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정신이상"(으)로 총 1,144건 검색되었습니다.
- 뇌-기계 연결 기술 실용화 성큼… ‘고효율 뇌신경 탐침’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7.04.03
- 뇌의 신경신호를 전기신호로 바꾸기 위해 인간의 뇌에 직접 연결하는 ‘뇌신경 탐침’을 국내 연구진이 새롭게 개발했다. 기존 뇌신경 탐침에 비해 성능이 월등하고 인체 안전성도 높은 것이 장점이다. 두뇌와 각종 기계장치를 직접 연결할 수 있는 ‘뇌-기계연결 기술’ 실용화를 한층 더 앞당길 ... ...
- 성인 ADHD 환자, 동반질환으로 우울증까지?포커스뉴스 l2017.03.29
- 이소희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홍보이사 - 포커스뉴스 제공 (서울=포커스뉴스) 성인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환자 대다수는 우울증 등 다른 질환을 동시에 경험할뿐만 아니라 올바른 진단과 치료조차 못받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는 28일 제2회 ADHD의 날(매년 4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2017.03.28
- 불은 하인일 때는 나긋하지만 주인이 되면 난폭해진다. - 속담 2005년 4월 4일 밤 강원도 양양군의 한 야산에서 발생한 산불이 제대로 진화가 안 돼 큰 불로 번지면서 인근 낙산사까지 불바다가 되는 참사로 이어졌다. - 연합뉴스 제공 결과보다는 동기가 중요하다고 말들은 하지만 살다보니 막상 현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① 사소한 것에 집착하는 나2017.03.26
- 고등학교 미술 시간이었습니다. 도화지에 밑그림을 그리고, 그 위에 색종이를 오려 붙여서 작품을 만들어야 했는데, 짧은 수업 시간 내에 완성하는 것은 무리였습니다. 그래서 다음 주까지 해오라는 숙제를 받게 되었죠. 일주일은 긴 시간이었지만, 예상할 수 있는 것처럼 미리미리 준비하는 친구는 ... ...
- 잠이 모자란 판사는 형량을 더 높게 선고한다?2017.03.25
- 고등학교 때부터 만성적으로 적게 자는데 익숙해진 한국인들에게는 잠이 모자란 것 정도는 아무 일도 아닌 것 같지만, 실은 그렇지 않다는 연구들이 있었다. GIB 제공 예컨대 잠이 모자란 사람들은 ‘건강’도 나쁘고 살도 더 잘 찐다. 잠이 모자란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식욕’ ... ...
- [4차 산업혁명 시대, 자녀 교육은 어떻게?①] 학교는 미래 인재를 키울 수 있나?동아사이언스 l2017.03.23
- ※편집자 주 ‘4차 산업혁명 시대’라고 합니다. 경제 전문가들은 2020년까지 710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지고, 210만 개의 일자리가 새로 생긴다고 합니다. 잘은 모르지만, 사회, 경제, 환경, 문화, 교육 등 일상 모든 영역에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음은 실감합니다. 제일 걱정되는 것은 우리 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2017.03.21
- 예리한 관찰과 정밀한 실험이 잘 알려진 단백질의 예상치 못한 기능을 밝힐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 리처드 팔미터 1950년대 미국 잭슨연구소의 연구자들은 특이한 돌연변이 생쥐를 얻었다. 이들은 식욕을 주체하지 못해 고도비만이 된 이 녀석에게 뚱보(obese)라는 이름을 붙여줬고 줄여서 ob생 ... ...
- [카드뉴스] 야식의 기준동아사이언스 l2017.03.14
- "밤 12시 치킨은 칼로리가 0kcal!" 야식이 건강에 좋을 리 없다는 건 다들 잘 아는 사실입니다. 그렇지만 이런 말도 안되는 말이 있을 만큼 야식은 매력적이지요. 흔히 밤에 먹는 음식을 야식이라고 생각하지만 야식을 정의하는 기준이 있습니다. 오후 7시나 8시 30분 이후 ... ...
- ADHD 자녀 엄마에게도 쉼이 필요하다2017.03.05
- 날이 갈수록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환아가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이 질환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져 ADHD 환아 개선에 초점을 맞춘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개발돼 운영 중입니다. 이에 비해 ADHD 환아를 돌보는 엄마들을 위한 프로그램은 턱없이 부족하다고 합니다. GIB 제공 사실 산만하고 ... ...
- [개소리 칼럼] 개 친구 만들어 반려견 놀이터 놀러가자동아사이언스 l2017.03.04
- 개소리 칼럼을 처음 시작했을 때가 문득 생각 납니다. 처음 개를 데려와서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는 상황에서 멘붕하고 있을 견주에게 가이드라인을 주고자 시작했지요. 9월에 시작해 벌써 6개월이 지났으니 아마 그동안 어느 정도 개에게 익숙해졌을 거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웃음). 처 ... ...
이전8081828384858687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