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뒤엉킨 전선 안녕, 와이트리시티 탄생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900MHz 진동수를
이용
해 최대 70% 전송효율을 보였다.작은 전자제품에만 무선기술이
이용
되는 것은 아니다. 일본의 미쯔비시자동차는 최근 미국에서 열린 국제자동차 쇼에서 무선으로 충전되는 친환경 전기자동차를 공개했다.지면의 송전장치가 차량 하부에 장착된 수전장치를 향해 마이크로파를 ... ...
모자이크로 붙인 카시오페아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인접 이미지와 겹치는 부분을 맞출 때 주의해야 하는데, ‘회전하기’(Distort) 명령을
이용
해 정교하게 붙여야 한다. 사진을 모두 합쳤으면 ‘레이어 하나로 합치기’(Flatten Image)명령으로 하나의 사진을 만든다.보통 사진을 찍는 데만 2~3시간이 걸리고 사진을 모자이크로 붙이는 데도 많은 노력이 ... ...
한반도만 한 전파망원경 뜬다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향해일본 가구야와 중국 창어의 공통점은? 달 탐사선이란 점 이외에 VLBI 기술을
이용
했다는 사실이 중요한 공통점이다. 손 박사는 “탐사선을 보내 우주를 탐사할 때 기준 좌표계에 대한 탐사선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한다”며 “위치가 변하지 않는 활동성 은하핵 수백 개를 VLBI로 정밀 관측한 ... ...
컴퓨터에서 탄소나노튜브 실험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2006년 이런 탄소나노튜브의 물성을 예측하는 계산법을 개발했다. 이 방법을
이용
하면 결함이 있는 부위에서는 원자 수준까지 탄소나노튜브의 움직임이 사실적으로 시뮬레이션된다.지난해에는 한국화학연구원 장현주 박사팀과 함께 양자역학적인 효과를 고려한 다중스케일 계산법을 개발했다. ... ...
흙에서 깨어나는 매직피쉬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하루 남짓 지나면 아주 조그마한 새우가 하나씩 태어나기 시작한다. 스포이드를
이용
해 새우를 꺼내서 어항에 풀어주면 된다.매직피쉬는 보통 두 달이 지나면 몸길이가 2cm가량 성장하고, 이때쯤 수컷의 비늘은 예쁘게 색깔을 드러낸다. 먹이를 자주 줄수록 빨리 자라고, 최대 5cm까지 자란다 ... ...
생물 다양성의 감소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공진 기부에 콜게이션을 설치하고 이에 의한 귀환을
이용
해 발전시키는 반도체레이저 단일파장 발진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회로소자(回路素子)가 전기신호의 파장과 같은 정도 또는 그 이상의 범위에 걸쳐 공간적이며 연속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회로 ... ...
PART2 미지의 질병, 광우병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밝혔다.소나 인간이 살아 있는 상태에서 변형 프리온을 찾아내려면 혈액이나 오줌을
이용
할 수도 있다. 우희종 교수는 “수혈로 변형 프리온에 감염된 사례를 보면 이는 변형 프리온이 환자의 혈액에 1000조 분의 1g 수준으로 돌아다닌다는 뜻”이라며 “아직 기술적으로 1000억 분의 1g 정도 이하는 ... ...
한국인 최초 개인 게놈 해독 눈앞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이용
해 해독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었다. 제임스 슨은 세계 최초로 병렬시퀀싱 방법을
이용
해 해독 비용을 150만 달러(약 15억 원)로 뚝 떨어뜨렸다.현재 미국 국립보건연구원(NIH)은 혁신적인 DNA 염기서열 분석 기법을 개발하기 위해 두 가지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이 계획대로 ... ...
눈 깜짝할 사이에 영화 한 편이 뚝딱!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아주 빠른 속도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전송기술이 개발되었습니다. 지난 2월 말,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60GHz주파수대를
이용
해 대용 ... 있는 거죠. 게다가 60GHz 주파수대는 아직 개발되지 않은 주파수대로, 먼저 기술을 활용해
이용
하는 만큼 이익이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답니다 ... ...
홀라당~ 뒤바뀐 달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노른자의 밀도 차이가 별로 나지 않아 잘 바뀌지 않아요. 또 무정란보다 는 유정란을
이용
하는 게 좋아요. 무정란은 유정란보다 흰자 부분이 두꺼운 편이라 만들기가 더 힘들거든요.”닥터고글의 해박한 지식에 감탄하고, 고마운 마음씨에 감동한 두 사람. 닥터고글을 위해 특별히 뒤바뀐 달걀 10 ... ...
이전
851
852
853
854
855
856
857
858
8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