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식
도표
그림꼴
그림
설계도
그림표
그래프
d라이브러리
"
도형
"(으)로 총 1,230건 검색되었습니다.
왜 국제수학자대회를 열려고 하는 걸까?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말한단다. 유클리드 공간은 유클리드가 연구한 평면과 공간을 뜻하는데 우리가 배우는
도형
이 존재하는 공간이라고 생각하면 된단다.일본 수학자가 필즈상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지만 개최국에서 수상하는 영광을 얻어 그 기쁨이 두 배였단다. 한동안 일본은 수학의 열기로 가득했지. ... ...
제시문에 기반해 명확한 답 찾기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찾다 보면 다음 문제가 해결된다.여기서 약간 문제가 되는 것은 토러스(도넛모양의 3차원
도형
)의 부피를 구하는 부분인데, 사전 지식이 있어야 한다. 토러스의 부피를 엄밀히 구하지 못하더라도 직관적 풀이에 의한 식을 유추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토러스의 부피를 제외하고는 교과과정 내에서 ... ...
달콤쌉쌀한 첫사랑에 빠진
도형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루마니아의 수도 부쿠레슈티로 향하던 중 열차 고장으로 브라쇼브를 여행하게 된 허풍과
도형
. 드라큘라 성에서 진짜 드라큘라일지도 모를 백 ... 늘어 놓는다.‘대체 선생님의 어떤 점이 좋은 걸까? 나랑 선생님이 어디가 다르지?’
도형
은 그 해답을 찾기 위해 허풍을 한동안 빤히 바라본다 ... ...
성냥개비로
도형
만들기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만들되 면적이 큰
도형
이 작은
도형
의 3배가 되도록 만들어 보세요(힌트 : 만들어지는
도형
은 사각형이 아닙니다. 성냥개비 7개로 만들 수 있는 모양이 어떤 것이 있을지 잘 생각해보세요). 정답을 아시는 분은 ljr@donga.com으로 9월 15일까지 이번 호 ‘도전! 1% 클래스’에 대한 독자평과 함께 정답, .. ...
드라큘라성의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외르뵈시 경시대회에서 우승해 일약 스타가 된
도형
. 허풍은
도형
에게 인기를 빼앗기자 헝가리를 재빨리 떠나려고 한다. 결국 허풍과
도형
... ”“준비라니? 축제는 아직 석 달이나 남았단다. 성에는 아무도 없을 텐데….”허풍과
도형
이 만난 사람은 도대체 누구일까? 혹 드라큘라~! 으아악~ ... ...
몸으로 느끼는 수학을 만나다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오각형과 육각형의으로 만들어진 셈이지.그런데 이 세팍타크로 공을 직접 만들면서 입체
도형
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는 수학체험전이 열린다고 해서 찾아가 봤어. 지난 7월 8일부터 12일까지 창원대학교 사림관에서‘2010 수학체험전-수학과 친구되자’라는 이름으로 전국 규모로 열린 행사야.이번 ... ...
정다면체 오형제의 위대한 탄생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어느 방향에서 봐도 모양이 같고, 완벽한 대칭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죠. 앞으로 입체
도형
을 열심히 연구해서 차세대 월드컵 공인구는 우리 친구들 손에서 탄생하길 기대해 볼게요 ... ...
입체
도형
과 착시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안 보이는 모서리가 보이게 시선의 방향을 맞춰 촬영한 것이다. 우리 주변에는 이렇게
도형
과 관련된 여러 가지 착시가 있다. 착시는 주변의 상황에 따라 원래의 모습과 다르게 보이는 현상이다. 한 마디로 우리의 뇌가 착각을 일으키는 것이다. 똑똑하기만 한 우리의 뇌도 가끔은 착각을 일으켜 사고 ... ...
수학자 올림픽의 꽃, 필즈상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받아 사람들을 놀라게 했어. 아직도 최연소 기록으로 남아 있지. 그는 동그란 공 위에
도형
을 그려 연구하는 구면기하학에 업적을 남겨 상을 받았는데 그 뒤로도 대수기하학과 정수론 연구를 게을리하지 않았어. 2003년에는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아벨상도 받았지. 아벨상은 노르웨이의 ... ...
직각삼각형의 비밀, 피타고라스의 정리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그 끼인각을 알 때 나머지 변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이처럼 피타고라스의 정리는
도형
을 다루는 기하와 문자로 식을 표현하는 대수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또 벡터, 미분과 적분, 미분기하 등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 기초적인 원리로 쓰인다. 단순히 직각삼각형에서의 변의 길이를 구하는 것을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