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으)로 총 3,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인공지능 키워드 3. 센서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이왕 밝힌 김에 내 약점을 하나 더 알려 줄게. 난 모니터 밖의 세상을 보지도 듣지도 못해. 혼자서는 실제 바둑판에 돌을 올리기는커녕, 바둑판에 돌이 ... 2. 인공지능 키워드 1. 빅데이터Part 3. 인공지능 키워드 2. 딥러닝Part 4. 인공지능 키워드 3. 센서Part 5. 인공지능과 함께할 미 ...
- [Interview] “400년 전 조선 비행기, 불가능하지만은 않았을 겁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비행기, 다시 하늘을 날다’를 펴냈다. 책의 백미는 역시 항공공학자이자 설계자인 이 씨가 좌충우돌하며 비거 모형을 복원하는 과정이다. 논증 과정이 꽤 꼼꼼하고 기발해 다큐멘터리를 보듯 흥미롭다. 예를 들어 하늘을 날 수 있는 날개에 대한 힌트는 우리나라 전통배의 돛에서 얻는다. 마주 오는 ... ...
- PART 2. 생생 캐릭터, 탄생 현장을 가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배우의 비밀을 살펴봤습니다. 언젠가는 컴퓨터로 만든 캐릭터가 인상 깊은 연기로 인간을 제치고 주연상을 거머쥘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Part 2 비밀번호 무력화하는 백도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틀에 벌레집(백도어)이 붙어있었다. 벌레가 붙어있는 붕어빵을 발견한 가게 주인은 원인을 찾기 위해 재료를 뒤지지만 재료에는 문제가 없다. 그 상태로 계속 붕어빵을 만들고 틀에 있는 벌레가 붕어빵에 붙어 나오는 상황이 반복된다. 마찬가지로 컴파일러에 백도어가 숨겨져 있으면 실행 파일을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24차원에서 공을 촘촘히 쌓으려면?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박사의 방법은 24차원에서도 통했습니다.1주일 뒤 피아초프슈카 박사와 콘 박사, 인도 수학자 압히나브 쿠마, 미국 수학자 스티븐 밀러, 우크라이나 수학자 다뉠로 라드헹코 이렇게 5명이서 24차원 케플러 추측을 증명한 논문을 공개했습니다. 불과 1주일 만에 8차원을 풀었던 아이디어가 24차원으로 ... ...
-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value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이런 지침을 따르기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실험데이터를 모두 공개하려면 이를 올릴 인터넷 공간이 필요한데 그러려면 비용이 많이 들지요. 아직 완벽하게 연구를 설명할 쉽고 유용한 통계적 방법도 없고요. 하지만 과학자들이 노력하고 있으니 이 문제는 점차 좋아지겠지요.그러면 우리는 ... ...
- [수학뉴스] 필즈상 수상자, ‘기부’라는 따뜻함 남기고 하늘나라로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메달과 1991년 영국왕립학회가 주는 실베스터 메달도 받았습니다.맥밀런 암 지원센터 대변인은 “클라우스 로스의 고마운 선택이 암과 사투를 벌이는 많은 가족들에게 힘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이처럼 포괄 적합도는 어디까지나 개체의 관점에서 바라본 개념이다.그러나 위의 인용문에서 드러나듯이, 해밀턴의 초창기 논문들에서 ‘유전자의 눈’ 관점(Gene’s eye view)도 엿볼 수 있다. 다음 세대에 더 많은 복제본을 남기려는 의도와 목표를 지니며, 이를 실행에 옮기고자 분투하는 유전자 ... ...
- 알면 알수록 신기한 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대부분 둥근 형태예요. 어류, 거북 같은 파충류, 조반류 공룡 알은 완전히 둥근 공 모양인 반면 용반류 공룡이나 조류 알은 길쭉해요. 이들은 난관을 한 번 수축한 뒤 알을 낳기 때문에 알 끝이 눌리며 뾰족해진 거랍니다.반면 무척추동물의 알은 다양한 형태를 하고 있어요. 예를들어 식물에 알을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은하는 ‘은빛 강’이라는 뜻의 단어예요. 수많은 별이 모여 마치 밤하늘에 흐르는 강처럼 보인다고 하여 은하수(銀河水)라고도 부르지요. ‘용(미르)이 하늘로 올 ... 그래서 ‘년(年)’은 원래 ‘수확’을 뜻하는 단어였으나, 나중에 벼가 자라는 기간인 ‘한 해’를 뜻하게 되었답니다 ... ...
이전8081828384858687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