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뉴스
"
위
"(으)로 총 9,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나라 표준시간 송출방식 FM에서 AM으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3.07
가로등제어 등에도 장파 시간 정보를 활용하고 있다. 또 헝가리는 도로정보 서비스에, 스
위
스는 인터넷 서버용 시간동기화 서비스에 장파 시간방송을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표준연구원을 중심으로 장파 시간방송국 설치를 추진 중인데 관련 부처와 논의를 거쳐 몇 년 안에 설치가 ... ...
韓, 캄보디아에 ‘맞춤형 과학기술’로 봉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3.07
멀리 떨어진 저수지까지 가서 물을 길어 와야 한다. 이런 주민들의 불편함을 줄여주기
위
해 몇 년 전 우리나라의 한 구호단체가 지하수를 마실 수 있도록 펌프를 설치해 줬지만 주민들은 물맛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거의 사용 하지 않아 무용지물이 됐다. 지난해 한국의 ‘국경 없는 ... ...
3만 년 만에 깨어난 바이러스
동아사이언스
l
2014.03.04
파토아바이러스의 전자현미경 영상. 파토아는 고대 그리스에서 쓰이던 불룩한 도자기를 의미한다. - 장미셸 클라베리 교수 제공 지금까지 발견된 바이러 ... 파헤치며 개발하며 만든 땅 속 생태계 교란이 더 큰 재앙으로 다가올 수 있으므로 잠재적
위
협에 대비해야할 것”고 경고했다 ... ...
샤넬 No.5는 염소 페로몬에서 영감을 받은 향수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3.03
분자식(C10H20O)이 동일하다. 즉 데카날의 이성질체다. 따라서 그 향기도 데카날의 범
위
를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문득 어네스트 보가 러시아의 안개 낀 호숫가를 거닐 때 주변에 풀을 뜯고 있는 염소들이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후각 천재 보는 숫염소가 발산하는 4-에틸옥타날의 ... ...
더 싸고 오래가는 다리 만드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4.03.03
20% 절감하고 다리 수명도 크게 늘릴 수 있게 됐다고 3일 밝혔다. ‘사장교’는 교각
위
에 세운 H형의 높은 탑에 연결된 케이블이 교량을 떠받들고 있는 형태로, 우리나라에서는 인천대교와 서해대교 등이 대표적이다. 건축미도 뛰어나 최근 각광받는 토목공법이지만, 케이블과 철근 구조물 ... ...
만화 같은 설정, 하지만 기술은 이미 현실
동아사이언스
l
2014.03.02
움직이는 로봇을 만드는 데 맞춰지고 있다. 미국 로봇기업 보스톤다이나믹스는 빙판
위
에서도 스스로 균형을 잡는 네발 로봇을 만들었는데, 최근에는 이 로봇을 더욱 발전시켜 진짜 동물처럼 일을 하는 기능도 추가로 개발하고 있다. 이 회사가 공개한 영상을 보면 진짜 화난 당나귀처럼 눈 앞에 ... ...
또 다시 고개 든 '가속기 음모론'
과학동아
l
2014.02.28
1999년 안정성 평가 보고서를 근거로 “100GeV보다 낮은 에너지에서 실험할 때 오히려 더
위
험하다”면서 “입자들이 연쇄 반응을 일으켜 지구상의 모든 것을 스트레인지 쿼크로 만들고 결국 지구를 지름 100m의 초응축 구로 만들 수 있다”고 주장했다. ... ...
육식공룡이 채식? 통념 뒤집는 공룡연구 봇물
동아사이언스
l
2014.02.28
뒤에도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고 한다면 체온을 잘 지킬 수 있는 깃털공룡들이 지배적
위
치에 있었을 것”이라며 “실제로 깃털공룡들이 현재 새의 조상”이라고 설명했다. 과학동아 3월호를 통해 공룡의 지능이나 생태계 등 과학자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공룡 관련 연구주제에 대해 더 ... ...
인터넷 답답하세요? 아시아로 오세요!
과학동아
l
2014.02.27
17.9Mbps)의 네 배에 달했다. 우리나라, 일본, 싱가포르가 뒤를 이었으며 대만도 세계 8
위
를 기록하는 등 인터넷 속도가 가장 빠른 10개국의 절반을 아시아 국가들이 차지했다. 특히 아시아에서 관찰된 가장 빠른 기록은 예년 최고 기록에 비해 12% 가량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전기통신연합에 ... ...
우리나라 세균 신종등록 '금메달' 감이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6
세계에서 가장 많은 33건의 신종 세균을 등록하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IJSME 편집
위
원인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학명에는 지역명이나 연구자명이 들어가 미래에 해당 생물이 쓰일 경우 우리나라의 과학 역량을 드러낼 수 있다”며 “암수구별이 되지 않아 명확히 종을 구분하기 ... ...
이전
845
846
847
848
849
850
851
852
8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