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단 하나의 정자로도 수정 가능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보통 10-30개의 난자가 발생한다.한번에 10-30개 난자 배출그러나 최근 외국 의학계의
발표
를 보면 ICSI가 완벽하게 안전한 방법인지 곰곰히 생각하게 된다. 미국 오리건 보건대학의 제럴드 새튼 박사는 의학전문지 ‘네이처 메디신’ 4월호에서 ICSI의 문제점을 언급해 화제를 모았다. 그는 벵골원숭이의 ... ...
③ 꼬리없는 정자로 임신 성공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해서 화제를 모았다. 이어서 1997년 12월 대구하나병원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성공했다고
발표
됐다. 성숙한 정자가 만들어지기 직전 단계의 원형정세포(round spermatid)를 정소에서 추출해 부인의 난자에 직접 주입함으로써 임신에 성공한 경우다. 세포의 모양은 이름 그대로 둥글기만 할 뿐 정자와 달리 ... ...
⑤ 정자은행과 난자은행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남성 정자의 생식력이 낮아 덴마크를 비롯한 유럽 국가에서 정자를 수입할 예정이라고
발표
했다.한국의 경우 법적으로 정자의 매매는 금지돼 있다. 장기나 혈액처럼 정자 역시 신체의 일부이기 때문에 돈을 주고받으며 거래할 수 없다는 생각에서 비롯됐다.하지만 국내에서도 타인의 냉동정자를 ... ...
은하수 너머의 우주 외부은하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날이다. 이날 미국 천문학회에서 외부 은하의 존재를 입증하는 에드윈 허블의 논문이
발표
되는 순간, 인류는 상상을 뛰어넘는 광대한 우주를 느끼게 됐다. 우주에서 우리의 위치는 변했으며 인류는 새로운 도약의 전기를 마련했다.희뿌연 구름 덩어리약 2백20만 광년 거리에 있는 안드로메다은하는 ... ...
Ⅳ. 중세의 천장은 왜 고딕식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이곳은 멘델스존이 평생 음악감독으로 일하면서 자신의 음악과 바하의 음악을 발굴해
발표
했던 곳이다. 그런데 이 홀들은 현대 건축음향학이 시작되기 이전인 1870년에서 1900년 사이에 지어진 건물들이다. 그러면 오늘날에 지은 많은 음악당들보다 아직도 이 홀들의 음향이 아름답고 뛰어난 이유는 ... ...
⑦ 복제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알렉스의 몸에 이식해 남자인 그가 아이를 낳는다는 줄거리다.하지만 영국 과학자의
발표
로 더이상 이런 일이 영화에서나 나올 얘기가 아닐 가능성이 생겼다. 이 과학자는 조만간 자신의 논리를 정리해 책으로 발간할 계획이어서 세인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사실 현대의 불임학자들은 남성의 임신이 ... ...
체온을 조절하는 고등식물들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앉은부채의 꽃도 영하의 날씨가 계속되는 동안 15-22℃의 온도를 유지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
했다. 앉은부채가 주변에 있는 눈을 녹인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 또 오스트레일리아 아델레이드대학의 폴 슐츠모텔 교수와 로저 세이모 교수는 기온이 10℃ 이하로 떨어지는 여름 연꽃의 온도는 32℃를 ... ...
20세기 의복혁명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구성돼 있으며, 저분자 물질을 합성하면 고분자의 합성섬유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발표
한 적이 있다. 이를 계기로 각국에서는 합성섬유에 대한 연구가 촉발됐는데, 미국의 듀폰사도 그 중의 한 곳이다.1928년 듀폰사는 하버드대학에 합성섬유를 개발할 유능한 인재를 추천해달라고 의뢰했는데, ... ...
새옷 입은 고속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M3는 아직 확정된 명칭은 아니며, 잘라페노라는 코드명으로 불리고 있다. 99년 4분기에
발표
될 예정인 이 제품은 최대 600MHz 속도로 동작할 전망인데, 8개의 명령어를 한번에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펜티엄 Ⅲ는 가을 이후에나어쨌거나 인텔은 현재까지의 여세를 몰아 여전히 ... ...
암호를 해독하기 위해 탄생한 컴퓨터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드러나면서 곤경에 처했다. 그는 이 과정에서 매우 역사적인 논문을 썼다. 1950년에
발표
한 ‘컴퓨터와 지능’이란 논문이다. 이것은 ‘생각하는 기계’를 만들기 위한 것이었다. 동일한 질문에 대해 컴퓨터와 인간이 똑같은 대답을 한다면 그것은 곧 컴퓨터가 생각한다고 말할 수 있다는 것이 ... ...
이전
837
838
839
840
841
842
843
844
8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