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jean
진토닉
gin
정령
귀신
대열
무리
d라이브러리
"
진
"(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지구 환경과 우주 개발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지구의 환경과 에너지 문제는 20세기에 남겨
진
가장 큰 숙제 중 하나인 만큼 사람들의 관심이 높다. 동시에 지구 밖의 행성 개발에 대한 기대도 크다. 과연 21세기의 언제쯤에 화성에 갈 수 있 ... 토성처럼 지구로부터 멀리 떨어
진
행성의 성분을 조사할 수 있는 샘플채취가 가능해
진
다 ... ...
④ 마이크로 프런티어가 해결한 의료기술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혈액속을 옮겨다니며 콜레스테롤을 제거하고 암세포를 파괴하는 마이크로 머신이 과연 21세기에 등장할 수 있을까. 유전자 치료법과 인공장기들이 인류를 질병의 ... 이상의 메모리 반도체가 만들어
진
다(2017년).◎신경이나 뇌세포와 접속가능한 전자회로를 가
진
인공눈이 개발된다(2019년) ... ...
디지털로 세계를 묶은 인터넷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인터넷은 태평양을 건너 수천km를 달려온 거대한 파도와 같다. 그 파도는 카약을 타고 있는 우리를 들어올렸다가 내동댕이치고 말 것이다. 누가 알겠는가, 인터넷이 우리에 ... 는 정보통신업체와 대학이 추
진
하는 계획이고, 차세대인터넷은 클린턴 정부가 1996년부터 추
진
하는 계획이다 ... ...
첨단산업의 쌀 반도체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1ms=${10}^{-3}$s)마다 기억한 내용을 한번 읽어내고 재차 써넣어야 하므로 제어회로가 복잡해
진
다. 그러나 구조가 간단해 집적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IC 한개당 기억용량을 크게 할 수 있어 가장 널리 쓰인다.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은 D램과 달리 전원만 연결돼 있으면 칩 내부에 기록된 데이터가 ... ...
속담 속의 날씨 베스트 10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날씨로 이어
진
다.⑤개미가
진
을 치면 비가 온다개미가 한 줄로 바쁘게 왕래하는 모습을
진
을 친다고 하는데, 알을 물고 풀숲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개미가 대기의 습도나 기압의 변화로 비가 올 것을 감지하고 개미집에 있는 알이나 애벌레를 안전한 곳으로 옮기는 것으로, 비가 오지 ... ...
3. 기상 버라이어티쇼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첫번째 무지개는 물방울로 들어간 빛이 굴절-반사-굴절의 과정을 거치면서 만들어
진
다. 두번째 무지개도 비슷한 과정을 밟지만 물방울 내부에서 두 번의 반사를 거친다는 것이 차이다. 즉 굴절-반사-반사-굴절의 과정을 겪으면서 색깔의 배열이 첫 번째 무지개와 반대인 보라색이 위에 있는 ... ...
2. 대머리 치료하고 몸매를 날씬하게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여성이냐에 따라 처방되는 약이 달라지는 ‘맞춤 의약연구’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
행중이다. 한 예로 미국의 일라이 릴리사는 항우울약으로 개발된 프로작이 여성에게 특히 효과가 있다는 점에 착안해, 기분을 조절하는 뇌의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에 여성이 남성보다 훨씬 더 민감하다는 ... ...
과학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의 만남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0}^{11}$). 그리고 0.1mL의 물에 들어 있는 원자 수도 (3)(6.0 X ${10}^{23}$)(0.1/18) = ${10}^{22}$로 얻어
진
다.(3은 물분자 하나에 수소 원자가 두개, 산소 원자가 하나 있으므로 모두 세 개의 원자가 들어 있다는 것으로부터 나온다.)계산으로부터 우주 전체의 별의 수와 아침 이슬 하나에 들어 있는 원 ...
간지럼타는 배롱나무와 음악듣는 오이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7월에서 9월까지 약 1백일 동안이나 붉은 꽃을 피워 나무백일홍으로도 불리는 배롱나무. 한자로는 파양수( 痒樹), 즉 ‘간질임을 두려워하는 나무’인데, 전라 ... 농부의 지혜와 정성으로 화분을 키운다면 머지않아 예쁜 꽃이 피게 될 것이다. 식물이 그러할
진
대 하물며 사람에 있어서라면 ... ...
작을수록 강해지는 나노물질 합성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작은 바늘로 알려
진
탄소나노튜브다.쓸만한 국산품 제작탄소나노튜브는 탄소로 이뤄
진
지름 1nm 수준의 튜브형 물질이다. 그런데 기존 분자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모양과 성질을 지녔다. 우선 지름이 아주 작은데 비해 길이는 지름의 1만배에 이를 만큼 길다. 또 모양을 바꾸면 전기를 잘 ... ...
이전
850
851
852
853
854
855
856
857
8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