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카락
두상
두부
머릿골
얼굴
뇌
d라이브러리
"
머리
"(으)로 총 4,25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다가온 위기!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대가 서 있는 게 보였다.“경비로봇이다!”이제 총격전이 벌어지겠다는 생각에 아이들이
머리
를 감싸며 비명을 질렀다. 하지만 인질이 앞에 있는 상황이라 경비로봇은 총을 쏘지 않고 가만히 있었다. 비밀결사대도 가만히 노려보고 있었다. 그때 비밀결사대 중 한 명이 좀 다르게 보이는 총을 가지고 ... ...
[헷갈린 과학] 꼬리로 구분해요! 불도그 VS 퍼그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말려 있는 것도 불도그와 다른 특징이랍니다.
머리
는 몸에 비해 큰 편이에요. 눌린 듯한
머리
모양 때문에 라틴어로 ‘도끼’라는 뜻의 단어인 ‘퍼그’로 불리게 되었지요. 동그랗고 반짝이는 두 눈으로 짓는 안쓰러운 표정이 특유의 매력이랍니다.퍼그는 온도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약해요. 특히 ... ...
[Culture] 원본 증명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것입니다. 완전히 해가 지고, 키가 그다지 크지 않은 가로등이 꽤나 부담스러운 불빛을
머리
바로 위에서부터 비추고 있었습니다. 저는 천천히 호흡을 가다듬었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모퉁이를 돌아 암살자 지베르티의 무대로 들어서는 순간, 저는 그만 심장이 멈추고 말았습니다. 그렇습니다. 그 ... ...
[과학뉴스] 타조 닮은 공룡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한중일 고생물학자들이
머리
에 볏이 달리고 타조를 닮은 공룡의 화석을 발견했다. 이융남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와 뤼준창 중국지질과학원 박사, 코바야시 요시스구 일본 홋카이도대 박물관 박사 등 공동연구팀은 중국 장시성에 있는 간저우 지방에서 공룡 뼈화석을 찾았다. 후기 백악기(약 75 ... ...
[Future] 한국 온 지 9개월, ‘닥터 왓슨’ 뭐하세요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자체 AI를 개발하는 일이 마냥 장밋빛만은 아니다. 인간 의사보다 AI 왓슨이 뛰어난 점은
머리
로 기억할 수 없는 방대한 양의 의학적 자료와 확률 데이터를 저장한다는 점이다. 즉 왓슨의 가장 뛰어난 능력은 전 세계 의학 지식을 담고 있는 고급 저널들을 포함한 빅데이터다. 게다가 왓슨은 지금 이 ... ...
[Issue] 100% CG 침팬지 ‘시저’의 귀환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받는다. 우선 배우가 얼굴에 특수 페인트를 점처럼 찍고 얼굴만 촬영하는 전용 카메라를
머리
에 단다. 페인트가 마커 역할을 하는 것이다. 배우가 표정 연기를 하면 얼굴 근육의 움직임에 따라 마커의 움직임이 생기고 이 움직임은 고스란히 컴퓨터에 데이터로 저장된다. 데이터는 3차원 공간 ... ...
[Future] 재난구조로봇 1등은 ‘나야 나’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바꾸는 데 26초가 걸리는 반면, 이번에 개발된 로봇은 1.6초 만에 U턴을 한다. 연구팀은 또
머리
쪽에 카메라를 달아 잔해 더미 속에서 시야를 더 넓게 촬영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생존자를 더 빨리 찾을 수 있는 셈이다. 타도코로 교수는 “재난구조로봇을 개발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는 ... ...
[Culture] 명상과 전두엽의 과학적 관계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캠프에 참가한 375명 중 16명을 대상으로 캠프에 참가하기 전과 후 뇌파를 측정했다.
머리
의 정중앙과 앞뒤좌우로 19군데에서 뇌파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관찰했다. 분석 결과 성인과 청소년은 공통적으로 뇌파 중 10~12Hz(헤르츠)에 해당하는 알파파가 감소했다. 이는 주의집중력이 향상된 것으로 ... ...
여성 최초 필즈상 수상자 미르자카니 눈을 감다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공간의 전체 구조는 매우 복잡해 수학자들은 오랫동안 이 공간의 부피를 구하기 위해
머리
를 싸맸다. 그런데 이 문제를 미르자카니 교수가 해결했다. 미르자카니 교수는 모듈라이 공간의 부피를 구하는 논문에서 물리학자 에드워드 위튼이 제기했던 추측에 대한 새로운 증명도 제시했다. 공간 ... ...
[공룡은 왜?] 뿔만 봐도 다 알아! 코스모케라톱스의 화려한 뿔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중생대 백악기 후기(7억 5000만 년 전~7억 6000만 년 전)에 살았던 뿔공룡이에요. 얼굴과
머리
위쪽에 총 15개의 다양한 뿔을 가지고 있는데, 지구상에 존재했던 그 어떤 공룡보다도 아름다운 공룡으로 손꼽히지요.그런데 코스모케라톱스를 보면 뿔 모양이 좀 특이하다는 걸 알 수 있어요. 프릴 위쪽에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