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서기 2030년까지 사라지거나 거의 파괴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상승으로 바다에 면한 대도시가 물에 잠기고 많은 섬들이 사라질 것이라는 예측은
지난
몇년간 계속 나왔다.최근 오스트렐리아의 시드니에서 열린 제26차 국제 지리학대회에서는 이 문제가 보다 자세히 언급이 되었다.이 자리에서 영국의 '피터 로이'와 오스트렐리아의 '존 코넬'교수는 오는 203 ... ...
가정·사무실에 요긴한 첨단제품의 홍수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쇼(전자 전시회)는 민생용 전자(民生用電子), 산업용 전자 그리고 전자부품으로 나누어
지난
10월 6일부터 11일까지 6일간 계속 되었다.6백85개 회사가 참여일본 전자 기계 공업회가 주최한 이번 대회에는 세계 21개 국에서 6백85개 회사가 참여, 대 성황을 이루었다.이 전자전의 취지는 일본 국내 ... ...
아르헨티나의 인류학자들 이빨의 유전정보로 100% 신원확인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독재정권하에서 '하룻밤 사이에 사라진 사람들'의 신원확인 작업이 한창 진행되고 있다.
지난
1976~1982년사이에 증발된 사람들 시체가 여러군데에 집단 매장되었음이 확인되어 요즘 발굴작업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그런데 보통사람의 눈으로 골격만 남은 시체를 보아 친척이나 친구를 가려내는 ... ...
'88노벨과학상 -업적과 프로필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60년전 독일물리학자 파울리(Pauli)박사는 중성미자를 이론적으로 예견했다. 그 뒤 30년이
지난
후 코헨과 라이너스(Cohen & Reines)박사에 의하여 마침내 중성미자는 그모습을 드러냈다.우주의 디자인을 하다이번 노벨물학상 수상자들은 1962년 뮤온중성미자와 전자중성미자가 다르다는 사실을 밝혀내 ... ...
글씨 못써도 기죽지 말자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보면서 글시 예쁘게 못쓴 덕분에 타자치는 법을 배우게 된걸 흐뭇해 하곤 했다. 십년이
지난
어느날 미국 잡지에서 개인용컴퓨터로 타자기 역할을 대신할뿐만 아니라 모니터 화면을 보면서 잘못 타자된 글자는 수정도 가능하다는 소식을 보았다. 하루 빨리 우리나라에도 개인용컴퓨터가 판매되어야 ... ...
대홍수에 불안해 하는 호주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기상학자들은 대홍수의 위험을 어떻게 예방할 수 있는냐에 대해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난
1960년에 준공한 '와란감바'댐은 당시로서는 예측 가능한 최대한의 홍수를 예방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었다.그러나 최근 오스트렐리아에서는 당시에 추정한 최대 강우량 이상의 비가 가끔 내려 이 댐이 ... ...
소련의 MIG-29, 수출위해 에어쇼에 출연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서방세계에서는 소개되지 않았다.이 전천후 전투기도 이제 소련의 개방정책 때문인지
지난
8월 '파렌보로' 에어쇼에 선 보였다. 두대가 나왔는데 하나는 수출형 모델이고 하나는 훈련용. 에어쇼에 참관한 항공전문가들은 이 전투기 성능에 놀라움을 표시했다.이 전투기는 공대공미사일을 갖추고 ... ...
감시·탐색·공격용으로 훈련시켜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실제 이용범위는 상당히 넒다. 페르시아만에서는 언제 테러리스트의 공격이 있을지
지난
초여름만 해도 조마조마한 상태였다.돌고래들은 잠수 공격부대의 적발, 수중지뢰의 발견, 접근하는 잠수함의 조기발견 등을 위해 파견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실제 어느 정도의 실적을 올렸는지는 알려지지 ... ...
유전공학 뜻밖의 재난가져올지도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다. 허나 불행하게도 이러한 변화는 수년 혹은 수십년이
지난
후에 나타날 수도 있기 때문에 장기간동안 감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없다.하지만 이러한 위험이 따른다 할지라도 인류가 얻을 수 있는 이익과 비교할 때, 그 위험성은 상당히 불확실한 것이기 때문에 결코 ... ...
집요한 추적, 능률적인 집단해동 늑대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노출시켜 새끼가 빨기쉽도록 하는 것이다.새끼는 눈을 감은 채로 태어난다. 11~13일이
지난
후에야 비로소 눈을 뜨기 시작하는 것이다. 눈을 감은 어린 새끼들은 사이좋게 서로 껴안고 보금자리 속에 누워 있다. 이 때 어미 늑대는 절대로 새끼들의 곁을 멀리 떠나지 않고 돌봐준다. 젖 먹이는 일도 ... ...
이전
852
853
854
855
856
857
858
859
8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