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스페셜
"
작은
"(으)로 총 1,437건 검색되었습니다.
음높이 따라 손에 '톡톡' 자극…청각장애인에게 정확한 음을 전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19
것이 가능해진 것이다. 참가자들은 이 장비를 이용해 한 달 간 훈련을 거쳐 ‘반짝반짝
작은
별’과 같은 노래를 부르는 데도 성공했다. 두 참가자의 음정 정확도를 확인한 그래프다. 훈련을 받기 전(파란색 실선) 단조로운 음역대에 머물렀던 참가자들은 훈련을 받은 후 실제 음정(검은색 점선)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불확실성을 대비한 마음 관리법
2020.04.18
탄탄해져간다. 나의 경우 얼마 전 처음으로 재봉틀 사용법을 배웠고 손바닥만한
작은
쿠션을 만들었는데 스스로가 그렇게 자랑스러울 수가 없었다. 뭐든 좋으니 한 번도 해보지 않은 새로운 무엇에 도전해보도록 하자. ④ 뉴스는 적당히 보기 불안이 너무 많을 때에는 뉴스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 ...
[IBS 코로나19 리포트]코로나바이러스와 인포데믹
2020.04.13
벽 일부가 파괴되며 바이러스가 소멸되기 때문이다. IBS 제공 인포데믹으로 인한 크고
작은
피해 사례는 국내외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국내 한 종교단체에서 가짜뉴스를 기반으로 소금물 스프레이를 교인들에게 뿌리고 코로나-19에 단체로 감염된 사건이 사회적 손실의 대표적인 사례다. 또 ... ...
공중에서 떨어지는 로켓 낚아채 회수...로켓랩 소형로켓 회수영상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4.10
추가하고 여분의 연료를 탑재하는 방식을 택했다. 하지만 일렉트론은 로켓 크기가
작은
데다 로켓부품을 최대한 줄여 무게를 줄인 만큼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어렵다. 로켓랩은 재활용 소형 로켓 개발을 위한 첫 관문인 대기권 재진입 실험을 지난해 12월과 1월 두 차례 실시해 모두 성공했다. ... ...
[과학기술의 큰 걸음]"포니 프로젝트는 지금도 진행형"
동아사이언스
l
2020.04.09
지휘 아래 만들어졌다. 그는 “전문가는 차에 딱 타보면 그 회사의 기술력을 안다”며 “
작은
결함도 없애기 위해 수없이 자동차를 타며 개선을 거듭했다”고 말했다. 이 전 사장은 성공이니 신화라는 말을 경계했다. 이 전 사장은 “자동차 산업이 살아남으려면 최종적으로는 자동차 선진국이자 ... ...
당신이 잠든 사이에 스마트폰이 코로나19 약물 찾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9
활용해 약물의 약효를 계산한다. 드림랩은 밤중 6시간을 활용해 5메가바이트(MB) 크기의
작은
데이터를 내려받은 후 60개의 계산을 동시에 실행한다. 충전기와 연결돼 있으면 한 대가 6시간 동안 최대 2만 4000개 문제를 풀 수 있다. 연구팀은 “하루 24시간 실행되는 옥타코어 프로세서 컴퓨터가 300년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사회적 거리두기와 '코로나 블루'
2020.04.08
느끼는 정도가 클수록 감정과 지각의 중추인 뇌 좌측 편도체와 회색질의 부피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지속적인 외로움은 기억과 정보 저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해마, 사회적 관계를 인지하는 뇌 부위 등의 구조를 변화시킨다. 정리하자면, 지속되는 외로움은 뇌 구조를 변화시키고 ... ...
사진 이미지 자유자재로 바꾸는 AI 반도체 칩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6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기존 모델보다 수십 배 많은 연산이 필요하다. 메모라기
작은
모바일 장치에서는 소프트웨어만으로 구현하기 어렵다. 연구팀은 단일 심층 신경망 뿐 아니라 GAN과 같은 다중 심층 신경망을 처리할 수 있으면서도 모바일에서 학습이 가능한 AI 반도체 ‘GANPU’를 개발했다.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코로나바이러스, 왜 수퍼 전파자가 많을까
2020.04.06
재채기, 말을 할 때 입에서 나오는 직경 5~6㎛(마이크로미터‧1㎛는 100만 분의 1m) 수준의
작은
물방울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기침을 한번 하면 약 3000개의 비말이 나와 대략 2m까지 퍼져나간다. 감염자의 경우 기관지와 폐에서 증식한 바이러스가 ‘바이러스 함유 비말’에 실려 주변 공기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처음 만나는 나노입자의 다양성
동아사이언스
l
2020.04.05
가능한 정밀한 입체(3차원) 구조 영상을 만들어 내는 데 성공했다. 0.02nm는 세상에서 가장
작은
원자인 수소 원자의 6분의 1 크기다. IBS 연구팀이 개발한 액상 투과전자현미경 기술로 백금입자를 관찰한 사례다. 위부터 아래로 8개의 입자를 관찰했다. (a)는 원자가 발견될 확률을 표시한 원자밀도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