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반
일단
만억
단
팀
d라이브러리
"
조
"(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지구 나무 절반으로 줄었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토대로 단위면적 당 나무 수를 계산해 전세계 삼림의 전체 나무 수를 추정했다.
조
사 결과 현재 지구에 남아 있는 나무는 총 3
조
그루. 10년 전 예상했던 수치(4000억 그루)보다는 7배 많지만 인류 문명이 시작된 1만2000년 전에 비하면 46%나 감소한 수치다. 연구진은 매년 벌목으로 19만km2의 숲과 100억 ... ...
[Hot Issue] 화성에 WI-FI만 터졌더라면…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나는 화성에서 오도 가도 못하는 신세가 됐다. 헤르메스나 지구와 교신할 방법도 없다. 모두들 내가 죽은 줄 알고 있다. 내가 있는 이 거주용 막사는 31일간 ... 적어도 5년 안에 실제 프로젝트에 돌입하기를 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가까운 미래엔
조
난 걱정없이 화성을 여행할 수 있을까 ... ...
[수학뉴스] 세계 나무의 반이 사라졌다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크라우서 박사팀은 남극을 제외한 모든 대륙의 자료를 모아 지구상에 나무가 무려 3
조
그루 넘게 있다는 연구 결과를 9월 2일 ‘네이처’에 발표했습니다.연구팀은 예측모형을 만들기 위해 위성사진과 슈퍼컴퓨터, 그리고 숲에 대한 자료를 국가별로 모았습니다. 땅을 일정한 넓이의 구획으로 나눈 ... ...
HFT, 인간을 주식시장에서 쫓아내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HFT 회사는 0.0001초 수준에서 서버와 거래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거래소 서버에서
조
금이라도 가까운 곳에 자신의 컴퓨터를 두고, 전용 광케이블을 설치한다. 광케이블 속 광자는 0.0001초당 200km를 움직인다. 만약 다른 회사보다 광케이블 길이를 200km 줄일 수 있다면 거래소 서버에 닿는 시간이 0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통일을 준비하는 물 공학자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황금연못을 만들어 준 곳이 지금까지 17개나 된다.왜 이런 활동을 하느냐는 질문에
조
교수는 “공학은 ‘인간’이라는 변수를 가진 학문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사람들이 힘들어 하니까, 또 필요로 하니까 공학이 발전하는 겁니다. 공학을 영어로 엔지니어링이라고 하죠? 저는 그걸 인간의 ... ...
[Hot Issue] 떠오르는 사물인터넷?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이른 감이 있다”며 “우선 사물인터넷 시장이 커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미래창
조
과학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지난 6월, ‘사물인터넷 보안 얼라이언스 발대식’에서 사물인터넷 사업자들이 지켜야 할 공통보안 7대 원칙을 발표했다. ‘정보보호를 위해 사물인터넷 제품 및 서비스를 설계해야 ... ...
[Life & Tech] UC버클리에서 뜨거운 여름을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기회가 올 때까지 기다리지 말고, 적극적으로 관심 있는 교수를 찾아다니란 말이다.
조
혁진 씨는 과감히 루크 리 UC버클리 생명공학과 교수의 연구실을 두드렸다. 리 교수는 나노바이오융합 기술 분야의 세계 최고 석학이다. 혁진 씨는 UC버클리에 머물면서 여름학기 수업과 연구실 인턴을 병행했다. ... ...
[Knowledge] SF가 사랑한 이름, 상대성이론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4차원 시공간의 부분임을 밝혔다. 나아가 시공간이 물질과 얽혀 제 나름의 독특한 구
조
를 가질 수 있다고 했다. 우리의 직관을 벗어난 상대성이론은 새로운 상상의 원천이 됐다.테리 길리엄 감독의 ‘12몽키즈’가 특히 흥미롭다. 1995년에 나온 이 영화는 인류 대부분이 죽고 극소수의 사람들만이 ... ...
[Knowledge] 예술의 경지에 이른 변장술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산호뱀이 사라진 지난 50년 사이에 연안에 사는 스칼렛왕뱀에 변화가 일어났는지
조
사하러 나섰다. 하지만 이들을 기다리는 것은 뜻밖의 결과였다. 스칼렛왕뱀이 멸종한 산호뱀과 과거보다 더 비슷한 모습으로 변했기 때문이다. 스칼렛왕뱀은 원래 산호뱀보다 덩치가 컸지만 산호뱀과 비슷한 ... ...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효율적인 자세로 바꾼다.바이오닉캥거루두 발로 콩콩 뛰는 로봇독일 생체모방로봇제
조
업체인 페스토는 실제 캥거루를 모방한 로봇 ‘바이오닉캥거루’를 만들었다. 캥거루는 뛰어올랐다가 땅에 착지할 때 아킬레스건에 에너지를 축적했다가 다시 이 힘으로 뛰어오른다. 바이오닉캥거루는 탄성이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