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스페셜
"
연구진
"(으)로 총 1,272건 검색되었습니다.
"속도 더 빨라진 6번째 대멸종…육지 척추동물 515종 멸종 직면"(종합)
연합뉴스
l
2020.06.02
84%는 서식지가 개체 수가 1천마리 미만인 515종의 서식지와 겹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
은 하나의 멸종위기 종이 사라지면 같은 생태계의 다른 종들에 연쇄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며 한 종의 멸종이 생태계 불안정을 초래해 다른 종들의 멸종 위험을 더욱 가중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들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방감초' 스타틴의 재발견
2020.06.02
최근 수년 사이 간암, 담도암, 전립선암 등 여러 암에 대해 억제 효과가 있다는 국내외
연구진
의 논문이 여러 편 나왔다. 다만 이런 약물들은 암의 예방 또는 재발 방지에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을지도 모르지만 치료에서는 기존 항암제와 함께 쓸 때 항암제 단독보다 더 나은 결과를 내는 것으로 ... ...
美연구팀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박쥐·천산갑 거치면서 인체 감염 능력 갖춰”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수용체(ACE2)의 표면단백질과 쉽게 결합하는 바이러스가 생겨났다는 결론이다.
연구진
은 “박쥐와 천산갑 코로나바이러스 사이에 변종이 생기면서 사람을 감염시키는 능력이 있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생겨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연구논문의 저자인 펑가오 듀크대 교수는 “같은 ... ...
코로나19 바이러스 코에 가장 잘 달라붙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을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코에 가장 잘 달라붙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을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코에 가장 잘 달라붙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에 먼저 감염을 일으킨 이후 호흡을 타고 기관 ... ...
네이처誌 "한국 공격적 R&D투자로 ‘퍼스트무버’ 기반 닦았다" 한국 특집호 발간
동아사이언스
l
2020.05.27
다양성과 생산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연구진
은 국내 다른 분야
연구진
에 비해 연구 생산성이 50%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데이비드 스윈뱅크스 네이처 인덱스 개발자는 “한국의 톱다운 계획은 정부와 학계, 산업계 간 강한 유대를 구축해 정보통신기술과 혁신 분야에서 ... ...
'다기관 염증증후군'사례 코로나19 기간 급증해…"관련성 추가 연구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5.27
이 증상을 일컫는 말이 없어 ‘과잉염증성 쇼크(hyperinflammatory shock)’라고 불렀다.
연구진
은 “이 환자들이 가와사키 병에서 가끔 나타나는 ‘가와사키 병 쇼크 신드롬’이나 ‘독성 쇼크 신드롬’ 등과 비슷한 증세를 보였다”며 “이런 환자는 평소 기껏해야 한 주에 1~2명 발생하는데 갑자기 ... ...
WHO 트럼프 극찬한 ‘하이드록시클로로퀸’ 임상실험 잠정 중단
동아사이언스
l
2020.05.26
하이드록시클로로퀸에 대한 안전성 우려가 처음 나온 것은 아니다. 미국 하버드의대
연구진
은 지난 3일 미국의사협회지(JAMA)에 코로나19 환자에게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을 투여하면 심장 박동이 불규칙해지는 부정맥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당시 논문 저자인 니콜라스 머큐로 ... ...
화산 폭발로 생긴 엘니뇨, 전지구 강수량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5
박사 연구팀이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원, 스위스 취리히공과대학, 영국 에딘버러대학
연구진
과 공동연구를 통해 화산 폭발로 유발된 엘니뇨가 전 지구 강수량 감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게재했다고 25일 밝혔다. 지금까지 화산 활동이 전 ... ...
국내 렘데시비르 임상 책임자 "코로나19 표준치료제 기대"
연합뉴스
l
2020.05.25
국내에서 '렘데시비르'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임상시험을 총괄한
연구진
이 이 약물에 대해 '표준치료제'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임상시험에 직접 참여한 국내 의료진이 처음으로 제시한 의견이다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오명돈 서울대 감염내과 ... ...
초대질량블랙홀 뿜어내는 강력한 불꽃으로 먼 우주 거리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3
거리측정 방법이 새로운 표준촛불 후보로서 자격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보고 있다.
연구진
은 더욱 먼 활동은하핵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표준촛불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해나갈 예정이다. 천문연은 후속 연구를 위해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을 호주, 스페인, 이탈리아 등의 전파망원경들과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