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금"(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2. 외계인을 어떻게 찾아?수학동아 l2020년 07호
- 관측하고 외계행성을 찾는 시스템입니다. 망원경이 설치된 3곳은 각각 밤이 되는 시간이 조금씩 달라서 관측하려는 지역의 천체를 24시간 연속으로 관측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24시간 내내 관측할 수 있는 시스템은 세계에서 유일무이한 방식이죠. 우리은하 중심에서 일어나는 미시중력렌즈 현상을 ... ...
-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있다.2020년 2월 12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연구 결과도 바이러스와 세균을 조금 더 가까운 존재로 만들었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유전체혁신연구소와 덴마크공대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임신부의 대변, 티베트의 온천, 남아프리카의 생물반응기, 바다, 호수 등 40가지 ... ...
- 오가노이드, 칩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커져서 보통의 장기 칩에는 들어가기 힘들지. 연구팀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금 더 큰 장치를 개발하고 있어. 연구팀은 약 6cm의 배양접시 4개를 이어 붙이고, 이 접시들을 연결하는 관과 유속을 조절할 수 있는 펌프 등을 연결한 다중 오가노이드 배양 장치를 개발했어. 정 책임 연구원은 ... ...
- [매스크래프트] #6. 영국의 빅 벤, 하루는 왜 24시간일까?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인생 6년차 퓨처킴. 하지만 마인크래프트(이하 마크)는 처음이다. 회사에서 게임하는 게 조금 눈치 보이지만 마크 초고수가 되는 그날까지, 나는 달린다! 시계탑을 짓다 보니 문득 하루는 왜 24시간인지 궁금졌습니다. 찾아보니 놀랍게도 우리에게 너무 익숙한 ‘하루는 24시간, 1시간은 60분,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6화. 다채로운 군의 세계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있듯 수학에도 여러 종류의 군이 존재하는데요, 이번 화에서는 제 연구 분야인 군론을 조금이라도 엿볼 수 있게 각양각색의 군을 소개합니다. 가장 먼저 소개할 군은 ‘n차 대칭군’ Sn입니다. 닐스 헨리크 아벨과 에바리스트 갈루아가 밝힌 ‘5차 방정식의 근의 공식에 관한 연구’의 핵심이었던 ... ...
- 살이 빠지는 화학반응이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살을 해석하면 인체는 체내에 저장된 ATP를 먼저 사용하며, ATP가 부족한 경우 추가로 살을 조금씩 분해해 에너지원으로 쓴다. 만약 신체활동이 적어 ATP를 대량으로 생성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체내 ATP 저장 한계를 넘어설 만큼 음식물을 섭취하면 우리 몸은 인슐린을 분비해 글루코스-6-인산을 무려 ... ...
- 미 NC와 NC 다이노스, 연결고리는 공룡?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선보이자 미국 스포츠 전문채널 ESPN 중계진이 큰소리로 환호했습니다. 한국 팬들에겐 조금 의아한 일이었습니다. KBO리그에선 배트 플립이 익숙한 일이니까요. NC 다이노스의 인기는 공룡 때문?배트 플립에 대한 열광적인 반응은 한국 야구가 미국 메이저리그 팬들의 큰 관심을 받고 있음을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발사 D데이, 이륙 900초 전 자동 카운트다운 시작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프로그램에 따라 100% 자동으로 진행된다. 사람의 실수를 최소화해 발사 성공 확률을 조금이라도 높이기 위한 방편이다. 이륙 시간이 다가올수록 발사 운용 요원들의 긴장은 극도로 심해질 수밖에 없다. 실제로 나로호가 발사할 때 숨이 멎을 것 같았다는 연구원이 있는가 하면, 우황청심원(긴장감을 ... ...
- [Go!Go!고고학자] 늑도의 특이한 유물들, 어디서 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익히는 것 중 하나는 지리를 살피는 법이에요. 고고학자들은 일단 조사 장소에 도착하면 조금 떨어진 높은 곳에 올라 주변을 살펴본답니다. 동서남북 방위를 읽고, 이곳이 평지인지, 산지인지, 주변에 강이 있는지, 사람들이 쉽게 올 수 있는 곳인지, 쉽게 구할 수 있는 자원은 무엇인지 등을 파악해요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안보인다고 무시하지마! 공기의 힘을 보여주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달린 날개가 수직 방향으로 흐르는 공기를 수평 방향으로 바꾸면서 몸체를 앞으로 조금씩 밀어내요. 또한 피닉스의 날개에는 태양 전지가 붙어 있어요. 여기서 나오는 전기로 공기 펌프를 작동시켜 몸체에 공기를 불어넣지요. 즉, 연료가 없어도 스스로 동력을 만들어 하늘에서 움직일 수 있는 ... ...
이전8081828384858687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