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상
진상
실제
진실
실태
현실
진리
뉴스
"
사실
"(으)로 총 14,411건 검색되었습니다.
안경 없이 3D영상 즐기는 시대 앞당긴다…ETRI, 신기술 5종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05
재현하는 기술을 실증했다. 이 기술은 8K 해상도와 30fps의 속도로 안경 없이도 자연스럽고
사실
감 있는 3D 영상을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 ETRI 연구진은 “이 기술들은 실제 눈앞에 보이는 것처럼 배우의 좌측을 보면 좌측 얼굴을, 우측을 보면 우측 얼굴을 볼 수 있는 등의 생생한 실재감을 ... ...
12월 과학기술인상에 김범준…양자 스핀 '네마틱' 상 세계 최초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4.12.04
공간적 구조를 완전히 해독했으며 여러 개의 스핀 사이에 양자 얽힘이 존재한다는
사실
도 밝혔다. 지금까지 고온초전도 현상은 스핀 액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교수는 스핀 네마틱 상에도 양자 얽힘이 존재함을 확인함으로써 이리듐 산화물에서 고온초전도 상이 존재할 가능성을 ... ...
'악마 쌍둥이' 금성, 생명체 존재한 적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03
천문학연구소 연구원 연구팀은 금성 대기를 분석해 이 행성의 내부가 건조하다는
사실
을 확인했다고 2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에 발표했다. 일부 과학자들은 금성의 온도가 과거에는 지금보다 낮았으며 액체 상태의 바다가 존재했을 것으로 믿어왔다. 지구와 유사한 환경을 갖고 있었기 ... ...
암 진단, AI와 협업시 발견율 15% 증가…루닛, 실제 데이터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02
있다. 루닛 제공. 의료영상으로 암을 진단할 때 인공지능(AI)이 필수가 되고 있다는
사실
이 확인됐다. 실제 의료현장에서 의사와 AI가 협업을 한 암 판독 성과가 공개됐다. 의료현장에 AI를 도입한 '리얼월드 데이터(RWD)'가 공개된 건 이번이 세계 최초다. 의료AI기업 루닛은 1~4일 미국 시카고에서 ... ...
위암에 영향 미치는 두 세포 간 상호작용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12.02
발현 섬유아세포와 STAT3 활성화 대식세포가 위암 진행의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는
사실
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위암 실험실 모델과 생쥐 모델을 통해 두 세포의 핵심 역할을 증명했다. 연구를 이끈 김태민 교수는 “이번 연구는 최신 기술을 활용해 암 치료에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한 중요한 ... ...
여야의정협의체, 의사단체 이탈로 20일만에 좌초…"대통령 아집의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4.12.02
를 갖는다고 표현했지만 의료계가 마음을 돌리지 않는 한 회의 재개는 어려운 상황이라
사실
상 공식적인 대화의 창이 닫힌 셈이다. 야당은 물론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와 전공의 등 의료계 핵심 구성원 참여 없이 '개문발차'한 대화가 중단된 것은 내년도 의대 정원 등 안건을 두고 접점을 찾지 ... ...
'반쪽' 여야의정협의체 좌초 위기…1일 의료계 단체 참여 마지막 회의?
동아사이언스
l
2024.12.01
의료계 단체의 부담도 커졌다. 여야의정 협의체는 이미 야당과 전공의 단체 등이 없는
사실
상 '반쪽' 협의체였기 때문에 의료계 단체 2곳이 빠지면 존속이 의미 없는 상태가 된다. 이달 초 있을 내년도 상반기 전공의 모집 공고와 의협 회장 보궐선거전 개시가 의정 갈등의 향방을 가늠할 수 있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조금 못 자더라도 살 수 있다"
2024.11.30
생각하고 걱정하고 있는 것인지 (그것이 잠이 되었든 다른 무엇이 되었든) 아니면
사실
'내가 걱정하는 것보다는' 괜찮을 것이지만 나의 마음이 자꾸 내 안의 원초적인 생존 본능과 불안을 자극하는 오경보를 울려대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한창 불면증이 심할 때 인지행동 치료를 ... ...
80만 년 전부터 이어진 인류의 탄수화물 사랑
과학동아
l
2024.11.30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에서도 AMY1 유전자 복제가 있었다는
사실
이 밝혀졌다. 연구에 참여한 김권도 잭슨연구소 연구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이는 AMY1유전자 복제 변이가 약 80만 년 전 인류가 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으로 분기하기 전에 일어났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
[과학사 극장] 장영실의 초상화는 진짜 얼굴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24.11.30
부족하고 비극적으로 역사의 무대에서 쫓겨난 장영실이 언제부터 왜 유명해진 것일까?
사실
장영실이 이처럼 상식적으로 알려진 인물이 된 것은 비교적 최근이다. 그의 이름이 한국사 연구에서 과학의 발전과 관련지어 언급되기 시작한 때는 1960년대 초반이었다. 일제시대부터 해방 후까지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