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어린이과학동아
"
오른쪽
"(으)로 총 1,053건 검색되었습니다.
호주 26일 여행기 (멜버른 편)
기사
l
20180120
성당의 내부입니다. 성 페트릭 성당 정문에는 물길이 있습니다. 그 물길은 분수로 이어져 있고 분수 옆에는 조각상이 있습니다. 또
오른쪽
에 계단이 있습니다. 그 계단을 올라가면 동그란 물길을 따라 산책하는 장소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성 페트릭 성당을 정문에서 촬영한 모습입니다. 물길이 동그랗게 쭈욱 이어져 있어서 아름답습니다. 지금까 ...
신문, 얼마나 알고 있나요?
기사
l
20180114
창간 날짜 옆에 제 0호라고 적혀 있는 건 무엇인가요? 지령이라고 부릅니다. 신문을 발행하는 날마다 호수가 하나씩 늘어납니다.
오른쪽
위쪽을 보면 구멍이 뚫려 있는데 그것을 뭐라고 부르나요? 바늘 자국이라고 합니다. 인쇄된 신문을 바늘로 눌러 찌르고 접는 과정에서 자국이 생깁니다. 신문을 잘 알고 싶으신 분이나 관심 있는 분들이 보면 신 ...
물의 전기분해 실험을 해보자!!
기사
l
20180114
짧은 다리에, 빨강 집게 전선은 LED전구의 긴 다리에 연결합니다.) 8. 검정 집게 전선은 왼쪽 탄소 막대에, 빨강 집게 전선은
오른쪽
탄소 막대에 연결하고 LED 전구의 변화를 관찰합니다. 이때 물이 분해되어 만들어진 수소와 산소를 이용하여 다시 전기 에너지를 만듭니다. 그래서 LED 전구가 켜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
왕관앵무와의 첫 만남
기사
l
20180107
(알비노는 멜라닌 색소 부족으로 인해 태어 날 때부터 온몸이 흰색으로 태어 나는 희귀병이다.) 화이트 페이스 루티노 등이 있다. (
오른쪽
에 있는 앵무새가 옐로우 페이스 루티노이다.) 왕관앵무는 소형앵무 중에서 가장 영리한 새다. 그래서 그만큼 사교성이 뛰어나다. 그리고 수명도 길다.(수명은 20~29년이다.) 뿐만 아니라, 귀여운 외모에 양쪽 ...
신문에 대한 지식을 알고 싶을때,가면 좋은 신문박물관
기사
l
20180107
색을 칠했습니다. 전구에 색을 칠하면 그 색의 빛이 난다고 선생님께서 말씀하셔서 저는 보라색을 칠했습니다. 왼쪽에는 소원을 고
오른쪽
에는 소원을 신문의 있는 글자를 오려서 붙였습니다. 없는 단어가 들어있는 소원은 핵심단어만 붙였습니다. 전구를 완성한 뒤 비교해 보았습니다. 이건 불을 켜지 않았을 때입니다. 이것은 어둠이 아닌 밝은 불빛이 있는 ...
[지구사랑탐사대] 1월 15일! 지구사랑탐사대 6기 모집이 시작됩니다~!!!
공지사항
l
20180103
작성해 주세요. (※ 모바일로는 신청이 안 됩니다. 꼭 PC에서 해주세요!) 1월 15일(월)부터 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에 들어오면
오른쪽
에 “지구사랑탐사대 신청하기” 배너가 보일 거예요. 배너를 클릭하면 바로 신청 페이지로 이동해요. 2. 지구사랑탐사대 가입 팁(Tip)! - 지구사랑탐사대 신청하기 전 기자단을 먼저 가입해 주세요!(학생 ...
목도리 뜨기 방법
기사
l
20171229
코에 아래에서 위로 당깁니다. 위에 방법대로 한 다음 실과 연결된 실이 있을 텐데요, 그 실을 앞으로 가져와 줍니다. 그런 다음
오른쪽
대바늘을 왼쪽 대바늘 위에서 아래로 들어와 당겨서 빼줍니다. 그럼 이 모양이 됩니다. 위와같은 방법으로 코의 개수만큼 뜨면 이제 한 단을 뜬 거랍니다.^^ 같은 방법으로 계속하면 목도리가 완성 됩니다 ...
세계에서 가장 신기한 기네스북 사람들
기사
l
20171212
지퍼 잠그기입니다. 5.43초 이건 몸이 아담할 수록 좋겠네요! 10번 발목 돌리기입니다. 런던에 사는 14살의 소년은, 왼쪽 발목 143도,
오른쪽
발목 157도가 꺾입니다. 11번 수중파티 입니다. 물에서 먹을 음식들 너무 아깝네요. 저한테 주지… 이상으로 기사를 마치겠습니다.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
네이버 스마트 렌즈
포스팅
l
20171117
오늘은 네이버의 스마트 렌즈를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른쪽
맨 위에있는데요 사용 방법은 스마트 렌즈를 누른 다음에 사진을 찍은 다음 정보를 얻어갑니다.예를 들자면 찍어서 정보를 얻어요 찍었는데 그 사진과 비슷한 사진이 없다면네이버에 올리면 됩니다. ...
과학동아 천문대에 다녀오다!
기사
l
20170828
보이는 곳은 시뮬레이션을 볼 수 있는 공간이고
오른쪽
에 보이는 곳은 별을 관측하는 큰 기구가 있는 곳 입니다. 이 사진은 아까 맨
오른쪽
에 있던 곳의 내부 사진인데요. 보시다시피 망원경 하나를 중심으로 공간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천문대 천장에 네모난 모양으로 비어 있는 공간은 별을 더 잘 보기 위해 그 부분만 뚫어 놓았다고 해요.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