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보이는 대로 믿지 마라! 착시 미술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4호
-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보이는 대로 믿지 마라! 착시 미술관Part1. [특집] ‘점’ 하나로 눈을 속여라!Part2. [특집] 꼭꼭 숨어라~ ‘평행선’ 보일라!Part3. [특집] 와~! 이거 완전히 속을‘각’인데?Part4. [특집] ‘눈속임 기법’에 깜박 속았네! 트릭아트 ... ...
- [특집] 꼭꼭 숨어라~ ‘평행선’ 보일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4호
- 사실 멀리 이어진 큰길이에요. 길을 이루는 두 개의 선이 끝에서 만나, 마치 꼭짓점이 하나 있는 원뿔로 보여요.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유클리드는 평행선을 ‘아무리 길게 늘여도 절대 만날 수 없는 직선’이라고 정의★했어요. 그런데 원근법을 이용한 그림에서는 두 개의 평행한 직선이 ... ...
- [특집] 백합의 꽃향기 분자를 들여다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4호
- 뻗어 나오는 빛을 두 줄기로 나눴어요. 하나는 백합 향을 내는 냄새 분자에 쏘고, 나머지 하나는 공기 속 수분 분자에 비췄죠. 빛이 향기 분자와 수분 분자에 부딪히면 굴절되는데, 각 분자에 따라 빛이 구부러지는 정도가 달라요. 그 차이를 통해 향기 분자가 언제 나오는지 실시간으로 파악했습니다 ... ...
- [화보] 그림 그리면 행복하다 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4호
- 데리고 왔어요. 그런데 헛간에 있던 모든 것을 먹거나 망가뜨리더라고요. 신기하게도 딱 하나, 붓만 빼고요! 입에 물기 더 편한 붓을 만들어서 주었더니, 붓을 물고 흔들며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어요. 그 돼지가 바로 피그카소랍니다. 피그카소는 원이나 하트 모양을 그리는 것을 좋아하지만, 여러 ... ...
- [특집] ‘점’ 하나로 눈을 속여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4호
- 속의 ‘점’을 찾아보는 거예요. 무슨 점이냐고요? 바로 ‘소실점’이에요. 그림 속 단 하나의 ‘점’을 찾아봐! 위 그림을 보세요. 시선이 정가운데에 있는 예수에게로 가지 않나요? 그건 바로 이 그림의 ‘소실점’이 예수에게 있기 때문이에요. 소실점은 그림 속에 숨겨진 직선들을 늘릴 때, 그 ... ...
- [별별 우주기네스] 공전주기가 가장 긴 천체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4호
- 가장 긴 천체는 무엇일까요? 우주 기네스 1 태양계에서 공전주기가 가장 긴 ‘해왕성’ 하나의 천체가 다른 천체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을 ‘공전주기’라고 해요. 태양을 도는 지구의 공전주기는 365일이지요. 모든 천체는 저마다 다른 공전주기를 갖고 있답니다. 현재까지 발견된 행성 ... ...
- [특집] 너를 위한 향기로운 향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4호
- 이번에 짝꿍이 된 친구를 보고 첫눈에 반했어. 12살 인생을 걸고 조만간 고백하려고 해. 꽃을 좋아한다고 해서 준비해 봤는데, 과연 그 애가 이 향을 좋아할까 걱정이 ... 떠오를까?Part3. [특집] 인류가 공통으로 좋아하는 향이 있다?!Part4. [특집] 조향사 세상에 하나뿐인 향을 만들다 ... ...
- [특집] 냄새를 맡으면 왜 기억이 떠오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4호
- 기분이 좋고 나쁨이 분명하면, 그 냄새는 사회적 향인 거죠. 사람에게는 땀 냄새가 그중 하나예요. 맡으면 생각하기도 전에 기분이 나쁘다는 판단이 바로 드는 냄새지요. 동물에게는 보통 포식자의 냄새가 대표적인 사회적 향입니다. 쥐는 학습하지 않아도 태어날 때부터 고양이 같은 천적의 냄새에 ... ...
- [특집] 인류가 공통으로 좋아하는 향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4호
- 분자를 맡게 했어요. 이후 참가자들은 맡은 냄새들을 감귤 향, 찻잎, 젖은 개 냄새 등으로 하나씩 평가했습니다.연구팀은 평가 결과를 평균 내어 냄새 분자에 선호도 순위를 매겼어요.참가자들이 10가지 냄새를 맡는 동안 발생된 뇌파를 분석했더니, 뇌는 선호도가 낮게 평가된 냄새를 맡았을 때 더 ... ...
- [만화 뉴스] 실이 아니라고? 세상에서 가장 큰 세균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4호
- 이 생명체가 발견됐어요. 볼랑 연구원팀이 이 생명체를 현미경으로 분석했더니 세균처럼 하나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보고 이 생물이 세균인 것을 알 수 있었지요. 미국 매사추세츠대학교 베레나 카르발류 연구원은 “세균이 다른 미생물보다 작다는 기존의 개념을 뒤집는 발견이었다”고 ... ...
이전8081828384858687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