐리아의 시드니에서 열린 제26차 국제 지리학대회에서는 이 문제가 보다 자세히 언급이 되었다.이 자리에서 영국의 '피터 로이'와 오스트렐리아의 '존 코넬'교수는 오는 203 ... ...
- 소련의 MIG-29, 수출위해 에어쇼에 출연과학동아 l1988년 11호
- 서방세계에서는 소개되지 않았다.이 전천후 전투기도 이제 소련의 개방정책 때문인지 지난 8월 '파렌보로' 에어쇼에 선 보였다. 두대가 나왔는데 하나는 수출형 모델이고 하나는 훈련용. 에어쇼에 참관한 항공전문가들은 이 전투기 성능에 놀라움을 표시했다.이 전투기는 공대공미사일을 갖추고 ... ...
- 감시·탐색·공격용으로 훈련시켜과학동아 l1988년 11호
- 실제 이용범위는 상당히 넒다. 페르시아만에서는 언제 테러리스트의 공격이 있을지 지난 초여름만 해도 조마조마한 상태였다.돌고래들은 잠수 공격부대의 적발, 수중지뢰의 발견, 접근하는 잠수함의 조기발견 등을 위해 파견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실제 어느 정도의 실적을 올렸는지는 알려지지 ... ...
- 가정·사무실에 요긴한 첨단제품의 홍수과학동아 l1988년 11호
- 쇼(전자 전시회)는 민생용 전자(民生用電子), 산업용 전자 그리고 전자부품으로 나누어 지난 10월 6일부터 11일까지 6일간 계속 되었다.6백85개 회사가 참여일본 전자 기계 공업회가 주최한 이번 대회에는 세계 21개 국에서 6백85개 회사가 참여, 대 성황을 이루었다.이 전자전의 취지는 일본 국내 ... ...
- 유전공학 뜻밖의 재난가져올지도과학동아 l1988년 11호
-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다. 허나 불행하게도 이러한 변화는 수년 혹은 수십년이 지난 후에 나타날 수도 있기 때문에 장기간동안 감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없다.하지만 이러한 위험이 따른다 할지라도 인류가 얻을 수 있는 이익과 비교할 때, 그 위험성은 상당히 불확실한 것이기 때문에 결코 ... ...
- 97%가 잘못 사용 이런 안경은 눈을 나쁘게 한다.과학동아 l1988년 11호
- 안경점을 정확히 활용하여 시력을 보호해야겠다.한국안경협회가 한국갤럽에 의뢰하여 지난 8월에 끝낸 16세 이상의 우리나라사람 안경보유율은 조사대상 인구의 25.7%로 나타났다. 이것은 87년의 같은 조사에서 나타난 23.1%보다 2.6%가 늘어난 것이다. 이것은 4명중 1명 이상이 안경을 쓰고 있으며 ... ...
- 정보문화 사랑방 확산과학동아 l1988년 11호
- H-Mail)을 통해 각종 치의학 정보와 개인소식 등을 주고 받게 된다. '치과정보 사랑방'은 지난 7월8일 결성된 의료정보 사랑방에 이어 의료계 2번째 PC통신 모임.정보문화 사랑방이란 직접 컴퓨터를 이용, 정보를 교환해 봄으로써 정보화사회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히고 정보문화 확산의 기초를 마련키 ... ...
- 가장 깨끗하고 가장 깊으며, 가장 큰 담수호 동 시베리아의바이칼 호과학동아 l1988년 11호
- 북서쪽은 지난 25년동안 5~8km나 더 커졌다. 소련 과학원에 따르면 이같은 현상은 지난 1백만년 동안 계속 돼 온것으로 그 이유는 호반의 바위나 절벽이 무너져 내리기 때문이라고 한다. 학자들은 이 북서쪽 지대를 낙하지대(dropzone)라고 부르는데 이 낙하 현상은 바이칼호의 기원에 시사를 주는 것으로 ... ...
- 행성군(群)과학동아 l1988년 11호
- 사용의 잘못으로부터 발생했다는 것이 최종적으로 결정되었다. 희망은 사라졌다.그러나 지난 20년간 관측기계들이 개량되었으며, 1988년 중반엔 하버드의 데이빗 W. 래덤과 브리티시 콜러비아(캐나다의 주)의 빅토리아 대학의 부루스 캠펠이라는 두명의 천문학자들이 진동하는 항성들의 관측을 각각 ... ...
이전8528538548558568578588598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