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자 조작 식품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새우며 열띤 논의 끝에 얻어낸 성과물이었다. 이들은 어떤 결론을 내렸을까. 보고서를
발표
한 시민의 목소리를 직접 들어보자."유전자 조작 식품이 필요한가에 대해 시민패널 간의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 필요하다고 주장한 논리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는 아직 식량자립도가 낮으므로 식량자립을 ... ...
97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 윌리엄 필립스 박사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주변에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들에 대해 어린이들은 '왜?'라는 질문을 입에 달고 다닌다. 그러다 어느 순간 입을 다물고 무감각한 표정을 짓 ... 광핀셋을 이용해 기체상태의 원자를 규칙적으로 배열시키는 자신의 최근 연구를
발표
했다. 또 서울대에서도 전문가를 위한 한림석학강연을 했다 ... ...
음악, 뇌신경의 지휘자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활동을 나타내는 뇌의 부위가 다르다는 음악의 신경 생 물학적 역할에 관한 연구
발표
가 있었다. 미국 맥길대학의 앤 블러드 박사는 "어떤 종류의 신경 질환이든 그에 맞는 음악을 이용해 치료할 수 있다"며 이번 연구는 그 전초전에 불과하다고 말한다.미 하버드 의대 마트 트라모 박사는 음악과 ... ...
최초의 공룡 피부화석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자연사박물관의 과학자들은 수천개의 알이 그대로 남아있는 공룡 둥지를 발견했다고
발표
했다. 이 알들은 아직 부화되지 않는 아기 공 룡의 화석화된 피부를 보여주는 획기적인 것이었다. 이 알이 부화했다면 아기 공룡은 겨우 38cm 로 태어나 13.5m에 달하는 어른 공룡으로 성장했을 것이다.공룡알 ... ...
인류의 새 터전 우주식민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온 목적은 식량의 비축이었다. 그 식량은 다름아닌 인간인 것이다.한편 최근 미국에서
발표
된 영화 '다크 시티'(1998) 역시 외계인들이 관리하는 지구인 식민지를 다루고 있다. 이 작품의 외계인들은 종족 전체가 사멸의 위기를 맞게 되자 일종의 우주도시에 지 구인들을 가두고는 매일 밤마다 뒤바뀐 ... ...
케플러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태양을 도는데 걸리는 시간, 즉 공전주기의 제곱은 행성의 평균거리의 세제곱에 비례)을
발표
한 해였다. 과학 연구에 몰두하던 시기에 마녀로 몰린 어머니를 구하는 일이 그렇게 달갑게 느껴지지는 않았을 것이다.그래서인지 케플러 사후에 출간된 '꿈'이란 책에는 어머니를 달에서 온 악마와 접촉한 ... ...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일할 때까지 이들의 생활은 평온했다. 하지만 1905년 아인슈타인이 특수상대성이론을
발표
하면서 학계의 스타로 등장하자 상황이 달라지기 시작했다. 같은 학자였지만 자신은 이렇다 할 명성을 얻지 못한 밀레바로서는 불안감과 소외감이 커질 수밖에 없었다.그러나 밀레바를 더욱 괴롭힌 것은 ... ...
영재교육 뿌리내릴 것인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있으며 이러한 여파는 총체적인 탐구학습에 찬물을 끼얹는 결과를 낳았다고 한다. 최근
발표
된 학생들의 과학고 정원을 3백 50명(전체 정원의 22.4%)가량 줄이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정원을 2백여명(전체 정원의 35%) 이상 늘린다는 것도 과학고 학생들의 입시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것을 ... ...
흡혈귀의 정체는 광견병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생각이 옳았음을 확인했다. 그의 논문은 신경학잡지인 ‘뉴럴로지’(Vol. 51)에 최근
발표
됐다.처음 광견병에 걸리면 식욕을 잃고, 몸에 열이 나며, 쉽게 피로를 느낀다. 그래서 독감과 혼동하기 쉽다. 그러나 신경계에 침입한 바이러스 때문에 곧바로 극도의 흥분상태와 치매증상을 보인다. 더욱 ... ...
수은화합물 흡수하는 나무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전문지인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러지’에 수은화합물을 흡수하는 나무를 만들었다고
발표
했다. 이 나무는 다른 식물들이 자랄 수 없을 만큼 수은으로 오염돼 있는 토양에서도 수은화합물을 흡수하며 자란다. 게다가 흡수한 수은화합물을 독성이 약화된 분자 상태의 수은 증기로 바꾸어 공기중으로 ... ...
이전
842
843
844
845
846
847
848
849
8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