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뉴스
"
결과
"(으)로 총 25,602건 검색되었습니다.
'킬러세포'가 간암세포 죽이도록 만드는 치료 메커니즘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간암세포주와 생쥐 간암 모델을 활용해서 TM4SF5 과다 발현 현상을 관찰했다. 관찰
결과
TM4SF5 발현이 높은 세포나 조직에서는 NK세포와 T세포의 활성화, 면역 반응에 관여하는 단백질 SLAMF7의 발현이 낮다는 것이 확인됐다. 간암 환자에 대한 공공데이터를 분석하자 TM4SF5가 많이 발현하는 환자 중 SLAMF ... ...
염증에 관여하는 단백질 발견…암 신약 개발 단서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조절하는 새로운 분자 메커니즘을 밝혀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
결과
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22일 게재됐다. 연구팀은 대식세포 내에서 단백질 TAZ가 세포 내 신호전달경로인 '히포신호전달경로'와 독립적으로 작용해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를 조절한다는 점을 밝혀냈다. ... ...
인공태양 핵융합 원료 중수소 골라내는 다공성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청정 자원 활용과 미래 에너지 기술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연구
결과
는 국제학술지 ‘앙게반테 케미’에 지난달 12일 온라인 공개됐으며 정신출판을 앞두고 있다. - doi.org/10.1002/anie.20242037 ... ...
사장됐던 '폐경 호르몬 치료' 다시 부활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있다. WHI의 연구는 에스트로겐 단독 요법을 받은 환자의 유방암 발생률 감소 등 연구
결과
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미흡한 부분이 있다는 지적 등이 나왔기 때문이다. 지난해 5월 국제학술지 '미국의사협회지(JAMA) 네트워크 오픈'에 게재된 논문에선 2002년 WHI가 실시한 임상시험에서 사용한 호르몬의 ... ...
韓, 5G보다 10배 빠른 6G 무선연결 세계 최초 시연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데이터 전송률 200Gbps를 달성한 것이다. 200Gbps 무선 전송 시연 시스템 화면에 속도 측정
결과
인 201.8Gbps가 표시돼 있다. ETRI 제공 ETRI가 시연한 시스템에는 초고주파 편파 미모(MIMO), 대용량 코딩 기술 등 6G 이동통신 구현에 필요한 핵심 기술들이 모두 포함된다. MIMO는 복수의 기지국과 단말 안테나를 ... ...
박테리아와 상호작용 활용해 유해 미세조류 독성 억제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생태계 보전과 지속 가능성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
는 국제학술지 ‘물 연구’ 온라인판에 지난해 13일 게재됐다. - dx.doi.org/10.1016/j.watres.2024.12293 ... ...
구부리고 늘리는 '스트레처블 기판' 왜곡 크게 줄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위한 전단압연 기술은 대량생산과 산업화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
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 최신호에 실렸다. doi.org/10.1002/adma.20241479 ... ...
지구에서 방사선에 제일 강한 미생물로 차세대 방호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방사선 피폭량과 신체 손상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방사선 피폭·손상 모델로 분석한
결과
엑소좀을 투여한 쥐들은 항산화 능력이 향상되고 염증반응이 억제돼 조혈계와 위장관계 모두 거의 손상되지 않았다. 기존 FDA 승인 방사선 방호제는 한 장기의 손상을 회복하는 정도였다. 여러 장기를 한 번에 ... ...
미세플라스틱, 운동·인지 능력 떨어뜨린다…뇌에서 피떡 형성한 탓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쥐의 뇌를 통과하는 과정을 뇌혈관 현미경 이미지를 통해 추적했다. 관찰
결과
미세플라스틱이 혈액-뇌 장벽을 통과하면 면역세포가 이를 발견하고 섭취했다. 플라스틱을 먹은 면역세포들은 응집해 혈전을 형성했다. 혈전은 뇌 조직과 세포로 흐르는 혈류를 방해했다. 미세플라스틱 때문에 뇌 ... ...
242만년 동안 쓸 수 있는 '암모니아' 생산하는 법
동아사이언스
l
2025.01.22
‘감람석’으로 추가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암모니아가 더욱 원활하게 생성되는
결과
를 보였다. 구리 촉매와 300℃의 열을 더했을 땐 더욱 최적화된 생산 환경이 조성됐다. 21시간 안에 감람석 1t당 약 1.8kg의 암모니아가 생산돼 실현 가능성과 지속 가능성이 입증됐다. 연구팀은 “감람석은 전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