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모두가 승리한 로봇 축제 FLL 체험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즐기며 대회에 참가한 모두를 기념하기 위한 주최 측의 작은 선물이었다. 기자도 좋은
결과
를 내진 못했지만 메달을 받았다. 이 메달은 대회를 준비하며 들였던 노력과 열정을 추억하게 도와줄 것이다 ... ...
구강 박테리아 다양성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다르다. 미생물군집 PCR 분석으로 찾아낸 데이터를 종합했다. 최근 메타유전체 분석
결과
가 반영되면 종의 숫자가 훨씬 더 늘어날 것이다. 계(界) 다음의 분류학 단계인 문(門)을 기준으로 박테리아 종을 묶었다.] [장 미생물의 생태계가 건강 유지에 중요하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유익균이 들어있는 ... ...
수학으로 쏙쏙 밀어 넣는 포켓 당구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하지만 우리는 선수가 아니므로 실수도 실력이다. 친구들과 하는 친선 경기에서 좋은
결과
를 내기 위한 포켓 당구의 원리를 자세히 알아보자.우선 큐로 겨냥하는 하얀 공의 위치(*당점)를 살펴보자. 어느 부분을 치느냐에 따라 공의 회전운동은 달라진다. 먼저 공의 중심 을 기준으로 좌우로 겨냥을 ... ...
Intro. 안녕! 네안데르탈인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아메리카대륙에서는 더욱 무관심했다. 하지만 최근의 분자유전학과 고고학 연구
결과
드러난 네안데르탈인의 모습은 다시 사람들의 이목을 끌기에 충분하다. 이들은 생각보다 우리와 가깝고 비슷하며, 심지어 조상일 가능성도 있다. 한국인도 예외는 아니다.[네안데르탈인(Homo Neanderthalensis) 지금의 ... ...
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하나의 친척 인류로 밝혀졌으며(약 20만~10만 년 전 분리), 2010년 12월 패보 박사팀의 연구
결과
현생인류 중 멜라네시아인과 유전자 교류가 있었음이 밝혀졌다.] [네안데르탈인 게놈 프로젝트를 수행한 막스플랑크연구소 진화인류학부 연구원들. 이들은 이전 연구보다 많은 네안데르탈인 게놈을 ... ...
Intro. 2040년, 하늘길이 바뀐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공략하겠다는 것이다. 항우연은 이미 2010년 3월 ‘개인용 비행기(PAV) 개발 선행연구’
결과
를 공개하고 ‘승용비행기 세상’을 만들겠다는 20년 중장기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미국 등 항공선진국에서는 현재 운영 중인 여객기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가장 각광받는 방법은 ... ...
모의 우주선, 257일 만에 화성 착륙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밸런타인데이인 지난 2월 14일. 인류가 최초로 화성에 발을 들여놓았다는 소식이 러시아에서 들려왔다. 한국 시간으로 14일 오후 7시, 러시아와 이 ... 520일이 소요되는 셈이다. 장기 비행에 따른 우주비행사들의 심리상태에 관한 이 연구
결과
는 올 11월 프로젝트가 끝나면 발표될 예정이다 ... ...
고대이집트인 ‘가짜 발가락’ 신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손이나 발 등 신체 일부가 없는 사람은 의족이나 의수 같은 ‘의지’를 끼고 생활한다. 인류는 3000년 전부터 의지를 썼다는 연구
결과
가 나왔다. 영국 ... 발가락 유물들은 이보다 300년 정도 앞선 기원전 600년 전 것이다. 핀치 박사팀의 연구
결과
는 의학저널 ‘더 란셋’ 2월 12일자에 실렸다 ... ...
수학실력 최고 도시는 ‘코스트로마’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호주 등 26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대회는 전년도 가을 대회와 봄 대회가 한 시즌을 이뤄
결과
가 발표된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가을 이 대회에 처음 참가했다.고봉균 TOT 한국위원은 “대체로 25∼27점을 받은 도시가 세계 1, 2위를 한다”며 “가을 성적으로 봤을 때 2010∼2011시즌에는 한국의 도시가 ... ...
우리 집 家 도 혹시 병든 집?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움직이는지 2주 동안 관찰했다. 연구팀은 사람들이 움직인 경로를 건물 설계도 위에 그린
결과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와 적게 모이는 장소를 구별할 수 있었다. 사람을 많이 불러들이는 곳은 커피를 마시면서 얘기를 나누는 공간과 식당, 화장실이었다. 특히 창문이 크게 나 있고 바깥으로 ... ...
이전
843
844
845
846
847
848
849
850
8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