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화"(으)로 총 3,203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천연 스펀지로 물 찍어 먹는 침팬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영장류의 도구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인류의 석기시대를 엿볼 수 있다. 인류의 진화사를 새롭게 조망할 기회도 얻게 됐다. 전세계 영장류들을 보호해야 할 또 하나의 이유가 추가된 셈이다 ... ...
- [News & Issue] 감칠맛=글루탐산 맛!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물 다음으로 우리 몸에 많이 필요하다. 따라서 우리의 혀는 단백질의 감칠맛을 느끼도록 진화했다. 하지만 단백질 자체는 분자가 너무 커서 혀의 맛 수용체가 느끼지 못한다. 맛 수용체는 단백질의 구성성분인 아미노산(ex. 글루탐산)을 느낄 수 있다. 끓이거나 발효시켜서 재료 속에 든 글루탐산(MSG ... ...
- [과학뉴스] 광합성도 안 하고, 꽃도 안 피는 식물?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추정했다. 또 이렇게 어두운 환경에는 곤충의 접근도 쉽지 않아 자가수분 식물로 진화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수엣수구 교수는 “완전히 폐화수정을 하는 식물은 매우 드물기 때문에 이 발견은 폐화수정 식물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식물분류학 학술지 ... ...
- [Knowledge] 해밀턴의 이론은 진사회성 곤충에만 적용되는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어디에도 없다. 고래의 조상이 곰이라는 가설은 다윈 진화 이론의 한 응용일 따름이며, 진화론에 입각한 다른 대안 가설로도 얼마든지 고래의 조상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해밀턴의 포괄 적합도 이론이라면 무조건 벌목, 단수이배성, 또는 0.75의 근연도를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다. 단수이배성 ... ...
- [가상인터뷰] 깃털색에 숨겨진 새매의 사냥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살아가는 ‘색다형성’을 유지할 수 있는 거예요.테이트 박사는 색다형성을 통해 동물의 진화 과정을 연구하고 있어요. 저도 박사님을 도와 동물의 다양한 모습 속에 담긴 비밀을 밝히고 싶답니다 ... ...
- [지식] 세계는 스팸과 전쟁 중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대규모로 스팸 메일을 보낼 때 별다른 노력과 비용이 들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공격 : 진화한 봇넷, 독해진 스팸스팸은 컴퓨터 군대인 봇넷이 메일함으로 쏴보내는 총알과 같습니다. 봇넷이 발달할수록 한 번에 쏠 수 있는 총알의 양도 많아졌습니다. 최근 봇넷은 총알에 악성 코드를 더해 어디로든 ... ...
- [과학뉴스] 공룡은 새처럼 울지 못했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낸다는 것에 주목했다. 그리고 공룡의 후두에 있던 발성 기관이 훗날 조류의 울대로 진화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10월 12일자에 실렸다 ... ...
- [과학뉴스] 초기 지구를 데운 건 메탄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기존 학설은 태양 대신 메탄가스가 지구를 데워 바다가 액체 상태를 유지했고, 생명체가 진화할 수 있었다고 추정했다.연구에 참여한 UC리버사이드 생물지구화학과 티모시 리온스 교수는 “현재 시점에서 인류가 외계행성에서 메탄을 발견하면 그건 생명체가 있을 수 있다는 강력한 증거”라며 ... ...
- [Knowledge] 그들은 왜 몸집을 줄였을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물론 산소 포화도가 곤충의 몸집을 좌지우지한 전부는 아니다. 일본 도호쿠대 생태학 및 진화생물학과 오카지마 료코 박사팀이 산소 분압으로 예측한 과거의 곤충 크기와 실제 곤충의 화석을 비교한 결과, 이론으로 예측한 것보다 실제 곤충 화석의 최대 크기가 작다는 것을 발견했다(고생물학 ... ...
- [Tech & Fun] 외로우니까 사람이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인류가 오래 살아남기 위해 꼭 필요한 감정이며, 특히 사회를 이루면서 살아가도록 진화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doi:10.1080/02699931.2013.837379).초기 인류는 각자 또는 소가족 단위로 사냥을 하거나 먹을 것을 구하고, 위험한 동물이 나타나면 무찔러야 했다. 그만큼 굶거나 다쳐서 ... ...
이전8081828384858687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