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펨토초 레이저에서 탄생한 X선과학동아 l2007년 01호
- 들여다보는데 성공한 것이다. 그 뒤 레이저의 펄스폭을 줄이는 경쟁에 가속도가 붙기 시작했다.남 교수는 “앞으로의 목표는 아토초의 펄스를 만들어내는 것”이라며 “응용분야가 무궁무진한 아토초 레이저를 개발하는 일은 도전해볼만하다”고 말했다. 장님 코끼리 만지듯 어림잡을 수밖에 ... ...
- "돼지, 이것도 모르면 안 되지~!"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01호
- 파헤치기는 무척 힘든 일! 그래서 돼지는 짧은 다리 대신 고개를 숙여 주둥이를 이용하기 시작했고, 그 결과 주둥이를 비롯해 코까지 발달하게 되었다. 주둥이로 헤집고 코로 냄새를 맡아 땅 속의 먹이를 찾아 내게 된 것이다. 그러다 보니 돼지는 냄새로 주인과 새끼를 알아볼 정도로 코의 능력(?)이 ... ...
- 걸어 다니는 신분증, 얼굴과학동아 l2007년 01호
- 영화가 개봉된 1960년대 미국에서는 스탠퍼드대와 MIT를 중심으로 얼굴 인식기술 연구가 시작됐다. 할은 이런 시대 분위기를 반영한다.범인, 딱 걸렸어 얼굴 인식기술은 최근 여러 분야에 활용되면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소니의 애완용 강아지 로봇 ‘아이보’에는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는 ... ...
- 3. 근육 따라 울고 웃었다과학동아 l2007년 01호
- 짓기 캠페인이나 웃을수록 긍정적인 마음을 갖게 된다는 웃음 훈련도 이런 맥락에서 시작됐다.하지만 이후 과학자들은 정서적인 반응이 생리적인 반응보다 일찍 나타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 생리적인 변화가 나타날 때 분비되는 호르몬을 인위적으로 주입해도 특정한 감정이 유발되지 않는다는 ... ...
- 마빡이는 엄살?과학동아 l2007년 01호
- 분해되며 생성되는 물질로 격렬한 운동을 하면 핏속의 젖산 농도가 높아진다. 동작을 시작하기 전 기자의 혈중젖산농도는 1.51mmol/L로 일반인 평균량인 1mmol/L에 비해 다소 높게 나왔다.10분간 동작을 한 뒤 잰 젖산농도는 대빡이 동작(4.68mmol/L), 마빡이 동작(2.50mmol/L), 얼빡이 동작(2.05mmol/L), 갈빡이 ...
- 우리 포옹할까요?과학동아 l2007년 01호
- 있는지도 모른다”고 지적했다.그저 사람들이 웃는 모습을 보고 싶어 프리허그를 시작했다는 후안 만. 그가 두 팔 벌려 실천한 사랑바이러스는 강력한 전염성으로 세계에 전파됐다. 낯선 이들과 포옹은커녕 눈 한번 제대로 맞추지 못하고 사는 지금, 치명적이지만 놀라운 치유력을 가진 ... ...
- 상상력으로 가득찬 동그라미과학동아 l2007년 01호
- 만든 비유와 상징을 숨겨뒀다. 여러 문화권에서 원은 신성한 도형으로 대접받았다. 시작도 끝도 없이 영원히 이어지며 미적 균형과 조화를 이뤘기 때문이다.힌두교 문화에서 시바는 탄생과 죽음, 창조와 파괴 같은 우주의 질서와 순환을 주관하는 신이다. 시바는 둥근 틀 안에서 춤을 추며 조화와 ... ...
- 산소요정의 왕자님 살리기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01호
- 엉덩이부터 살짝 때린다. 아기는‘응애응애~’울면서 세상에서 첫 숨을 쉬기 시작한다. 그 때부터 한 번도 안 멈추고 잘 때도 뛸 때도 숨을 쉰다. 우리가 한 번에 쉬는 숨의 양은 얼마나 될까?한 숨 쉰다? 숨은 한 번에 얼마나 내쉴 수 있을까?대야에 물을 가득 받고 페트병에 물을 가득 채워 거꾸로 ... ...
- 2. 선폭 줄이면 매트릭스 세상이 온다과학동아 l2007년 01호
- 10-9m) 수준의 실리콘 소자를 개발해 3년 뒤면 상용화할 예정이다. 35nm급 소자 개발도 이미 시작했다. 반도체 개발 로드맵에 따르면 2020년이 되면 14nm 크기로 실리콘 소자를 개발할 수 있다는 예상이다.인텔사의 프로세스 기술담당자인 마크 보어는 “2020년이면 10nm급 회로선폭을 만들어낼 수 있을 ... ...
- 3. 잠들어있는 마스터유전자를 깨워라과학동아 l2007년 01호
- 실제로 골수에서 추출한 성체줄기세포로 피부나 연골을 배양하는 기술은 임상시험이 시작됐다.그러나 주위의 세포들과 복잡하게 얽혀 끊임없이 소통해야하는 신경세포의 경우 좀 더 난해하다. 시험관에서 배아줄기세포로 도파민신경세포를 얻어내는데는 성공했지만 뇌에 이식했을 때 다른 ... ...
이전8378388398408418428438448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