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중"(으)로 총 1,7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능형 데이터시스템 공학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좋다.이 분야는 사용자와 가장 밀접하게 닿아있는 서비스 분야이다. 새로운 기술이 대중화될 때마다 빠르게 적용해야 한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면서 개인 GPS 정보에 접근하기 쉬워졌다. 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가 급격하게 활성화되면서 실시간 정보가 넘쳐났고, 이를 이용하기 ... ...
- Part 1. 역사 속의 최초, 그녀는 누구?수학동아 l2011년 03호
- 매년 수학계에서 뛰어난 공헌을 한 여성수학자를 초대해 ‘에미 뇌터 강의’란 이름으로 대중들에게 강연을 한다.페르마의 마지막 정리피타고라스의 정리를 확대한 개념으로 xn+yn=zn(단, n은 3이상의 정수)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x, y, z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페르마가 남긴 정리다. 17세기부터 약 350년간 ... ...
- IBM’s Next 5 in 5 List과학동아 l2011년 03호
- 활용한다. 4. 개인화된 출퇴근시스템 : 유비쿼터스 센서들이 교통상황, 도로공사, 대중교통 시간표 등 출퇴근에 영향주는 모든 데이터를 모을 것이다. A에서 B지점으로 가는 가장 빠른 방법을 컴퓨터에 질문하면, 컴퓨터 시스템이 그날 그 시각에 고유한 모든 정보를 수집하고 수학적 모델로 계산해 ... ...
- 수학으로 쏙쏙 밀어 넣는 포켓 당구수학동아 l2011년 03호
- 부른다. 영국에서 귀족들의 사교 게임으로 시작된 포켓 당구는 최근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대중 레포츠로 발전해 왔다. 특히 당구는 올해 열리는 제92회 전국체전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됐다. 수학을 알면 백발백중! 수학이 담긴 당구의 비밀을 파헤쳐 보자.포켓 당구의 기본 원칙 ‘당구’라 하면 ... ...
- 착한 과학, 행복을 퍼뜨리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등 국가 연구개발 사업에 참여하는 과학자와 공학자가 대표적인 연구 성과를 소개하는 대중 강연이다. 2007년 시작된 뒤 현재 서울, 부산, 대전, 광주, 대구 등 다섯 개 도시에서 열리고 있다.‘주니어닥터’는 기초연을 중심으로 한 대전 정부출연연구원, 국립중앙박물관, 계룡산자연사박물관과 ... ...
- Part 2. 세포 구조 모방하는 미래 인터넷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인터넷을 상상조차 할 수 없었다.인터넷은 1990년 월드와이드웹(WWW)의 탄생과 함께 일반 대중에게 빠른 속도로 퍼지면서 규모가 급속히 커졌다. 현재 인터넷은 180개 나라에서 2억 6000만 대 이상의 호스트 컴퓨터를 연결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14억 5000만 명이 넘는다. 매일 새로 접속하는 사람만 100만 ... ...
- 1987년 살바도르 몬카다 박사의 일산화질소의 근육이완 효과 발견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컴퓨터의 기초를 다졌지만 동성애로 비난받다 자살한 앨런 튜링도 떠오른다.이들처럼 대중에게 잘 알려진 과학자는 아니지만 이들 이상으로 극적인 삶을 산 과학자가 있다. 1987년 일산화탄소가 생체신호전달물질이라는 사실을 밝힌 영국 런던대 울프슨생의학연구소 소장인 살바도르 몬카다 박사다 ... ...
- [훈데르트바서展] 곡선과 나선으로 건축을 치료하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사라지면 예술도 사라지는 걸까.벤야민은 생활 속에서 이뤄지는 ‘산만한 감상’이 현대 대중예술의 특징이라고 말했다. 건축은 이런 산만한 예술의 대표격이다. 실용적으로 쓰이는 예술이기 때문이다. 건물은 눈으로 볼 때 아무리 아름다워도, 그 안에서 사는 사람들이 실용적으로 사용하지 ... ...
- 트론 : 새로운 시작(Tron: Legacy)과학동아 l2011년 01호
- 팝(Pop)’으로 바뀝니다. 새로운 연재에서는 영화와 공연, 전시, 드라마 등 다양한 대중문화를 다룰 예정입니다. 과학과 문화를 융합하는 톡톡 튀는 과학 글쓰기에 도전하실 분도 모시고 있습니다. 과학동아(ds@dongascience.com)로 메일을 보내주세요.줄거리영화 ‘트론: 새로운 시작’은 1982년에 나온 ... ...
- '수학 밖에서 수학 보기'수학동아 l2011년 01호
- Life by the Numbers)’, 일본 NHK의 ‘리만가설’ 등 각국의 수학 다큐멘터리를 보여주며 수학 대중화의 효율적 수단으로서 수학다큐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박형주 교수와 함께 아프리카에서 수학 다큐 ‘생명의 디자인’을 찍기도 한 그는 2011년 ‘문명과 수학’이란 새로운 프로그램을 준비하며 한국형 ... ...
이전8081828384858687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