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식"(으)로 총 3,365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레시피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이 내용을 배웠습니다.그렇다면 5학년에서 이미 배운 지식과 6학년에서 배울 새로운 지식을 어떻게 연결하면 좋을까요? 분수의 나눗셈과 연결된 개념을 모두 기억할 수 있도록 가장 기초적인 것부터 시작해 추론하면 좋습니다. 이제 다양한 분수의 나눗셈에서 단계를 거쳐 추론 과정을 따라가 ... ...
- [Editor’s Note] 고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매달 새로운 선물 ‘5분 사이언스’가 제공됩니다. 한 손에 쏙 들어오는미니 지식백과 시리즈로, 인포그래픽으로 과학 및 공학 분야의 핵심을 짚어줍니다. 취재해본 기자만 아는 알짜 진로, 진학 정보도 제공합니다. 정기구독을 서두르세요. 수집은 첫 호부터 해야 제맛입니다. : ... ...
- [지식]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_저르퍼시의 추측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모르는 사람들끼리만 시험 보려면?저르퍼시의 추측최근 영국 옥스퍼드대 알렉스 스콧 교수와 미국 프린스턴대 폴 세이머 교수가 30년 묵은 난제 ‘저르퍼시의 추측’을 풀었습니다. 저르퍼시의 추측은 1985년 헝가리의 수학자 언드라시 저르퍼시가 제기한 추측으로, 모르는 사람들끼리만 시험을 치 ... ...
- [지식] 설문조사의 함정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여러분은 뭐라고 답하셨나요? 서울대 통계학과 학생 37명은 배우 신민아가 노트북을 들고 있는 사진을 보고 같은 설문에 응했습니다. 단, 신민아가 배우라는 사실을 고려하지 않고 조사에 응하라는 조건이 붙었습니다. 그 결과 26명이 ‘전문직 여성이고, 미혼일 것이다’에 투표했습니다. ‘가정주 ... ...
- [지식] 폴리노미오그래피수학동아 l2016년 02호
- 화려한 색채로 묘한 매력을 뽐내는 작품이 사실은 다항식의 근을 그래프로 나타낸 결과라면 믿기십니까? 마치 거장의 추상 미술 같은 이 작품은 바흐만 카탄타리 미국 뉴저지주립대 교수가 개발한 그래프 그리는 방법으로 탄생한 다항식 그래프입니다. 대체 어떻게 다항식이 예술작품으로 변했는 ... ...
- 외국 기자가 본 환태평양 지역의 산업수학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기업이 수학 전공자들을 채용하도록 장려했습니다. 여러 분야에서 수학적 지식을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입니다.뉴질랜드에서는 기업이 수학전공자를 채용하기 보다는 수학자들과 함께 일을 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더 선호했습니다. 방범시스템을 개발하는 업체인 ‘오러’는 여러 ... ...
- [지식] 물감의 혼돈, 잭슨 폴락의 그림엔 프랙탈이 있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이런 그림은 나도 그리겠네!’물감을 어지럽게 흩뿌린 것이 마치 어린 아이가 낙서를 한 것 같다. 이런 그림이 수천억 원의 가치를 갖고 있다면 한 번쯤은 이런 생각을 하지 않을까. 그런데 이 그림은 미국 미술계의 슈퍼스타이자 추상표현주의를 대표하는 화가 잭슨 폴락의 작품이다. 겉으로는 ... ...
- [지식]왜 내게 이런 일이!- 스마트폰 잔혹사-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스마트폰은 화면부터 떨어질까?첫 날, 뭔가 재미있는 게 있어서 스마트폰에 시선을 두고 걸어가고 있었다. 아뿔싸! 걸어오던 사람과 부딪혀 스마트폰을 떨어뜨리고 말았다. 제발 화면만큼은 깨지지 않았으면! 하지만 화면은 어김없이 깨져버렸다. 어휴, 새해 첫날부터 이게 무슨 일이람? 왜 하필 스 ... ...
- [Tech & Fun]내 연구가 춤이 된다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박사 주제와 관련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했다. “소품을 만들고, 화학 분야 지식이 전혀 없는 사람들과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것이 저에게도 좋은 자극이 됐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이런 협업 작업을 해나가고 싶습니다.”‘enTANGOed(탱고를 하게 만들다)’란 제목으로 물리학 분야에서 우승을 ... ...
- [지식]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있다고 자랑스럽게 말할 날이 오면 좋겠어요. 독자들에게 한 마디 부탁드려요!지식도 중요하지만 수학을 공부하면서 습득할 수 있는 논리력, 사고력, 인내심을 높게 쳐주는 분위기가 점점 퍼지고 있어요. 수리생물학자도 세상에서 가장 복잡한 시스템을 다루는 사람이잖아요? ... ...
이전8081828384858687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