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길"(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 [검시관의 사건노트] 혈흔과 뼈가 말하는 살인사건의 진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1.26×(대퇴골 길이+경골 길이)+67.09cm(오차범위 ±3.74cm)’에 대퇴골 길이 43.6cm, 경골 길이 36.4cm를 대입해 계산한 결과 피해자의 키는 167.89cm 내외인 것으로 추정됐다. 마지막으로 성별과 신장을 토대로 나이와 사망 원인을 확인했다. 일반적으로 나이는 두개골 봉합선의 폐쇄 ...
- [과학뉴스] 사막개미를 닮은 앤트봇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GPS 기술의 한계로 수m의 오차가 난다”며, “이번 실험으로 앤트봇이 매우 정확하게 길을 찾는다는 것을 알아냈으며, 재난 현장처럼 통신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일을 수행하는 데 적합할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전기회로, 마그마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있는 전자도 이와 비슷한 상황이지요. ‘전기회로’는 ‘전기(電氣)가 빙빙 도는(回) 길(路)’이라는 뜻이에요. 이런 상태를 ‘회로가 닫혀 있다’라고 표현해요.가장 간단한 전기회로는 전원, 전선, 저항으로 이뤄져요. 전원은 전자가 전선을 따라 움직이는 힘을 제공해요. 반면 저항은 전자의 ... ...
- [로보트 재권V] 사물인식에 음식인식까지 심부름 시켜보자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장점인데, 사물 인식을 하는 데는 그 장점이 별로 쓸모가 없는 셈입니다. 반면 인간은 길에 지나가는 고양이를 슬쩍만 보고도 고양이인 줄 압니다. 시베리안허스키와 치와와처럼 몸집이 수십 배 차이가 나는 개를 보고도 두 생명체를 모두 개라고 결론 내립니다. 신기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 ...
- [수동TV] 놀라운 수학 선생님대회, 매스타킹!수학동아 l2019년 05호
- 책과 체험을 통해 새로운 시야를 갖게 되길 바라요! 이처럼 다음 세대를 위해 먼저 길을 닦고 방패가 되어주는 선생님들이 계셨기에 많은 제자가 훌륭히 성장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지금도 어떻게 하면 학생들을 조금이라도 더 잘 가르칠 수 있을지 고민할 선생님들을 떠올리며, 이번 스승의 ... ...
- 영화 ‘샤잠!’으로 본 ‘핵인싸’의 심리학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대했다면, 그가 과연 구슬의 유혹에 빠지게 됐을까요? 어쩌면 슈퍼히어로와 악당의 갈림길은 여기서 시작된 것으로 봐도 과언이 아닐 겁니다. 안현웅. 순천향대 의대를 졸업한 뒤 순천향대 천안병원에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수련을 받았다. 현재 순천향대 의대 정신건강의학교실 외래교수를 ... ...
- 라돈침대 1년...국가대표 '라돈헌터' 라돈아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국내 시장에서 라돈 검출기는 먹히지 않았다. 국내 판매 실적은 저조했고 덩달아 수출길도 막막했다. 지난해 4월 고 대표는 결국 라돈 사업을 접기로 결정했다. 그런데, 국내에서 라돈 침대 사태가 불거졌고, 여기저기서 라돈아이를 찾기 시작했다. ▲ 라돈아이 내부에는 에프티랩이 개발한 원통형 ... ...
- [수동TV] 수프라이즈~수학자들은 24가족?수학동아 l2019년 05호
- 남긴 완성작을 읽으면 자기 이론을 만들 엄두가 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수학자로서의 길을 고민하던 그에게 깨달음을 준 것은 지도 교수도 명성 높은 수학자도 아닌 한 소녀였다. 생각에 빠져 교내를 걷고 있던 히로나카는 멀리서 들리는 한 소녀의 목소리를 듣고 고개를 돌린다. 초등학생 정도 되는 ... ...
- "흥미로운 곳에 길이 있다" 잉그리드 도브시 인터뷰수학동아 l2019년 05호
- 연구로 이론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물리학도의 길을 걷던 도브시 교수를 수학의 길로 이끈 건 프랑스 수학자 이브 메이에와의 만남이다. 도브시 교수는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미국 AT & T 벨 연구소에서 근무했다. 이때 메이에와 박사 학위 지도 교수인 알렉스 그로스만과 웨이블릿 이론에 관해 ... ...
- [알고리듬 시그널] 해밀턴 회로 문제를 푼다! 백트래킹 알고리듬수학동아 l2019년 05호
- 하는데 간단히 말하면 갈림길이 나올 때마다 표시를 해뒀다가 막힐 때마다 그 갈림길로 되돌아가서 다시 해를 찾는 방법이에요. 경로를 트리 구조로 만들어 따라가며 모든 경우의 수를 따진다고 생각하면 쉬워요. 예를 들어 해밀턴 회로 문제는 ‘이웃한 점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마지막 ... ...
이전8081828384858687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